제목 때문에 눈에 띄는 과학서는 에롤 해리스의 <파멸의 묵시록>(산지니, 2010)이다. 과학서라고 했지만, 저자는 철학자이고 형이상학과 과학철학, 종교철학 등 다방면에 걸쳐 저술을 남기고 지난해 세상을 떠났다. <파멸의 묵시록>은 그가 90세에 출간한 책으로 "방대한 연구결과를 대단히 간결하게 압축한 결정판"이라고 한다. 단지 그 이유만으로도 한번쯤 읽어보고픈 책이다. 원제는 '묵시록과 패러다임'이고 부제가 '과학과 일상적 사유'인데, 국역본 제목과 부제는 그걸 적당히 재분배했다. 한겨레의 간단한 소개기사를 스크랩해놓는다. 자세한 건 출판사의 책소개를 참고할 수 있다.

한겨레(10. 01. 30) 인문학, 뉴턴 패러다임을 벗어라
환경과 생태계 파괴, 온난화, 핵전쟁 위협, 자원 고갈, 인구 폭발, 끝없는 분쟁과 양극화 등 인류 자체의 절멸을 걱정해야 할 파국적 상황이 진행되고 있는데도 인류 대다수는 이에 무관심하거나 무지한 채 파국적 상황을 가속화하고 있다. 개인과 가족, 또는 민족, 국가의 무한 이기주의로 표출되는 사유와 생존 방식의 근본적 결함에서 비롯되는 이 위기의 근저에 뉴턴적 사고의 패러다임이 자리잡고 있다. 원자론과 개인주의, 분리주의, 환원주의를 낳은 뉴턴의 기계적 세계관, 근대적 가치관은 상대성이론, 양자역학에 의해 이미 근본적으로 무너졌는데도 이 패러다임의 전환이 자연과학 외의 영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21세기 양자역학 시대에 지구인들 대다수의 삶은 여전히 뉴턴적 17세기 자연과학 패러다임 안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이 어긋남이 위기로 표출되고 있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절연에서 비롯된 이른바 ‘두 문화’고민과도 상통하는 이 위기는, 그러나 뉴턴 패러다임을 폐기하지 않는 두 문화의 절충적 통섭 방식으로는 결코 극복될 수 없다. 여전히 뉴턴적인 패러다임에 갇혀 있는 철학, 윤리학, 정치학, 경제학 등을 아인슈타인, 막스 플랑크, 하이젠베르크가 물리학에서 이룩한 패러다임 혁명으로 인도하라! 인간과 자연, 사회, 그리고 극미와 극대의 우주까지 상호의존적 내적 관계를 지닌 유기적 통합체라는 전체론(holism)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만이 인류를 구원할 것이다. 인류가 지니게 된 엄청난 파괴력 때문에 자연스런 전환을 기다릴 여유가 없다.(한승동 선임기자)
10. 01. 29.
P.S. 출판사 책소개의 한 대목은 이렇다. 저자가 화이트헤드의 문제의식을 계승하고 있다고 일러준다.
세계관을 진단하는 측면에서 이 책은 화이트헤드의 <발상의 모험>(Adventures of Ideas)과 가장 유사하다. 20세기를 대표하는 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인 화이트헤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연구가 활발한데, 일찍이 그는 “하나의 학문이 임시방편 가설의 메들리(a medley of ad hoc hypotheses)를 반복하지 않도록 만들려면 반드시 철학적 성찰을 수행해서 그 학문의 기초를 철저히 비판해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 무의식적으로 가정하고 있는 근본전제부터 돌아보아야 한다는 뜻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80여 년 전 화이트헤드는 17세기 및 20세기의 자연과학 성취를 형이상학적으로 성찰한 후, 뉴턴 패러다임을 대체할 새로운 패러다임을 <과정과 실재>(Process and Reality)라는 저서를 통해 제시한 바 있다.<파멸의 묵시록>은 이런 화이트헤드의 문제의식을 충실하게 계승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고, 실제로 에롤 E. 해리스는 화이트헤드를 깊이 연구한 학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의 책이 철학에 중점을 둔 책이라면, 이 책은 문명에 중점을 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오랜만에 화이트헤드의 책을 검색해보게 되는데, <발상의 모험>은 <관념의 모험>(한길사, 1996)이란 타이틀로 한길 그레이트북스 첫 권으로 나온 바 있다. <과정과 실재>(민음사, 1999)는 현재 절판중이고, <과학과 근대세계>(서광사, 2008)는 재작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개인적으론 모두 박스보관 도서라 '그림의 책'이다. <과정과 실재>는 원서도 구해놓았었지만 아직 폼도 못 잡아봤다. 절실히 읽고 싶을 때가 따로 오지 않을까 한다.


과학서 얘기가 나온 김에 지난주에 출간된 나탈리 앤지어의 <원더풀 사이언스>(지호, 2010)도 언급해두고 싶다. 보관함에 들어 있는 책인데, 언제쯤 '원더풀'한 저자의 글솜씨를 감상할 수 있을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