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어야 할 책은 많고 써야 할 글도 많은데 아직도 컨디션은 찌푸린 날씨를 닮았다. 게다가 책들은 또 왜 이리 더디 읽히는지. 투정삼아 어젯밤에 잠시 읽다 만 한 대목을 다시 들춰본다. 리처드 파이프스의 <소유와 자유>(나남, 2008)를 원서와 함께 읽는데, 서문의 끄트머리에서 파이프스는 야콥(야코프) 부르크하르트의 <세계 역사의 관찰>에서 한 대목을 인용한다. 자신이 러시아사 전공자이고 근대유럽사에 관한 교재도 집필한 적이 있지만 이 책은 훨씬 넓은 범위를 다루고 있기에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런저런 사실이나 해석에 대해 비난할 게 분명하다"고 생각해서다(물론 홉스봄처럼 '세계사'를 다루는 역사가들도 있긴 하다!). 그런 비난에 대한 자기변호로 파이프스는 역시나 '아마추어 역사가'란 혹평을 듣기도 했던 부르크하르트의 말을 인용하는 것인데, '딜레탕티슴'에 대해서 '자콥 부르크하르트'는 이렇게 말했다.

취미로 하는 그림은 예술계에서 크게 무시당하고 있다. 예술은 완벽함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에 평생을 바치는 대가가 아니라면 그 무엇도 아니다. 그러나 학문의 경우 한정된 분야만을 숙달하더라도 이른바 전문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 개요를 정리하고 이를 존중할 수 있는 능력을 없애고 싶지 않다면 가능한 한 많은 분야를 어쨌든 개인적으로 조금이라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자신의 전문지식을 강화하고 다양한 역사적 관점을 익힐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자기 전공 이외의 분야에 대해선 문외한이 될 것이고, 그런 상황에서는 대체적으로 야만인에 불과하다.(<소유와 자유>, 14쪽)

 

 

 

 

'딜레탕티슴'이란 "예술이나 학문 따위를 직업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취미 삼아 하는 태도나 경향"을 가리킨다. 그런 딜레탕티슴이 예술분야에서는 보통 무시당하는 편이지만 적어도 역사학에서만큼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야지만, "자신의 전문지식을 강화하고 다양한 역사적 관점을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이프스는 이 대목을 부르크하르트의 독일어 원서에서 직접 번역하여 옮겨놓고 있는데, 그의 번역은 이렇다.

[Dilettantism] owes its bad reputation to the arts, where, of course, one is either nothing or a master who devotes his entire life to them, because the arts demand perfection. In learning, by contrast, one can attain mastery only of a limited field, namely as a specialist, and this mastery one should attain. But if one does not wish to forfeit the ability to form a general overview - indeed, to have respect for such an overview - then one should be a dilettante in as many fields as possible - at any rate, privately - in order to enhance one's own knowledge and enrichment of diverse historical viewpoints. Otherwise one remains an ignoramus in all that lies beyond one's specialty, and, under the circumstances, on the whole, a barbarous fellow.

<소유와 자유>에서는 'Dilettantism'을 역자가 '취미로 하는 그림'이라고 제한적 의미만 번역하는 바람에, 그리고 내가 강조한 대목에서는 '딜레탕트'란 말을 따로 옮기지 않는 바람에 '전문가'와 '딜레탕트'간의 대조가 희석됐다. 그래서 더 낫게 번역돼 있지 않을까 싶어서 부르크하르트의 책을 찾았다. 내가 갖고 있는 건 지난달에 나온 <세계 역사의 관찰>(휴머니스트, 2008)과 예전에 나온 <세계사적 성찰>(신서원, 2001), 그리고 같은 책의 영역본 <역사에 관한 성찰(Reflections on history)>(1943/1979)이다. 인용문과 같은 대목을 두 국역본과 영역본은 각각 이렇게 옮겨놓았다.

딜레탕티슴이란 말은 예술 분야에서 평판이 나빠진 말이다. 예술분야에서는 대가(大家)가 아니면 아무것도 아니고, 당연히 한 분야에 목숨을 바쳐야 한다. 예술이란 본질적으로 완전함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학문에서는 제한된 분야의 대가가 될 수도 있다. 곧 전문가가 되는 것인데, 그것도 어느 영역이든 상관이 없다. 그러나 전체적인 조망의 능력과 그것을 존중하는 법을 모른다면, 수많은 다른 자리에서는 딜레탕트가 되고 만다. 자신의 인식을 늘리고 관점들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어쨌든 그 자신이 해야 할 일이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전문영역을 넘어서 있는 다른 모든 것에는 무지한 사람이 되고, 어떤 상황에서는 조잡한 견습공 신세가 되고 만다."(<세계 역사의 관찰>, 51쪽)

'아마추어'란 말은 사람들이 대가(大家)나 또는 아무것도 아닌 사람으로 되어야만 하는, 또는 자신의 생을 온통 바쳐야만 하는 예술 때문에 평판이 나빠졌다. 왜냐하면 예술이란 본질적으로 완전성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학문에 있어서는 그와 반대로 한 개인은 어떤 한 제한된 영역에서만 대가가 될 수 있다. 말하자면 한 전문가로서 말이다. 그는 어디에서인가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만일 그가 일반적인 개관을 할 능력을, 혹은 이러한 개관에 대한 존경을 상실한다면, 그는 가능한 많은 다른 점에서 적어도 개인적으로 자신의 인식과 관심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아마추어가 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자신의 전문분야 이외에 있는 모든 것에 있어서는 하나의 무식꾼으로 남게 될 것이며 아마도 야민인과 같은 사람으로 남게 될 것이다.(<세계사적 성찰>, 35-36쪽)

The word "amateur" owes its evil reputation to the arts. An artist must be a master ot nothing, and must dedicate his life to his art, for the arts, of their very naturem demand perfection. In learnng, on the other hand, a man can only be a master in one particular field, namely, as a specialist, and in some field he should be a specialist. But if he is not to foefeit his capacity for taking a genaral view, or even his respect for general views, he should be an amateur at as many points as possible, privately at any rate, for the increase of his owm knowledge and the enrichment of his possible standpoints. Ohterwise he will reman ignorant in any field lying outside his owm specialty and perhaps, as a man, a barbarian.(53-54쪽)

부르크하르트의 요지는 딜레탕트가 별로 좋은 평을 얻지 못하는 예술분야와는 달리 학문, 특히 역사학에서는 딜레탕티슴이 불가피하며 오히려 장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학문에서는 먼저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든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요즘 '박사'는 말로만 '박사'다). 또 그렇다고 해서 전공이 아닌 다른 분야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이 용인되어서도 곤란하다. 적어도 일반적인 관점, 전체적인 조망능력을 상실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우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딜레탕트가 되어야 한다.   

다른 대목들은 차치하고, 이 점에만 초점을 맞추어도 두 국역본의 번역은 과녁에서 동떨어져 있다. 먼저, <세계 역사의 관찰>에서 "전체적인 조망의 능력과 그것을 존중하는 법을 모른다면, 수많은 다른 자리에서는 딜레탕트가 되고 만다"는 딜레탕트에 부정적인 뉘앙스를 부여함으로써 부르크하르트의 취지에서 멀찍이 벗어난다(아예 정반대로 옮긴 것이 된다). 우리가 딜레탕트가 되어야 하는 것은 '전체적인 조망의 능력과 그것을 존중하는 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상실하지 않기 위해서다.

"적어도 개인적으로 자신의 인식과 관심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아마추어가 되어야만 한다"고 해서 절반은 맞게 옮겼지만 <세계사적 성찰>의 경우도 "만일 그가 일반적인 개관을 할 능력을, 혹은 이러한 개관에 대한 존경을 상실한다면"이라고 전제하여 나머지 절반은 잘못 옮겼다(앞부분에서 예술에서의 딜레탕티슴이 갖는 평판에 관한 부분도 상당히 어색한 번역이다). 독일어 구문이 얼마나 복잡한지는 모르겠지만 전문번역자와 역사철학 전공자가 똑같이 실수를 범한 것은 의외다.

<소유와 자유>의 역자는 '경제/금융 전문기자'로 소개돼 있다. 다시 말해 역사쪽으로는 '딜레탕트'다. 그리고 그가 옮긴 것도 영역된 부르크하르트의 문장이므로 '중역'이다. 그런데, 적어도 이 인용문단의 경우에는 독어 원전을 번역한 두 '전문가'의 번역보다 원뜻에 그나마 가장 가깝다. 이건 좀 아이러니한 일 아닐까? 딜레탕트(아마추어)가 아닌 '전문가'라 하더라도 주의하지 않는다면 '조잡한 견습공'과 '야만인'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모양이다...

08. 07. 19.


댓글(10) 먼댓글(4)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YG의 생각
    from vizualizer's me2DAY 2008-07-19 12:42 
    도스토예프스키 비판에 관하여 - 로쟈의 저공비행
  2. 딜레탕티즘
    from Surplus Text : Front Edge 2008-07-20 00:32 
    딜레탕티즘 : 예술이나 학문 따위를 직업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취미 삼아 하는 태도나 경향 - 집에 있는 책들을 얼마 전에 죄다 정리했다. 정리하는 데 꽤 힘이 들었는데, 가지고 있는 책들을 주제별로 분류하기에는 책꽂이의 칸 구분이 모자란 반면 책꽂이의 칸 넓이는 항상 남아돌았기 때문이다. 이것 저것 잡스럽게 책을 읽지만, 막상 그 잡스러운 것을 탄탄하게 읽지는 않았다. 나름 대학에 들어와서 전공을 정한 지도 벌써 두 해가 다 되어 가는데, 전공에..
  3. 인문교양과 딜레탕트적 독서
    from 로쟈의 저공비행 2009-03-16 00:20 
    주간한국의 '당신은 딜레탕트입니까'란 커버기사에서 독서문학 꼭지를 옮겨놓는다. 인문교양서 독자층의 관심을 엿보게 한다('로쟈'와 '비평고원' 같은 이름도 거명되고 있다). 리처드 세넷이 말하는 '새로운 자본주의 문화'의 양상을 딜레탕트적 독서와 연관하여 다뤄보려고 했으나 그럴 만한 여유가 없어서 일단은 기사만 스크랩해놓는다. 참고할 만한 내용은 먼댓글로 걸어둔다.     주간한국(09. 03. 11) [딜레탕트] 독서·문
  4. 역사는 국가, 종교, 문화의 상호작용이다.
    from 창조를 위한 검은 잉크의 망치 2010-11-30 21:10 
    헤겔은 역사 자체를 사유하면서 인류역사를 관통하고 있는 보편의 법칙과 원리를 내세웠다. 즉 인간의 이성이 자기실현을 통해 세계를 지배하며 이 법칙이 지향하는 바는 절대정신이 현실적으로 외화된 ‘자유(국가)’였다. 이러한 헤겔의 이론에 따르면 세계역사도 당연히 이성적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헤겔의 논리는 역사를 연대기적으로 서술하면서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보며 과거를 줄 세워 현재를 정당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부르크하르트는 역사를 관통하는
 
 
노이에자이트 2008-07-19 2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사철하는 이들도 경제학을 알아야 하고 경제학하는 이들도 문사철을 알아야 하는데 칸막이 현상이 이 두 분야는 심각하죠?

로쟈 2008-07-20 12:01   좋아요 0 | URL
경제사 같은 것도 있으니까 서로 무관할 수는 없지요. 칸막이야 전공분야 안에서도 다 쳐져 있는 걸요 뭐...

노이에자이트 2008-07-20 2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보시고 난 다음에 서평 좀 올려주세요.

로쟈 2008-07-21 10:22   좋아요 0 | URL
현재로선 시간이 좀 걸릴 거 같습니다.^^;

개츠비 2008-07-21 0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의 어설픈 딜레탕티즘에게 위로를 해주는 글이군요.

로쟈 2008-07-21 10:22   좋아요 0 | URL
딜레탕티슴은 필요하기도 하고 불가피하기도 합니다. 오히려 전문가주의가 요즘 같아선 '지배 이데올로기'죠...

jotiple 2008-08-08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의아한 일이네요. 독일어 원문이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도 아니고, 부르크하르트의 논지도 오해할 수 없을 만큼 분명한데 말입니다. 인용하신 부분을 제가 가진 독어판에서 번역해보겠습니다.

"딜레탕티즘이라는 말은 예술분야로부터 악명을 얻게 되었다. 물론 예술이란 본질적으로 완전성을 전제하기 때문에, 예술분야에서 우리는 아무 것도 아니거나 대가이거나 둘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뿐이고, 삶을 통째로 작품에 쏟아 부어야 한다.
이와는 달리 이제 학문분야에서 우리는 제한된 영역에서만 대가가, 다시 말해 전문가가 될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학자는 자신의 전문분야를 갖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전반적인 조망을 할 줄 아는 능력과 이러한 조망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의 전문분야가 아닌 영역이라 하더라도 가능한 한 많은 영역에서 딜레탕트가 되어야 한다. 자신의 지식을 늘려가고, 풍부한 관점을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개인적인 차원에서라도 그렇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전문분야가 아닌 모든 분야에서 무식한 자로, 때로는 아주 조야한 인간으로 남아있게 될 것이다."

물론 이 말은 딜레탕티즘 자체를 옹호하는 말은 아닙니다. 딜레탕티즘의 불가피함을 말하고 있을 뿐이지요. 위의 인용문에 이어지는 부르크하르트의 말은 이러합니다.

"그러나 딜레탕트는 대상에 대한 애정을 지니고 있으므로, 살아가면서 여러 분야에 실로 깊이 파고드는 일이 가능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부르크하르트는 딜레탕트를 단죄하는 것도, 딜레탕트와 전문가의 경계를 부정하는 것도 아니지요. 인간의 지식과 사고의 능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학자는 자신의 전문분야를 갖고 깊이 파고들되, 다른 분야에서도 전문가 수준은 못되더라도 폭넓은 지식과 식견을 쌓아가야 한다는, 보기에 따라서는 매우 평범한 진술을 하고 있을 뿐입니다. 게다가 위의 인용문에서는 이런 딜레탕트 수준의 식견으로는 책을 쓴다거나 전문가행세를 한다거나 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도 일정하게 엿볼 수 있습니다.

어쨌든 번역이 저렇게 되었다는 것은 참 아쉬운 일이네요.

로쟈 2008-08-08 16:41   좋아요 0 | URL
네, 덕분에 쉽게 이해됩니다. 제가 여기저기 검색하다 보니까 부르크하르트에 대해 '아마추어적'이라는 비판도 있더라구요. 전문영역을 넘어서 너무 광범위하게 다룬다는 비판 같은데, '딜레탕트'와 '전문가'의 구별기준이 무엇인지는 계속 의문으로 남습니다(최근에도 '광우병 전문가' 논란이 있었지요). 학문이란 게 점점 전문화돼 가니까요...

jotiple 2008-08-08 1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부르크하르트는 그런 비판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가 정확한 사료연구와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강조한 랑케의 역사학을 거부하고 직관과 영감을 강조하면서, 랑케쪽의 입장에서 보면 다분히 주관적인 역사서술을 했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시각에서 보면 양쪽 다 문제가 있었다고 해야 하겠지요.

딜레탕트라는 주제는 18세기 이래 숱하게 거론되어 온 것으로 보이는데, 어원상 '즐거움' 때문에 어떤 활동을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재미가 아니라 밥벌이를 위해서 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인데, 그러니까 엄밀히 말해서 딜레탕트의 반대말은 '직업인' 정도가 되겠지요. 예술이든 학문이든 그것을 밥벌이로 하는 사람은 딜레탕트가 아니라 직업인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겠지요.

이렇게 구별하기는 쉬운데 반대말을 '전문가'로 놓고 보면 문제가 좀 복잡해지는 것 같습니다. 딜레탕트, 그러니까 '재미'로 어떤 일을 하는 사람들 가운데에서도 얼마든지 전문적인 수준의 식견에 도달한 사람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이 때에는 딜레탕트의 뜻도 달라지는데, '전문적인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식견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이 되면서 폄하하는 말로 쓰이기 쉽습니다. 하지만 딜레탕트들이 많은 사회는 '무식한 사람'이 많은 사회보다는 훨씬 낫다고 해야 하겠지요. 각 분야에 딜레탕트들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일반적인 교양수준이 높다는 이야기일테니까요. 또 딜레탕트의 존재는 전문가의 활동의 근거와 토양이기도 하니까요.

그런데 말씀하신 대로 전문가와 딜레탕트를 대립시키는 이런 구도에서는 과연 양자의 차이가 뭐냐, 하는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데, 일반적으로는 양자의 구별이 그다지 어렵지 않은 것 같습니다. 대상에 대한 세밀하고 정확한 분석과 논지를 펼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대개의 경우 어렵지 않게 분간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전문가행세를 하면서도 전문적 식견을 갖추지 못한 사람, 딜레탕트를 자처하면서도 전문적 식견을 갖춘 사람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의견이 엇갈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을 인정해야 하겠지요.
정말 광우병과 관련하여 '전문가'니 '과학'이니 하는 말들이 심하게 오용되고 악용되었던 것 같습니다. 전문가라면 반드시 인정해야 할 논의의 전제들을 인정하지 않는 '전문가'들, '과학'의 기준이 과학자들이 아니라 특정 기관에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참으로 한심스럽더군요.

그나저나 우리 번역본들이 많이 나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로자님의 지적대로 아직 문제가 적지 않은 것 같습니다. 원어를 제대로 읽을 줄 아는 사람은 되도록 번역본을 피하고, 번역본을 읽는 사람들은 대개 원전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번역본의 문제점을 파고드는 '직업인'이란 전혀 없고, 번역의 질에 대한 일종의 '침묵의 카르텔'이 존재하고… 이런 상황이니 피해는 고스란히 독자들에게 돌아가는 것 같습니다. 로자님 같은 분들이 거의 유일한 희망이네요...

반딧불이 2010-11-30 2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페이퍼의 내용을 참고삼아 읽었습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