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건축:전통건축편
김봉열 / 공간사 / 1988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1980년대에 일기 시작한 우리 것 바로 알기중에서 우리 나라의 목조 건축물에 관한 구조나 형식을 지역적으로 묶어 엮은 책으로 전반적인 용어가 일반인을 위한 입문서나 개괄서라기 보다는 사전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물론, 건축규모나 용도 그리고 언제 만들어졌는지를 명시하여 전통건축에 관심이 있어 건축물이 존재하는 지역을 답사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안내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전통건축>편 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고 한국건축을 총망라했다는 머리글에 밝힌대로 저자는 한정된 공간에 많은 건축물을 담고싶어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거의 매 쪽마다 4~6장의 도판을 사용하여 이해를 돕고자 했고 매 쪽의 구성도 특이하게 가운데쪽으로는 사진과 그림을, 그리고 책의 바깥쪽으로는 이에 대한 설명을 달아 답사자나 방문자들이 한 권 정도 가지고 가더라도 불편함이 없도록 배려를 하였다. 특히 한국건축을 전공하는 사람들의 입장이라면 박물관 또는 문화재연구소에나 가야 얻을 수 있는 각 연구기관에서 조사한 우리 건축에 대한 도판을 상당수 실었기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본다.
필자는 이런 전문서적을 접하며 매우 유용하고 좋은 내용임이라고 느끼면서도 늘 아쉬움을 가슴속에 담게 되는데 이 책도 예외는 아니다. 그 첫번째가 도판 문제이다. 비단 이 책의 초판이 1985년에 발간되었다고는 하지만 전 도판을 흑백으로 게재한것은 소비자, 즉 독자에 대한 무책임이 담겨 있다고 보게되는 것이다. 이는 한 마디로 전문서적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는 전혀 고려의 대상이 아니라는식의 다소 불편한 느낌이 들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잘 만든 책을 왜? 잘 보이지도 않는 사진... 그것도 흑백 사진을 사용하여 그 참고 자료를 제대로 이용하지도 못하게끔 만들까? 저자도 서문에서 말했듯이 정말로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느라 엄청 고생을 했다고 토로했음에도 그 고생의 열매를 제대로 맺지 못하고 말았나?
이러한 도서는 조금 더 세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 책을 필요로 하는 전공자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고 한국의 전통건축을 총망라했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지만 그만큼 유용하게 사용되는 만큼 조금 더 신경을 썼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책의 이미지를 찾으니 절판되어서인지 이미지가 준비되어 있지 않았다. 저자에게 이 책의 재 출판을 권하고 싶다. 재 출판에는 내용도 문제이겠지만 그 수많은 도판(이 책에서도 많은 도판을 임의로 활용하였기에 서문에 저자가 원소유자에게 사과의 말씀을 올렸다)을 준비하는 일이 보통 일이 아닐것이나 한국의 전통건축에 대해 그나마 이만하게 사전적 의미를 담고 출간된 도서도 없기 때문이라도 재 구성하여 출판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권말 부록으로 사적으로 지정된 한국의 전통건축물의 밝혔기에 답사를 원하는 독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