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잠적할 때 들고가고픈 책'을 꼽으면서 황석영의 <오래된 정원>(과 임상수 감독의 <오래된 정원>)  이야기를 했는데, 오늘 아침에 읽은 신문에서 공감하며 읽은 칼럼이 이 '오래된 정원'에 관한 것이어서 옮겨놓는다. 문화평론가 남재일씨가 쓴 기명 칼럼이다.

경향신문(07. 01. 19) '오래된 정원’ 누가 지켰나

마흔 살의 전문직 여성 K는 80년대 중반 대학에 들어가 운동권 주변을 오가다 남자를 만났다. 남자는 인문학을 전공한 운동권이었다. 둘은 오랜 연애 끝에 ‘동지적 사랑’으로 결혼했다. 남자는 결혼 후 가정을 돌보지 않고 사회운동 언저리를 맴돌았다. 가계를 꾸려 나가는 것은 여자의 몫이었다. 그렇게 5년의 세월이 흘렀다. 여자는 불만이 없었다. 그게 자신이 사회에 기여하는 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지적 사랑’은 오래 가지 않았다. 남자는 여자가 벌어 주는 돈으로 공부를 하고 바람을 피웠다. 둘은 이혼했다. 여자는 현재 유통되는 ‘운동권’이란 말에 약간의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

또 다른 386여자 Y는 학생운동을 하다 수배당한 경험이 있다. 그녀 역시 운동권 남자와 결혼했다. 결혼 초기 둘은 잘 지냈다. 남자는 사회적으로 성공했고, 여자 역시 안정된 직장을 구해 사회생활을 잘했다. 몇 년 뒤 둘은 이혼했다. 남자는 세월이 지나면서 여성스러움을 찾았고, 여자는 그럴 의사도 능력도 없었다. 여자는 자신이 대학시절 여성스러움을 과도하게 억압하고 살았다는 사실을 최근에야 깨닫게 됐다고 한다. 여자는 요즘 20대 여성들을 보면 부럽다고 한다.

주변에 있는 386 여자들과 대화를 하다보면 이런 저런 이유로 ‘386 운동권’이란 말에 까칠한 태도를 보이는 사람이 적지않다. 적당히 운동한 경험이 있는 여성일수록, 결혼이든 연애든 운동권 남성과 사적 관계를 맺은 여성일수록 그런 성향은 더 강하다. 아마도 진보를 표방하는 시대와 남자에 대한 기대가 컸기 때문이리라.

그들은 이제 80년대를 여성에겐 매우 억압적인 시대로 인식한다. 남성의 경우는 다르다. 운동을 했건 안했건 80년대를 고통스러웠지만 아름다웠던 과거로 회고한다. 미디어에 재현되는 80년대의 이미지도 거의 예외없이 이 어조를 깔고 있다.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정치민주화의 주역이 자긍심에 차서 뒤돌아보는 자신들의 청춘시절이 80년대다. 진보를 자처한 386세대에 유난히 여성들의 존재가 미미하게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임상수 감독도 비슷한 생각을 했던 모양이다. ‘오래된 정원’은 황석영 원작의 전형적인 운동권 후일담이지만 영화는 좀 다른 각도에서 80년대를 본다. 시국사범으로 수배중인 인물과 그를 숨겨주는 시골 학교 미술교사의 러브스토리인 이 영화의 초점은 여자 주인공에게 맞춰져 있다. 분신을 하는 인물도 여자이다. 그들은 남자에 ‘엮여서’ 운동에 참여한다. 반독재의 대의에는 동의하지만 운동의 방식은 철저하게 타인의 방식을 강요당한다. 그 방식은 남성의 방식이자 폭력의 방식이다. 그것이 시대적으로 불가피했음을 인정하면서도 이 영화는 시대의 요구에 이끌려 자신의 방식을 박탈당한 사람들로 386 여자들을 그린다. 그게 어디 여자뿐이겠는가. 반독재라는 대의와 투쟁이라는 방식의 부조화 속에서 자신을 잃어버린 사람들이.

얼마 전 한 일간지에 학생회장 출신의 386 정치인 두 명과 기자의 대담이 실렸다. 거기서 두 정치인은 ‘386 진보이념은 실패했다’고 단언했다. 살아보니 분배가 아니라 생산이 중요하다는 거였다. 나는 참 웃겼다. 80년대 386세대의 노고가 몇몇 학생회장 출신 정치인들의 현재와 과거로 재단되다니. 실패한 것은 386의 이념이 아니라 386의 노고를 개인적 권력으로 전유한 정치판 386들의 미숙한 현실정치 일터인데도 말이다. 진보 이념은 일상적인 실천에 의해 사회속에 점진적으로 스며들지언정 ‘나의 단기적 성과’를 갈망하는 정치인들에 의해 좀체 이룩되진 않는다. 정원을 오래 지키는 것은 무명의 잡초와 들꽃들인 모양이다.(남재일/ 문화평론가)

07. 01. 19.

P.S. 필자는 기자 출신의 언론학자이며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비평으로 잘 알려져 있다(나는 <씨네21>의 칼럼란을 통해서 그의 이름을 기억하게 된 듯하다. 김규항만큼 날카롭지는 않지만, 이 칼럼을 읽어보니 오버하지도 않는군). 대표작(?)은 <그러나 개인은 진화한다>(강, 2006). 제목이 액면 그대로 저자의 포지션을 말해주는 듯하다. 작년에 구내서점에서 자주 보고 자주 지나쳤던 책인데, 언제 도서관에서 대출해봐야겠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크아이즈 2007-01-19 1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드뎌 로쟈님 방주에 남재일이 등장했도다. 문체면에서 김규항이 (이오덕의 영향을 받아) 무만 넣은 동치미처럼 알싸하게 접근한다면, 남재일은 배나 밤 등속이 알맞게 들어간 백김치 같다고나 할까요?

'살아보니 분배가 아니라 생산이 중요하다는 거였다.' 요런 말 주절이는 자를 혐오하는 건 김규항이나 남재일이나 닮았네요. 실은 저도 조금 혐오해요. 로쟈님은?

춤추는인생. 2007-01-19 17: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재일님의 대표작으로는 인터뷰집 나는 편애할때 자유롭다를 꼽고싶어요.
어떤부분에는 바늘처럼 날카롭고 때로는 한없이 부드러운 글쓰기의 표본을 보여주시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개인은 진화한다`에 나와있는 감독 임상수 작가 김훈의 인터뷰가 꽤 인상적였어요 ^^ 오래된 정원은 개봉날 뛰어가서 보고왔는데요.
쿨하다
팔짱끼고 뒤에서 보는 시니컬함은 임상수감독의 색체 그대로더군요...

로쟈 2007-01-19 1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팬들이 많으시네요.^^ 저는 아직 책으로는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살아보니 분배가 아니라 생산이 중요하다는 거였다'면, 자진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