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교수신문에서 서평위원 칼럼을 옮겨놓는다. 칼럼을 읽고서, 니체의 초인을 '나눔에의 의지를 가진 자', '자발적 가난을 선택하는 자'로 읽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토록 빈번한 오해의 대상이 된 '힘에의 의지'보다 '나눔에의 의지'는 훨씬 더 명쾌하며 의미심장하지 않은지?.. 

 

교수신문(09. 11. 16) ‘자발적 가난’의 지혜

자신의 주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하였다(Also sprach Zarathustra)』에서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말했던 적이 있다. 우리는 낙타에서 사자로 변해야만 한다고 말이다. 낙타는 수동적인 인간, 따라서 자유롭지 못한 인간을 상징한다. 기존의 공동체가 부여한 규범이나 가치를 하나의 숙명이나 본성인 것처럼 등에 지고 살아갈 때, 우리는 낙타에 다름 아닐 것이다. 바로 여기에 우리는 사자가 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누가 감히 사자 등에 올라탈 수 있겠는가. 사자의 등에 타려면 우리는 사자를 죽여야만 할 것이다. 오직 그럴 때에만 사자의 시신 위에 우리는 걸터앉을 수 있다. 그래서 사자는 부정의 전사이자 동시에 자유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니체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사자는 최종적으로 어린아이로 변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의 어린아이는 삶을 긍정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위베먼쉬(ubermensch), 즉 초인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사자가 되기 위해서 아직도 우리의 등에는 많은 짐들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얹혀 있다. 너무나 오랫동안 짐들을 지다보니, 이제 우리는 그것이 짐인지 아니면 나의 몸의 일부인지 헛갈릴 정도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짐들로는 니체는 국가, 종교, 자본을 이야기했던 적이 있다. 그렇다면 사자의 정신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삶의 태도를 취할 수 있을 것인가. 국가의 부당한 권력에 대해서는 ‘죽음을 두려워하지는 않는 용기’가, 내세를 약속하는 종교의 유혹에 대해서는 ‘삶을 긍정하는 유쾌함’이, 그리고 최종적으로 재산축적을 명령하는 자본에 대해서는 ‘자발적 가난의 행복’이 필요한 법이다.

아마 이 글을 읽은 사람 중 많은 독자들은 ‘자발적 가난’이 ‘행복’일 수 있을까 하고 고개를 갸우뚱거릴지도 모르겠다. 이 점에서 가난을 뜻하는 한자, ‘貧’이란 글자는 많은 것을 생각하도록 한다. 이 빈이란 글자는 나눔을 상징하는 ‘分’이란 글자와 조개 화폐를 상징하는 ‘貝’라는 글자가 합쳐져서 만들어져 있다. 다시 말해 자신이 가진 재산을 나누어주었기 때문에 도래하는 상태가 바로 가난이라는 것이다. 淸貧, 즉 맑은 가난이란 말이 나온 것도 다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바로 여기에 행복의 비밀이 있다. 자신이 애써 수확한 재산을 아낌없이 나누어주었을 때, 우리는 축적의 행복과는 질적으로 다른 행복을 맛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본주의는 더 많은 재산을 가지라고 우리를 끊임없이 유혹하는 체제를 말한다. 항상 자본주의는 자본의 양이 자유의 양이라고 사탕발림하며 우리를 미혹의 길로 이끌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빈주머니에 손을 찔러보며 우리는 무엇인지 모를 부자유와 우울함을 느끼곤 한다. 많은 지혜로운 사람들이 이야기하듯이, 결국 자본주의가 말하는 자유는 소비의 자유, 소비할 때 일 순간적으로 찾아오는 덧없는 자유에 다름 아닌 셈이다. 이 점에서 자본주의의 자유는 일종의 마약과 같다. 달콤한 쾌락은 주지만 약효가 떨어지면 우리에게 심한 금단증상을 제공한다는 점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발적인 가난은 가장 자본주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려는 의지이자, 동시에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결단이라고 할 수 있다.  



유사 이래 동서양의 많은 철인들은 한결같이 ‘자발적 가난’이 가져다주는 행복을 통찰하고 있었다. 슈마허(E. F. Schumacher)는 『자발적 가난』이란 책으로 진정한 행복의 비밀을 노래했던 많은 철인들의 이야기를 수록하려고 한다. 원제가 더 의미심장하다. ‘작은 것이 많은 것이다(Less is more)’가 원제이기 때문이다.

청빈한 삶을 영위하던 서양의 은둔자들, 노동하지 않으면 먹지도 않겠다고 선언했던 동양의 선사들,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자본주의의 폐단을 지적했던 현대의 사상가들에 이르기까지, 모든 위대한 정신들은 직접 노동하며 남에게 나누어주는 삶, 그래서 자발적으로 가난해질 수밖에 없는 삶에서 가장 인간적인 행복을 발견했다. 혹시라도 자본이란 마약에 아직도 취해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 책은 진정한 행복을 약속하는 좋은 처방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먹을 것을 친구에게 나누어주는 어린아이의 미소, 니체가 그렇게도 요구했던 초인의 미소는 그렇게 멀지 않은 곳에 있었던 셈이다.(강신주 서평위원/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09. 11. 16.


댓글(7) 먼댓글(1)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서울비의 알림
    from seoulrain's me2DAY 2009-11-27 15:46 
    나눔의 의지와 자발적 가난 — via 로쟈
 
 
외투 2009-11-16 20:12   좋아요 0 | URL
'빈농(貧農)'의 나눔은 물질과 정신의 경계가 없는듯 합니다. 가난뒤에 어떤 부(富)를 얻었는지 궁금합니다.

로쟈 2009-11-16 21:04   좋아요 0 | URL
타의에 의한, 타율에 의한 가난은 짐이고 구속이죠. 그건 부정적인 것이구요, 다만 뒤집어서 부에 대한 강박을 짐처럼 이고 다닌다면 그 또한 낙타의 삶이라고 해야겠어요...

2009-11-16 22: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16 22: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16 23: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카스피 2009-11-17 09:30   좋아요 0 | URL
오호 로쟈님 글을 읽으니 갑자기 폴리네시아 원주민이 생각나네요.자발적 가난(청빈)과는 좀 다른 개념인데... 이들은 부를 축적하기 위해 온가족이 정말 밤잠 안자고 열심히 일을 한다고 합니다.그래서 대규모의 부를 축적하면 갑자기 온 마을 사람들한테 그 부를 정말 무상으로 배분한다고 하는군요.그 뒤에 남는 것은 그 사람에게 주민들이 바치는 대인이라는 칭송뿐이라고 하더군요.일종의 명예인데 사람들은 그 명예를 부러워하며 너도 나도 부를 축적하고,대인이라고 명예를 받은이도 그 명예를 지키기위해 또 부를 축적하며 마을 주민들에게 나누워 준다고 합니다.
뭐 사회적 부의 재분배 시스템인데,결국 나눔은 이타적 생각이지만 마음속에 이런 명예욕에 관한 이기적 생각이 있어서가 아닌가 싶은데요

로쟈 2009-11-17 12:22   좋아요 0 | URL
그런 '이기심'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