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나온 책이긴 하지만 짐작에 지난 한달을 통틀어 학술사전 분야에서 가장 의미있는 책이라 할 만한 것은 <칸트 사전>(도서출판b, 2009)이다. 현대철학사전 시리즈의 첫 권이지만, 올초에 나온 <헤겔사전>에 이어 두번째로 나왔다. 이제 비로소 '칸트에 헤겔까지' 독일 관념론을 독파하는 데 필요한 연장을 다 구비하게 된 듯싶다. 지젝의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도서출판b, 2007)을 다시 손에 들어도 좋지 않을까.
일본학계의 칸트연구 성과를 가늠해볼 수 있다는 것도 책의 장점인데, 용어 번역 문제를 어떻게 처리했는지는 개인적으로 궁금하다. 백종현 교수의 칸트 번역서들서 사용된 용어들과 비교해보는 것도 한 가지 공부이겠다. 책을 손에 넣기 전에 일단 관련기사를 스크랩해놓는다.
문화일보(09. 10. 12) ‘칸트의 모든 것’ 한권의 책으로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1724∼1804)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칸트사전’(도서출판 b)이 출간됐다. 출판사에서 기획한 현대철학사전 중 제1권으로, 올해 초 나온 제2권 ‘헤겔사전’에 이어 출간된 이 사전은 1990년대 중반 일본에서 158명의 칸트 연구자들에 의해 집필된 ‘칸트사전’(코분도·弘文堂)을 독일 철학 연구자인 이신철 건국대 강사가 완역한 것이다. 사카베 메구미(坂部惠) 일 도쿄(東京)대 명예교수와 아리후쿠 고가쿠(有福孝岳) 교토(京都)대 통합인간학부 교수 등이 편집고문을 맡고 구로사키 마사오(黑崎政男) 도쿄여자대 문리학부 교수 등이 편집위원을 맡아 1997년 펴낸 ‘칸트사전’에는 일본의 칸트 연구 역량이 총집결돼 있다.
칸트 철학의 기본개념들과 칸트 연구에서의 핵심사항 등 이 사전에서 다루고 있는 항목들은 800여개에 달하며 ‘관념론’·‘대립’이나 ‘독일의 칸트 연구’ 등과 같이 철학사의 주요한 개념들과 연구사의 중요 쟁점들은 짧은 논문 한 편 분량으로 상세하게 해설돼 있다. 이와 함께 그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칸트의 강의록들에 대한 해설 및 칸트 연구와 관련된 다양하고 폭넓은 참고 자료들이 실려 있다. 특히 칸트 철학이 일본에서 수용된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어 우리에게 칸트에 대한 ‘창조적 독해’의 방향을 시사하기도 한다. 역자가 덧붙인 ‘한국어판 칸트 저작 및 연구문헌 일람’도 부록으로 수록돼 있다.
‘순수이성비판’ 등 3권의 비판서를 남긴 칸트의 철학은 그 이전의 철학사 전체가 그곳으로 흘러들어오고 또 그 이후의 모든 철학들이 어떤 모양으로든 그곳으로부터 발원하고 있는 하나의 광대한 호수에 비유된다. 특히 칸트의 사유 속에서 철학적 사유의 모든 근본문제들과 기초개념들이 다듬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칸트 철학에 대한 독해가 여러 철학적 사유와 우리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이나 정작 칸트 철학에 대한 이해는 지난한 과제이다. 칸트가 다루고 있는 주제의 방대함과 가닥을 찾기 어렵게 얽혀 있는 개념들의 그물망, 칸트 철학에 대해 서로 대립하는 다양한 해석 때문이다. 이 점에서 텍스트 비판에 기초해 칸트 철학의 의의를 현대의 관점에서 재발견하려고 노력한 이번 사전은 칸트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나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판사는 내년에 현대철학사전 시리즈로 ‘마르크스사전’과 ‘니체사전’, ‘현상학사전’을 잇따라 출간할 예정이다.(최영창기자)
09. 10. 17.
P.S. 최근에 나온 칸트 번역서로는 <형이상학적 진보/ 발견>(이제이북스, 2009)가 있다. 연구서로는 칸트 전공자인 강영안 교수의 <칸트의 형이상학과 표상적 사유>(서강대출판부, 2009)가 저자의 칸트 연구를 집약해놓은 책으로 기대를 갖게 한다. 덧붙여, 칸트 연구서로 빨리 번역되었으면 싶은 책은 승계호 교수가 쓴 입문서 <칸트>(컨티뉴엄, 2007). '당혹한 이들을 위한 안내서' 시리즈의 하나인데, 한국인 학자가 이런 저명한 시리즈의 저자로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도 흡족하고. 국내에 출간된 책으론 클레어 콜브룩의 <이미지와 생명, 들뢰즈의 예술철학>(그린비, 2008)이 이 시리즈의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