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신간 중에 '오래된 새책'으로 눈길을 끄는 책은 롤랑 바르트의 <기호의 제국>(산책자, 2008)이다. 재출간된 책인 만큼 자세한 서평은 올라오지 않았다. 하지만 북페이지에서 자세한 소개를 읽을 수 있다. 이렇게 돼 있다.

롤랑 바르트의 『기호의 제국』을 다시 한국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이 책은 1997년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가 오래도록 절판된 상태로 ‘기호’로만 남아 있어, 적지 않은 인문 지성 독자들이 재발간을 기다려온 텍스트였다. 이번에 스키라 판(Skira, 1970)을 번역한 1997년 번역 판본에 더해 세이유 판(Seuil, 2005)의 몇 군데 수정사항을 반영해, 동일한 역자의 섬세한 재작업을 거쳐 새로운 한국 판본을 출간하게 되었다. 특히 이번 산책자 판 『기호의 제국』은 <산책자의 에쎄Essaie>라는 이름으로 이어질 ‘그윽한 사유와 새로운 비평이 담긴 지성 에세이 시리즈’의 첫 권으로써, 현대적 감수성으로 빚은 ‘텍스트의 즐거움’을 찾는 탐서가(산책자)들을 인도하는 ‘산책로 표지판’이기도 하다.

나는 이전 민음사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몇 군데 수정사항만 확인하면 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책은 콘텐츠로만 읽는 것도 아니어서(e-book을 나는 즐기지 않는다) 막상 표지를 보면 견물생심이 된다. 비록 민음사판의 표지가 더 마음에 들지만(알라딘에 이미지가 없어서 리브로에서 가져왔다).

소개를 조금 더 따라가본다. "구조주의 시대의 도래를 예고한, 혁신적인 이론과 문체로 빛나는 현대 비평의 핵심 텍스트『기호의 제국』에서 바르트가 구성해낸 일본은 하나의 텍스트이며, 그는 “그곳에서 나는 여행객이나 방문객이 아니라 독자”라고 말한다. 그가 일본에서 읽고 있는 여러 문화 현상들은 간단한 사물이나 사건이 아니라 씌어진 텍스트다. 그것도 단순한 논리나 사건 중심으로 씌어진 것이 아니라 하이쿠처럼 언어를 통해 언어의 핵심에 이르려는, 몸짓으로서의 글쓰기를 통해 씌어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일본 문화라는 텍스트에 대한 일종의 비평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까 <기호의 제국>은 일본이란 텍스트보다는 바르트란 텍스트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말해주는 텍스트이다. 바르트에 대해서 말해주는 텍스트도 그 자신이 쓴 것을 포함해서 몇 권이 소개돼 있다. 역시나 절판된 자서전 <롤랑 바르트가 쓴 롤랑 바르트>(강, 1997), 문학이론가 조너선 컬러의 <바르트>(시공사, 1999), 그리고 최근의 책으로 그레이엄 앨런의 <문제적 텍스트 롤랑 바르트>(앨피, 2006)가 '바르트 로드맵'으로 추천할 만하다.

얇은 책으론 트리포나스의 <바르트와 기호의 제국>(이제이북스, 2003)도 유용하다. 바르트라는 '기호의 제국'에 대한 1시간짜리 유람기이다. 그리고 '바르트 텍스트의 즐거움'을 직접 맛보고 싶다면 가장 '대중적인' 바르트 텍스트인 <사랑의 단상>(문학과지성사, 1991; 동문선, 2004)부터 집어드는 것이 안전하겠다...

08. 09. 21.

P.S. 바르트의 책을 검색해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책은 한명숙 역의 <유행과 문자의상 체계>(경춘사, 1994)이다. 짐작엔 <모드의 체계>(동문선, 1998)와 같은 책이 아닌가 싶은데, 분량이 258쪽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완역은 아닌 듯싶다. 책은 바르트의 박사학위논문으로 씌어진 것이어서 가장 '딱딱하다'. 현재는 둘다 절판된 상태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람혼 2008-09-21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가운 [재]신간 소식이군요! "동일한 역자[들]의 섬세한 재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너무 궁금해서 책을 빨리 구입하고 싶은 마음입니다.^^

로쟈 2008-09-22 16:39   좋아요 0 | URL
리뷰도 올려주시길.^^

열매 2008-09-21 14: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국내)'동일한 역자(들)의 섬세한 재작업'이란 말이 왠만해선 믿어지지 않으니 출판계에 대한 제나름의 불신이 심하긴 한가 봅니다.

재번역본이 나오면 무작위로 3~4군데 정도 펼쳐서 구판과 비교해보는데, 이때까지는 글자 한자 변한 케이스도 보지 못했습니다. 가격은 변화무쌍했지만요. 물론 개역때마다 (원전과도 무관해보일 정도로 변신하는) 임석진교수의 <정신현상학>같은 개역판은 드문 케이스일 것입니다.

출판사에서 저렇게 광고하는데 얼마나 개역되었는지 궁금하긴 합니다만,
영 구입버튼은 눌러지지 않을 것 같네요-..-;

람혼 2008-09-21 15:47   좋아요 0 | URL
실로 이심전심입니다... 임석진 선생이 저 <정신현상학> 번역에 '투신'하는 끊임없는 노력은 정말 보기 드문 경우죠("원전과도 무관해 보일 정도"라는 말에 잠시 웃었습니다^^ 한길사 판은 지식산업사 판보다 조금 더 '부드럽게' 의역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이고 또 헤겔 원문의 복잡한 복문들을 좀 더 끊어서 번역하고 있기는 합니다만, 임석진 선생의 번역은 한 저자를 오랜 세월 동안 만나고 또 그의 문장을 여러 시간 동안 옮겨올 때 갖게 되는 일종의 '동체화(同體化)' 같은 것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기호의 제국>의 재번역도ㅡ그러한 불신의 와중에서도ㅡ'최소한' 그런 개역이기를 바라는 마음 한 자락 담아봅니다.

노이에자이트 2008-09-21 16: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겔의 노동의 개념>지식산업사 도 저자의 프랑크푸르트 대학 학위논문인데 이을호,황태연 번역을 10년 뒤에 저자가 다시 직접 번역해 내놓는 걸 보니 성실하고 꼼꼼한 분인가 봐요.음...정신현상학 번역도 그랬군요.

로쟈 2008-09-22 16:40   좋아요 0 | URL
헤겔이 독일어로 번역되어야 한다면 임석진 번역의 헤겔도 한국어로 번역되어야 하다고 봅니다...

노이에자이트 2008-09-22 22:24   좋아요 0 | URL
황태연 씨는 요즘 주역에 열중한 나머지 전공인 독일 사상은 소홀히 하시는 듯...

로쟈 2008-09-23 00:08   좋아요 0 | URL
현실정치에 발을 들여놓다 보니 '관념론'이라는 게 시시해졌는지도 모를 일입니다...

PhEAV 2008-09-22 1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를 요즘 원전과 국역구판을 함께 읽고 있는데, 국역신판과 구판을 비교해보니, 한 부분이 나아졌다 싶으면, 다른 한 부분이 엉망이 되어있는 걸 보면서 (어떻게 그럴 수가;;) 헌책방에서 구한 『기호의 제국』 민음사판을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을 하게 되네요. -_-...
이렇게 불신하면서도 결국 또 책을 사게 될 것 같다는 이 중독자의 불안감 ㅠ,.ㅠ (저는 왜 하라는 공부를 하는게 아니라 책 수집만 하는지... 후덜덜;;)

로쟈 2008-09-22 16:40   좋아요 0 | URL
증상이 저랑 비슷한데요.^^;

람혼 2008-09-23 14: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이 도착해서 가장 먼저 확인한 것은 'Garabagne'에 대한 역자의 주석이었는데요, 보고나서 크게 웃어버렸습니다, 그 웃음의 의미는 참으로 다층적이고 복잡했었지만요...^^

로쟈 2008-09-23 22:16   좋아요 0 | URL
언젠가 페이퍼로 쓰셨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