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자 한국일보에 실린 글을 옮겨놓는다(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809/h2008092702460884210.htm). '책과 인생' 코너에 5매짜리 원고를 청탁받고 쓴 것이다. '거창한' 주제를 짧게 쓰려고 하니 특별히 떠오르는 기억도 드물어서 어제 새벽에 책장 가까이에 있는 니진스키의 책을 펴놓고 예전에 쓴 글도 참고하여 몇 자 적었다. '눈물의 바다 러시아 문학'이란 '과장된' 제목은 물론 나의 작품이 아니다...
한국일보(08. 09. 27) [책과 인생] 눈물의 바다 러시아 문학
능글맞기도 하지만 괜히 잘 우는 사람들이란 고정관념을 나는 러시아인들에 대해 갖고 있다. 물증을 대라고 하면 내가 만났던 러시아인들이 아니라 내가 읽은 러시아인들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실제로 그들이 눈물을 흘리는 것을 직접 보지는 못했으니까. 하지만, 가령 전설적인 무용가 니진스키는 일기에 이렇게 적었다. "나는 울고 싶은데 신은 내게 쓰라고 명령한다. 그는 내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걸 바라지 않는다. 아내는 울고 또 운다. 나 역시 운다."
<니진스키 영혼의 절규>란 책에서 인용한 것이다. 이 제목은 조금 과장된 것이다. 정신질환을 앓으며 요양원에 입원해 있던 니진스키가 아예 정신을 놓기 전에 쓴 일기이기 때문이다. 오래전에 나온 같은 역자의 첫 우리말 번역본에는 그냥 <니진스키의 고백>이란 제목이 붙어 있었다. 그리고 몇년 전 모스크바에서 구한 러시아어본의 제목은 <감정>이다. 물론 이 제목들이야 편집자의 작품일 것이다.
20대 초반의 어느날 나는 지방의 한 시립도서관에서 <니진스키의 고백>을 빌려 읽은 적이 있다. 이렇게 시작했다. "나는 울고 싶은데 신은 내게 계속 쓰라고 명령한다. 그는 내가 빈들거리는 걸 원하지 않는다. 내 처는 줄곧 울고 있다. 나 역시 운다." 이건 뭐 달리 대책이 없다. 읽으면서 같이 우는 수밖에.
니진스키는 고기를 먹으면서 울고, 사랑의 시를 적으면서 울고, 아내의 울음 때문에 또 운다. 그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위대한 예술가' 이전에 '너무나 많은 고통을 받은 단순한 사람'이라고 스스로 생각한다. 그 고통은 모든 인간을 사랑하고자 하기에 신조차도 가여워한 한 영혼의 고통이다. 어느 시인을 위해 울어주던 버드나무처럼 그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서 운다. 그 생각만 하면 나도 눈물이 난다.
아직 능글맞은 중년의 경지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빈들거리는 일이 잦은 나는 그런 때마다 반쯤 정신 나간 무용가의 눈물을 떠올리곤 한다. 사실 내가 좋아하는 러시아문학은 그런 눈물의 바다이기도 하다. 그들은 삶을 너무 사랑한 것이 아닐까?
08. 09. 27.
P.S. 니진스키의 일기 얘기를 꺼낸 김에 관련서들의 이미지도 옮겨놓는다. 먼저 내가 제일 처음 읽은 <니진스키의 고백>(문예출판사, 1975).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발췌본의 번역이어서 <니진스키 영혼의 절규>와는 번역대본이 다르다. 제대로 된 완역본이 1995년 파리에서 처음 출간되었고 1999년에 영역본이 나왔다. <절규>는 그것을 옮긴 것이어서 <고백>과는 차례도 다르다. 내가 아는 러시아어본이 나온 것은 2000년이 돼서다.
이 <고백>은 나중에 구하려고 하니 눈에 띄지 않아서(지금이라면 구할 수 있을 듯싶지만) 한 시립도서관의 책을 복사해서 갖고 있다. 그의 여동생이자 안무가 브로니슬라바 니진스카의 책 <나의 오빠 니진스키>(문예출판사, 1988)와 아내 로몰라 니진스키가 쓴 회고록 <천재는 어디로: 무용의 신 니진스키>(까치, 1981)도 이덕희씨의 번역으로 출간됐다. '니진스키 3종 세트'라 할 만하지만, 나는 따로 갖고 있지 않다.
러시아에서 출간된 니진스키 관련서를 오래만에 검색해보았다. 먼저 그의 일기의 러시아어본인 <감정>(2000). 같은 출판사에서 나왔지만 표지는 두 종이 있다. 왼쪽이 더 마음에 들지만 내가 갖고 있는 건 오른쪽.
그의 아내 로몰라의 회고록도 두 종이 눈에 띈다. 그밖에 전기 작가 리처드 버클의 전기 번역서 등이 더 있다. 관련서가 많지는 않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