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전시회 얘기도 적은 김에 새로 나온 미술관련서 소개도 옮겨놓는다. 특이하게도 <미술관에 간 화학자>(랜덤하우스, 2007)가 책의 제목이다. 제목대로 저자 전창림 교수는 '화학자'이고 미술에 해박해서 한편으론 미대에서 미술재료에 대한 강의도 맡고 있다고. 열렬한 미술광이 아닐까 짐작해볼 수 있는데, 짐작대로이다. "미술 책을 많이 읽었고, 루브르·오르세·퐁피두… 미술관 무료 개방일이면 하루종일 살면서 그림 구경 다녔어요. 당시 파리에 살던 백수남·김기린 화백과도 친하게 지냈어요. 생각해보니 과학자보다 화가들을 많이 만났네요.”라고 고백하고 있으니 말이다. 학문간 '크로스오버'의 좋은 사례이다 싶은데, 이러한 학제적 관심의 밑바닥은 바로 '열정'이란 건 확인하게 된다. 돈으로 장려할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다시 든다. 관련기사들을 모아둔다.

세계일보(07. 11. 03) 르누아르는 어떻게 햇빛을 그렸을까
렘브란트 그림으로 유명한 ‘야경’이 있다. 어둠 속에서 군대나 경찰이 순찰을 하는 장면이다. 그런데 이 그림이 본래는 낮 풍경이었는데, 100년 후 사람들이 어둡고 거무칙칙한 그림을 보고 추측해 붙였다는 것이다. 밤 풍경이 된 데는 여러 원인이 있다. 이 가운데 렘브란트가 납이 들어간 황토색, 흰색, 갈색 물감을 많이 썼는데, 그게 검게 변하는 특성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흑화현상’은 밀레의 ‘만종’에서도 나타난다. 여체를 그리면 껴안고 싶게 만든다는 르누아르는 따뜻한 햇빛을 캔버스에 담아낸 화가다. 그가 색채의 오묘한 성질을 몰랐다면 ‘목욕하는 여인’ 같은 명화는 결코 나올 수 없었다.

얼마 전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벽화 ‘최후의 만찬’이 16기가 픽셀의 고해상도 이미지로 재생돼 불과 몇 ㎝ 떨어진 곳에서 그림을 보는 것 같다 해서 주목받았다. 그런데 이 벽화가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심하게 손상된 것은 다빈치가 물감의 성질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미술은 화학과 지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예술이 아닐까.

‘미술관에 간 화학자’는 과학자의 눈으로 본 미술, 미술과 함께하는 과학에 대해 말하고 있다. 홍익대 화학시스템공학과 교수인 지은이는 어린 시절 화가의 꿈을 화학으로 풀어내며 미술과 화학, 또는 예술과 과학의 접점을 찾아가는 일을 해나왔다. 일반 미술평론가와 달리 화학의 소산으로서 그림을 분석하는 화학자의 미술평론이 대단히 섬세하고 흥미진진하다.

아무리 명화라도 그냥 보면 1분을 보기 힘들다고 한다. 그런데 설명을 들으면 몇 시간을 봐도 지루하지 않고 재미가 더욱 깊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지은이는 명화의 대부분은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얀 반 에이크가 그린 ‘아르놀피니의 결혼’을 지은이 시각으로 음미해 보자. 왜 남자가 손을 들고 있을까. 왜 대낮인데 촛불이 켜져 있을까. 그것도 딱 하나만. 그림 가운데 거울에는 뭐가 비친 것일까. 신부의 배는 왜 임신한 것처럼 부르며, 눈이 부시게 아름다운 녹색은 무엇으로 만들었을까. 남자 옷의 색이 왜 저렇게 이상하게 변했을까. 알아야 할 것도 많고, 이야기할 것도 많다. 그런 질문에 대한 답을 알면 더욱 재미있어지고 생각이 풍부해질 것이라는 것이 저자의 지론이다.
책에는 화학자의 별난 미술 감상기가 긴박감 있게 펼쳐진다. 화가들이 돌연사한 배후에 흰색 물감이 있었을 줄이야! 밀레의 만종이 칙칙해진 것이 아황산가스 때문이었다니. 철학적 사색까지 자극했던 세잔의 유명한 회화 ‘사과와 오렌지’에 등장하는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물감이 단지 앞으로 나와 보이고, 뒤로 들어가 보이게 하려고 사용했다니…. 명화 속 화학반응의 비밀이 밝혀질 때마다 깜짝깜짝 놀라고 무릎을 치게 감탄하게 한다.
인상파 화가들은 스펙트럼의 과학을 예술에 끌어들인다. 빨강과 파랑을 미리 섞으면 어두운 보라색이 되는데, 밝은 파랑과 밝은 파랑을 나란히 칠하고 조금 떨어져서 바라보면 우리 눈의 망막에 밝은 보라색으로 보인다고 한다. 과학과 미술의 연결고리까지 밝히는 지은이의 궁구하는 미술 열정이 돋보인다.(정성수기자)

중앙일보(07. 11. 03) ‘최후의 만찬’이 손상 심한 건 다빈치가 화학에 문외한인 탓
고등어에 많이 들어 있다는 불포화지방산이 미술의 역사를 바꿨다? 거장 렘브란트의 대표작 ‘야경’은 사실 낮 풍경을 그린 것이다? 미술 서적의 봇물 속에서도『미술관에 간 화학자』(랜덤하우스)는 도드라지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이자 ‘미술관에 걸어들어간 화학자’는 홍익대 화학시스템공학과 전창림(53) 교수다. 화학자의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 미술은 신선하다.

다빈치는 ‘최후의 만찬’을 그릴 때 유채와 템페라 기법을 함께 사용했다. 템페라는 안료를 갤 때 계란노른자를 넣는 방법이다. 노른자는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넣는 것으로 50% 이상이 수분이다. 그러니까 말 그대로 ‘기름’인 유채기법과 템페라는 상극인 셈이다. ‘최후의 만찬’이 다른 작품에 비해 유독 심하게 손상된 이유는 어울릴 수 없는 두 기법이 충돌한 탓이다. 수지 균형이 깨어져 상 분리가 일어난 것. 전 교수는 “미술뿐 아니라 기계공학, 천문학,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천재성을 드러냈던 다빈치도 화학에는 문외한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취학 전부터 미술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다고 한다. 고교 때까지 미대 진학을 꿈꾸었던 그는 돌연 화공과에 진학했다. “아버지의 간곡한 권유를 뿌리칠 수 없었어요. 제가 화학을 공부해 가업을 이어주길 바라셨거든요.” 그의 부친은 포스터컬러로 유명한 ‘알파색채’의 창업주 전영탁 회장이다.
화학도가 된 뒤에도 미술에 대한 관심을 거두지 않던 그는, 1981년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떠나면서 본격적으로 그림에 빠져들었다. 빡빡한 학사일정 속에서도 어떻게든 시간을 냈다. “미술 책을 많이 읽었고, 루브르·오르세·퐁피두… 미술관 무료 개방일이면 하루종일 살면서 그림 구경 다녔어요. 당시 파리에 살던 백수남·김기린 화백과도 친하게 지냈어요. 생각해보니 과학자보다 화가들을 많이 만났네요.”
가욋일에 눈을 돌린 전 교수를 곱지 않게 바라보는 시선도 있다. “과학자가 웬 미술이냐고, 외도라는 비난도 받았어요. 하지만 저는 ‘인류에 유익을 준다’ 는 과학의 본령을 잊은 적이 없습니다. 재료의 성질을 이해하지 못한 탓에 ‘최후의 만찬’ 같은 불후의 명작이 비운의 명작이 되지 않도록 돕고 싶습니다.”
그는 현재 홍익대 미술대학에서 미술재료 강의를 하고 있다. “이전에 없던 새로운 것, 창조적인 것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미술이나 과학이나 똑같지 않나요?” 그는 어린 시절 품었던 화가의 꿈을 화학이라는 붓으로 그려내고 있다.(이에스더기자)
07. 11.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