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세계적인 문화기호학자 유리 로트만의 선집 <기호계>(문학과지성사, 2008)가 출간됐다. 모스크바-타르투학파의 리더였던 로트만은 "미하일 바흐친과 더불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현대 러시아 지성계의 대표적 학자이자, 문화를 본격적인 기호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문화기호학이라는 학제의 가능성과 자리를 예견하고 예비했던 최초의 이론가로 잘 알려져 있다."

아직 리뷰들이 뜨지 않고 있지만 모처럼 묵직한 이론적 저작이 출간돼 반갑다. 개인적으론 교정에도 참여한 책이기에 더더욱. 아직 리뷰들이 뜨지 않아서 일단은 출판사의 소개를 잠시 옮겨놓는다(나도 따로 서평을 쓸 계획이지만). 로트만의 경력과 번역서의 서지에 관한 것이다.  

"레닌그라드 국립대학을 졸업한 뒤 에스투니아의 타르투 대학에 자리를 잡은 로트만은 이후 우스펜스키, 퍄티고르스키, 이바노프, 졸콥스키 등의 동료들과 함께 러시아 형식주의와 프라하학파의 유산을 구조주의 언어학과 결합시킨 독특한 구조-기호학적 문화론을 주창한다. 1964년 이들은 ‘타르투 여름학교’를 개최하는데, 이 학술 대회는 러시아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관심사와 전공 분야가 전혀 다른 각양각색의 연구자들이 로트만의 초대장과 ‘2차 모델링 체계’라는 하나의 공통 개념만을 갖고 몰려들면서 큰 성황을 이루면서, 이후 1970년까지 2년마다 개최되었다. 여름학교는, 1966년 2회 대회 때는 미국에서 로만 야콥슨이 찾아오고, 1968년에는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그 성과물을 모은 논문집 『기호체계 문집』을 번역하여 서방에 소개함으로써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등 성공을 거두게 된다. 이런 성과로 로트만은 당시 출국 금지 상태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69년 창립된 세계기호학협회의 초대 부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 학파의 핵심 멤버들 대부분이 미국과 영국 등으로 망명하면서 학파의 공동 작업이 사실상 종결된다. 또한 질서와 코드, 구조와 대립을 강조하던 구조주의가 거부되고, 새롭게 등장한 포스트구조주의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면서 유럽의 지적 담론의 전개에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끝내 망명을 거부하고 홀로 타르투에 남은 로트만은 포스트구조주의의 영향 아래서도 문화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기호학적 체계’의 관념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채 문화기호학을 정련해나갔다. 로트만에게 1970년대는 의미를 단일하게 규정하거나(구조주의) 혹은 유희적으로 비워버리는(포스트구조주의) 대신에 의미를 담는 갖가지 ‘다른 방식들’을 찾아내는 방법을 모색한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모색은 철저하게 문화 속에서, 문화를 통해 추구되었다."

"문화의 공시적·통시적 평면을 넓고 깊게 아우르는 로트만의 이 모색은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다. 이 짧지 않은 여정이 바로 ‘문화기호학’이라는 이름 아래 수행되었다. 그 길은 물론 문화를 끝없이 살아 숨 쉬는 정보로 만들기 위한 길이었지만, 동시에 기호학을 여전히 ‘기능하는’ 담론으로 유지하기 위한 힘겹고 지난한 여정이기도 했을 것이다. 1993년 10월 로트만이 사망한 뒤, 이듬해 발행된 『PMLA』지 로트만 추모 특집호 서문에서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이렇게 썼다. '1960년대라는 특별했던 그 시절, 로트만의 신중한 연구에서 미래의 전조를 보았던 사람들이 있었다.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세대의 ‘사무라이들’은 끈기와 열정으로 주변 문화들이 발신하는 새로운 기호들과 씨름하고 있었다. 그리고 바로 그때 타르투 학파, 그중에서도 로트만의 작업은 우리의 선례, 최소한 동류로 여겨졌다.'”

Ю. М. Лотман Семиосфера

"이 책은 지난 2000년 러시아의 ‘이스쿠스트보-에스페베’ 출판사에서 출간된 로트만 선집 『기호계Семиосфера』에 실린 논문 중에서 문화기호학과 관련된 논문 12편을 번역한 것이다. 첫 논문이 1968년에, 마지막 논문이 1992년에 발표된 것으로, 이 논문들에는 ‘공간적 모델링’을 비롯해 ‘비문화/반문화’ ‘경계’ ‘문화적 기억’ ‘복수 언어주의’ ‘대화’ 등 로트만 문화기호학의 대표적인 이론적 개념들이 빠짐없이 논의되고 있다."

원저인 <기호계>는 7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의 책이다. 번역본은 '로트만 기호계'의 아직 일부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어서 앞으로 '로트만 기호계'의 더 많은 대목들이 번역/소개되면 좋겠다. 참고로, 로트만에 대한 소개는 '유리 로트만의 기호학'(http://blog.aladin.co.kr/mramor/802010), '유리 로트만의 영화기호학'(http://blog.aladin.co.kr/mramor/802116), '바슐라르-예고로프-로트만'(http://blog.aladin.co.kr/mramor/1541527) 등을 참고할 수 있다.

08. 04. 09.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itournelle 2008-04-09 09:22   좋아요 0 | URL
역자에게 <문화연구 방법론>이라는 수업을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 '로트만'을 처음 접했었는데 그의 이론은 확실히 프랑스의 구조주의/후기구조주의적 흐름과는 다른 맛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로쟈 2008-04-09 15:20   좋아요 0 | URL
그런 인연이 있으시군요. '기호계'라고까지 하니까 스케일이 좀 다르죠.^^

털세곰 2008-04-11 01:05   좋아요 0 | URL
오고... 김수환 선생의 "역작"이 드디어 나왔군요. 판권 문제만 아니라면 딴 책들도 좀 손 봐줬으면 좋겠는데... 하여튼 반갑네요

로쟈 2008-04-11 22:26   좋아요 0 | URL
'딴 책들'의 양들이 너무 많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