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강의를 앞두고 책장에서 찾지 못해 결국 서점 두 곳을 순례해야 했다(먼거리는 아니지만 버스를 세번 탔다). 푸슈킨의 단편집 <벨킨 이야기>(1830) 때문. 통상 대표작 <스페이드 여왕>(1833)과 같이 묶여 있다(제목이 <스페이드 여왕>으로만 되어 있는 경우에도). 강의에서는 두 작품을 모두 다룬다. 다수의 번역본이 나와 있고 대부분 갖고 있지만 이럴 때는 또 눈에 띄지 않는다. 강의보다 나를 피곤하게 만드는 건 이렇듯 강의책을 찾는 일이다.

<벨킨 이야기>의 원제는 <고 이반 페트로비치 벨킨의 이야기>이고 액자 형식의 구성으로 다섯 편이 이야기가 수록돼 있다. 문학사적 의의를 말하자면 러시아 최초의 예술산문이라는 것(나보코프의 평가다). 곧 예술적 가치가 있는 최초의 러시아 산문소설이다.

이 작품이 1830년에 출간된 것은 여러 모로 시사적인데 1830년이 여러 가지 의미에서 문학사적 분기점이 되기 때문이다(문학시장의 핵심 장르가 운문에서 산문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였다). 비단 러시아문학에서뿐 아니라 유럽문학 전체가 그렇다. 푸슈킨과 생년이 같은 발자크의 데뷔작이 발표되는 게 1829년, 초기 흥행작 <나귀가죽>이 나오는 게 1831년이며, 비록 나중에야 진가를 인정받지만 스탕달의 <적과 흑>이 1830년작이다.

단순하게 비교하면 러시아 근대장편소설(노벨로서의 로만)의 탄생이 프랑스에 비해서 조금 늦다. 푸슈킨의 경우 <대위의 딸>(1836)이 처음이자 마지막 장편인데, 사실 분량이나 스케일에 있어서 중편쯤에 해당한다. 러시아에서 본격적인 장편소설의 탄생은 투르게네프와 함께 시작되는 러시아 사실주의문학을 기다려야 한다. 그 시이에 놓인 고골의 <죽은 혼>(1842)은 ‘서사시‘(고골 자신의 표현)내지 ‘산문시‘(나보코프)에 해당한다. <고리오 영감>(1835)이나 <적과 흑>에 견줄 만한 러시아 소설은 그래서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1866)이다(일종의 지체현상이 벌어지는 건 러시아 중간계급 성장의 부진 때문이다). 내가 강의에서 자주 강조하는 것이 이런 표준적 소설들이 갖는 의의다.

내일부터 공교롭게도 19세기(8강)와 20세기(8강) 러시아문학을 같이 강의한다. 19세기 문학은 푸슈킨과 고골에 한정되지만 다양한 장르의 대표작들을 이번에 다룰 예정이고, 20세기 문학은 체호프의 <벚꽃동산>(1904)에서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1962)까지다. 이 강의들을 마치면 겨울의 문턱에 서 있게 될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ingles 2019-10-09 2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앞에만 읽고 낼은 체홉인데, 왜 푸쉬킨 책을 찾으셨을까 이상하다 생각했습니다.ㅎㅎㅎ 19C도 하시는군요!

로쟈 2019-10-09 23:25   좋아요 0 | URL
11일부터는 광진도서관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