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사회사상가 조르주 소렐(1847-1922)의 <폭력에 대한 성찰>(나남, 2007)이 번역돼 나왔다. 낮에 잠시 신간도서들을 검색해보다가 알게 된 것인데, 이 책의 번역을 안면이 있는 출판사들에 제안하고 싶었을 만큼 평소 궁금하던 책들 중의 하나이다(아마도 지젝의 책에서 소렐이 언급되는 걸 읽었을 듯하다).

귀가길에 한 서점에 들렀다가 마침 들어와 있길래 단번에 손에 들었다.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학술명저번역총서의 한 권으로 출간된 것이니까 저작권이 말료된 책이라 하더라도 또 다른 번역을 시도했다면 공연한 수고를 보탤 뻔했다. 프랑스 생디칼리즘이 전공인 역자가 생디칼리즘 사상가의 책을 옮긴 것이므로 믿어봄 직한 번역이 아닐까 싶어서이다. 책소개를 위해 조르주 소렐을 검색해봤더니 바로 뜨는 게 진중권의 칼럼이다. 무려 8년전의 칼럼. 짐작엔 <폭력과 상스러움>(푸른숲, 2002)에 포함돼 있을 법하다(<폭력과 상스러움>은 오래전에 읽고 어디에 방치해놓은 책이라서 바로 확인이 되지는 않는다). '참을 수 없는 권력의 폭력'이란 타이틀이지만 부제는 사회주의는 '폭력에 고도의 도덕성을 부여한다 (조르주 소렐 <폭력에 관하여>)'이다. 소렐의 <폭력에 대한 성찰>은 <폭력에 관하여>, <폭력론> 등으로도 표기된다.

 

한겨레21(99. 02. 04) 참을 수 없는 권력의 폭력

“(노조는) 시장의 근본적 기능을 방해(하므로) 노동자들의 권익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법률을 정비하고 사회보장의 망을 확충(하는 대신) 노동조합의 독점적 권력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세이스트 고종석의 말이다. 여기서 ‘독점적 권력’이란 곧 파업권을 말할 게다. 노동조합이 어렵게 쟁취한 이 ‘권력’을 과연 ‘법률’이나 ‘사회보장’과 맞바꿀 수 있는가.

이 견해의 반대편에 소렐의 혁명적 조합주의가 있다. 소렐은 노조의 ‘권력’에 열광한다. 이 힘을 ‘사회보장’과 맞바꾸러 의회에 간 사회주의를 ‘계급의 적’이라 비난하며 그는 ‘폭력의 이념’을 선전한다. “의회? 노동자여, 부르주아를 닮지 말라. 폭력은 도덕적이다. 민주주의를 타도하라!” 이 맹목적 힘이 세계에 가져올 ‘구원’은 어떤 것일까? 공산주의 아니면 파시즘일 게다. 가령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시자 그람시, 파시즘의 창시자 무솔리니는 둘다 소렐의 추종자였다.

오늘날 소렐이나 벤야민처럼 총파업에서 인류를 ‘구원’할 메시아를 기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럼 노조는 왜? ‘권익옹호’와 ‘사회보장’은 노동자의 개인적 정당활동을 통해 얼마든지 확보할 수 있잖은가. 고종석의 말마따나 노조는 “노동의 질을 낮추고(…) 물가에 나쁜 영향을 끼치며 궁극적으로 실업을 늘”리지 않는가. 글쎄? 먼저 난 “현대 시장경제에서 노동조합이 단 하나 남은 권력”이라는 그의 말에 찬성할 수 없다. 왜? 노조는 유일한 권력이 아니다. 실은 또 하나의 권력이 있다. ‘국가.’ 난 국가가 총자본의 이익만 대변한다는 고전적 견해엔 동의하지 않는다. 하나 그게 만인의 이해를 공정하게 대변한다고도 믿지 않는다. 국가란 제도화된 폭력이다.

합의와 타협은 투명한 논리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이성적 대화 뒤엔 늘 끈적끈적 물질적 ‘이해’와 뭉클뭉클 ‘힘’이 숨어 있다. ‘힘’ 없는 ‘대화’는 공허하다. 소렐은 옳다. ‘대화’ 없는 ‘힘’은 맹목이다. 그래서 소렐은 틀렸다. ‘힘’의 맹목적 찬미. 이게 좌우익 파시즘이다. 그래서 난 벌거벗은 ‘힘’의 충돌을 이성적 ‘대화’로 바꾸는 기제로서 의회를 옹호한다. 하나 ‘대화’를 위해 ‘힘’을 거세하는 데엔 반대한다. 왜? 거세당한 자는 ‘대화’ 상대로 인정받지 못하니까. 노조는 국가라는 ‘독점적 권력’을 견제하는 ‘힘’으로 남아야 한다. 왜? 진정한 대화를 위해서.

그래서 난 노조의 ‘권력’을 국가에 반납하자는 제안에 반대한다. 폴란드와 중국의 자유노조운동을 보라. 거기엔 합법적 폭력을 분쇄하는 자유의 기운이 있잖은가. ‘한국 노동자, 세계 노동자계급의 전위.’ 재작년 노동자총파업을 어느 독일신문은 이렇게 평했다. 세계자본의 일방적 공세 속에서 터져나온 이 ‘힘’이 기자에게 신선한 느낌을 주었던 모양이다. 그때 한국 노동자들, 멋있었다. 싸가지 없는 국가에 본때를 보여주었다.

총파업은 메시아다. 국가라는 리바이어던과 마주선 잠재적 메시아. 단 우리는 이 메시아를 탈신학화해야 하고, 그 ‘힘’의 행사가 맹목으로 흐르지 않게 늘 감시하고 비판하며 그 정당성을 물어야 한다. ‘이성’의 포장지로 ‘힘’을 감추는 근대 자유주의의 위선, ‘힘’의 망치로 ‘이성’을 두들기는 좌우익 탈근대의 악마성. 근대와 탈근대를 모두 넘어서려는 나의 유물론은 그래서 힘의 비판, 폭력비판이 되어야 했던 거다.(진중권)

07. 07. 10.

P.S. 본문에서 언급된 벤야민의 폭력론과 그에 대한 데리다의 읽기는 <법의 힘>(문학과지성사, 2004)을 참조할 수 있다. 더불어 이에 대한 나의 읽기는 http://blog.aladin.co.kr/mramor/810363 참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oonta 2007-07-11 02:50   좋아요 0 | URL
앗 조르주 소렐의 책이 번역이 되었군요. 어서 한권 구입해야겠네요. 그런데 고종석씨가 정말로 노조의 '힘'을 반납해야한다고 했다면 정말 실망이군요. 진중권의 말대로 대화를 위해서라도 힘은 있어야 하는 법인데. 고종석씨는 자유주의자라기보다는 온건한 부르주아지식인이라고 보면 적당할듯 하네요. 그가 말하는 자유도 힘이 없이는 누릴수 없는 법인데 그는 이마저도 헌납하라고 하고 있는것이나 마찬가지인듯.

로쟈 2007-07-11 08:25   좋아요 0 | URL
그러한 '가능한 포지션'일 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