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한겨레21에 상반기 베스트를 꼽는 특집기사가 실린 걸 보고 나대로의 주관적 베스트도 꼽아보기로 했다. 사실 작년 8월에 '상반기 베스트'를 선정해본 적이 있는데, 하반기는 흐지부지 그냥 지나치고 말았다. 그리고는 다시 '상반기'다. 좋은 책들이 많이 쏟아져나왔지만, 일단 내가 정한 기준은 내가 읽은 책(완독하지 않았더라도), 그리고 내게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준 책, 더불어 사회적으로도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책이다. 이번에는 번역서들만을 대상으로 했다. 국내서의 경우엔 여름에 생각해보겠다...

 |
사실 예기치 않은 번역서다. 지금이 바로 읽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지젝을 위해서도 레닌을 위해서도 필독의 가치가 있다. '레닌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를 묻는 지젝에게서 또한 우리가 무엇을 배울 것인가 생각해볼 때다. |
 |
책은 '즐거움'과는 전혀 거리가 멀다. 하지만 예기치 않은 통찰과 생각거리들을 던져준다. 조금 '전문적'이어서 생각만큼의 반향을 얻지는 못한 책이지만, 얼 쇼리스의 <희망의 인문학> 이상으로 읽혀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인문학 강사들에겐 필독서. |
 |
단테의 <신곡>을 읽기 위해서 읽은 최적의 길잡이. 말하자면 <신곡> 읽기의 베르길리우스요, 베아트리체이다. 강연자도 청중도 모두 부러움의 대상이다. |
 |
'밥상'에 관한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 중 싱어와 메이슨의 책은 대표적이라 할 만한데, 비단 미국산 쇠고기 문제를 넘어서 우리에게 먹을거리의 윤리학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해볼 것을, 그리고 실천할 것을 제안한다. 비유컨대, 작년에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 있었다면, 올해는 싱어의 <죽음의 밥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