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註 : 알라딘에서 이 책을 찾았지만 알라딘에는 없는 책인것 같습니다. 원래 "마이리뷰"에 올리려고 하였는데 알라딘에서의 검색이 불가능하여 이곳에 옮깁니다.>
중이 된다는 것은 '텅 빈 절집'을 채우는 일이랍니다. 출가하는 것은 마음을 '텅텅 비우기 위함'이니 당연히 '텅 빈' 절집을 찾는 것일겝니다. 이 책은 이렇게 '텅 빈' 빈 자리에 살그머니 들어 앉아 빈 곳을 채우는 삶을 살아가는 스님들의 마음이 담겨있는 책입니다.
'먹물들이기' 또는 '중물들이기'란 인간으로 태어나서 또 다른 빈 공간을 찾는 스님되는 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비워야 득도를 하기에 어쩌면 이 책은 명경지수 같은 맑은 마음이 담긴 거울같은 이야기로 가득찼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책의 표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책의 표지를 장식하는 것들은 상단 1/4에 지나지 않습니다. 물론, 이 책이 해인사 승가대학에서 편집을 했기에 의도적으로 '빈 공간', 또는 '텅 텅 빈자리'임을 애써 강조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이 책속의 빈 공간에는 모두 64편의 수필과 시가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가끔 몇 장을 넘기다 보면 사찰의 여러 모습이 흑백사진으로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그 사진 마저도 엄숙합니다. 아마도 수행승의 힘든 모습이 느껴지는 사진이기에 그렇게 가슴속에 와 닿는것이 아닐까요?
왜? 험난하다면 험난하고, 재미있다면 재미 있는 인간 세상을 떠나 '텅 텅 빈 공간'에 안주하려고 할까요? 아니, 안주가 아니라 새로운 고행의 삶을 새롭게 시작하려 할까요? 그리고 미지의 세계에 첫 발을 내딛는 그들의 마음은 어떤 설레임과 기대감으로 가득 차 있을까요? 부처님의 가르침에 충실할것을 맹세하는 상강례를 치루고 간경을 하는 스님들의 마음속은 정말 거울 처럼 맑은 마음일까요?
그러나 스님들은 그렇지 않음을 이야기 합니다. 인간이기에...인간의 굴레를 쉬이 벗어나지 못하기에 겪는 종교적, 정신적 갈등을 살짜기 속삭이고 있습니다. 안거에 들어가 면벽수도하는 기간이 얼마나 고되고 힘들었으면 부처님 몰래 손가락 셈으로 해제일을 꼽았겠을까요? 그리고는 그런 행위의 약싹빠름에 스스로를 질책합니다. 그들은 '텅 빈 공간'에 속세의 욕심으로 가득한 마음속을 '텅 텅 비우기'위해서 이곳에 왔음에 어리석은 스스로의 짧은 생각에 웃음 짓는지도 모릅니다.
젊은 그들이기에 만남도 있고 이별도 있습니다. 애써 수많은 얼굴들을 지우려 한다해도 다 지울수는 없습니다. 인간 세상의 연결고리는 그렇게도 모질고 끈질긴 모양입니다. 그런 와중에 고뇌하고 번뇌하며 '먹물들이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 스님들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오죽 마음을 씻기를 바랐으면 절간을 건너는 다리 조차도 마음을 씻는다는 뜻의 '洗心橋'라고 했을까요?
산문을 들어서고 깨달음을 얻는다는 마음이 설 때면 그들은 산문을 나섭니다. 산문을 들어 선 모든 사람들이 깨달음의 길을 떠나지는 않습니다. 그중에는 많은 사람들이 '먹물들이기'를 마치지 못하고 산문을 나서고야 맙니다. 그만큼 '먹물들이기'는 힘든 일입니다. 이런 '먹물들이기'의 과정도 간간히 들려 줍니다. 늘 산중에만 있기에 그들은 자연을 품을 줄 알게 됩니다. 그 속에는 소나무도 있고, 올챙이도 있고, 참새도 있고, 다람쥐나 청설모도 있습니다. '먹물들이는 사람'들에게는 이들 모두가 친구이며 동반자인 셈입니다. 이들은 인생 전부를 진리를 탐구하는것에 투자하는 일종의 투기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 투기꾼이 속내를 살그머니 들어내고 있습니다.
제대로 된 '먹물들이기'를 마치면 눈 마저도 투명합니다. 늘 맑기에 거짓으로 사물을 보지 못하며 가식을 부릴 수 없다는 스님의 말씀처럼 이 책 속에서는 가식을 찾을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이들은 이 책을 출간하며 글이 성글다(서투르다)고 했지만 투명한 마음으로 쓴 글이기에 그 성금마저도 찾아볼 수 없는것 같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먹물들이기'에 열중하고 있는 산중 사찰의 스님네들에게서 어서 빨리 커다란 솥 속에서 김이 모락거리며 먹물이 제대로 들기를 기원해 봅니다.
< 如 村 >
* 이 책은 해인사 승가대학 수다라편집실에서 편집하고 부흥기획 출판부에서 1994년에 초판을 발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