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종교 둘러보기
오강남 지음 / 현암사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제가 어렸을 때 이름이라도 알았던 종교가 4개 있습니다.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 유교. 유교는 신이라고 할 대상이 없어 종교로 생각지도 않았고, 이슬람교는 접할 기회가 없었습니다. 그나마 문화적으로 접할 기회가 있던 것이 기독교와 불교. 제가 점차 커가면서 몇 종교를 더 알게 되었고, 이들 종교가 서로 엉키어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저에게 매우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그 중 몇가지를 이야기하면.

첫번째는 그렇게 서로 적대적인 기독교와 이슬람교에서, 여호와와 알라로 불리우는 신이 같은 신을 지칭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신학적 견해와 이삭과 이스마엘로 이루어진 종족,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이에 대한 적대감을 고려하더라 제게는 실로 충격적인 사실이었습니다.

두번째는 불교와 힌두교의 관계입니다. 힌두교가 인도에 국한되고, 소를 숭배하고, 카스트 제도의 철학적 원리를 제공하는 종교정도로 생각하고, 반면 불교는 세계적 종교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불교의 상당한 교리, 철학이 힌두교와 공유하고 있습니다. 종교 철학적인 중요성과 신자수로 미루어 생각할 때 힌두교는 가볍게 생각할 종교가 아니었습니다.

세번째는 기독교와 관련된 많은 문화들이 다른 문화에서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산타클로스Santa Claus가 눈썰매를 타는 것은 미국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크리스마스가 12월 25일로 결정된 것은 예수님이 12월 태어난 증거가 있어서가 아니고, 동지에 맞추어 축제를 벌이던 이집트 문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책에 이집트 고대 종교 이야기가 없는 것은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리틀 크리스마스로 불리던 예수 탄생 기념일이 다른 달에 몇 일이 더 있었습니다. 점차 12월 25일로 통일되면서 사람들 사이에서 잊혀졌습니다.

종교를 이야기할 때 가장 괴로운 점은 종교는 절대 신을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는데, 종교사가 매우 인간사를 닮았습니다. 이를 사람 중심으로 해석하면, 신은 멀어지고 신이 멀어진 종교가 종교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람을 멀리 놓고 생각하려 해도 종교와 종교끼리, 한 종교의 과거와 미래에서 인간이 계속해서 개입되므로 사람을 멀리 놓고 볼 수도 없습니다.

이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 저는 무언가 이전에 같지 못한 색다른 견해를 이 책에서 얻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한 종교에 대한 개요만 하더라도 한 권으로 부족할텐데, 얼마 되지 않는 지면위에 여러 종교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런 책에서 색다른 견해를 얻겠다는 저의 생각이 조금 무리였나 봅니다. 위에 언급한 종교 이외에 조로아스터교 등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깊이 있는 내용은 없습니다. 책의 제목대로 '둘러본다'는 느낌으로 읽는다면 그냥 읽으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것이 생물학이다
에른스트 마이어 지음, 최재천.고인석 외 옮김 / 몸과마음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저의 학창시절에는 과학과목이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로 되어 있었습니다. 생물과 다른 세 과목과는 느낌이 달랐습니다. 이런 느낌은 지나고 생각해 보니, 생물에서 볼 수 있는 비선형적인 인과관계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저의 이런 선입견도 물리학이나 생물학에 대한 이해가 더해 가면서 결국에는 과학으로 통합되는 느낌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이 그런 저의 느낌에 대해 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물리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 물체에 어떤 힘을 주면 어떤 운동을 하므로 어느 시간이 경과한 후 물체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어떤 운동을 하는지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생물학은 결과를 추측하기가 매우 곤란합니다. 한 가지 현상인 어떤 이 키를 생각한다면, 너무나 복잡합니다. 부모의 키가 크면 그 사람의 키도 크겠지만, 반드시 그런 것도 아니고. 식생활에도 영향을 받고, 운동을 얼마만큼 하느냐 영향을 받고, 낙천적인 성격 등등. 이러한 현상을 다중적 원인, 다중 해답으로 기술하였습니다. 제가 이전에 즐겨 쓰던 용어는 ‘비선형적이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비선형적인 생물학의 접근 방법에 사실의 기술, 가설의 설정, 이론에 대한 논쟁, 살아남은 이론을 보면 다른 모든 분야의 과학적 접근방법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현대 첨단 물리학에서는 예를 들면, 양자역학이나, 카오스를 보면 고전역학처럼 해답을 얻을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또 다른 한가지의 강력한 느낌은 진화에 관한 것인데, 정말 이 책을 읽다보니 학설이나, 이론 등도 생물같이 생존경쟁을 통해 살아남느냐, 또는 살아남기 위해 변화하느냐(진화한다고 표현할 수 있음.)를 보여줍니다. 기본적인 생명에 대한 설명, 생물학의 분과 등을 설명했지만 결국 과학으로 남게 되는 생물학을 보여준 것 같습니다. 생물학이라는 숲을 전체적으로 조감해 주는 책입니다.

마지막으로 생물학과 인간, 윤리의 관계를 언급한 것은 자연과학적 사실들이 인문학에 포함된 영역의 일부까지도 설명하게 되는 것을 느꼈습니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부자들
한상복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저는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저는 돈에 관하여 자유롭지 못합니다. 부자가 되고 싶습니다. 그러나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 실패와 좌절을 딛고 일어설 신념이 필요합니다. 거기에 약간의 운도 필요합니다. 저는 이 책을 주위 사람들에게 한번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었습니다. 이유는 자수성가自手成家한 부자는 쉽게 되는 것이 아니란 것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책에 관한 평가는 굉장히 다양하네요. (특히 알라딘 마이리뷰에서) 내용 중에는 분명히 눈에 거슬리는 내용이 있습니다. 부자들이 돈을 모으거나 유지하는 과정에 도덕적으로 논란이 될 여지가 있는 것들, 예를 들면 담합, 내부자 거래, 부동산 투기 등이 이에 해당하고, 생활 태도에서는 무자비함, 베풀지 못하는 것, 돈 없는 서민을 무시 등이 포함됩니다.그러나 제가 느끼는 이 책의 매력은 저자가 '현실이 그렇다.'라고 기술하듯이 사실이라는 점입니다.

논어에 [삼인행三人行 필유아사언必有我師焉 택기선자이종지擇其善者而從之 기불선자이개지其不善者而改之]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자들의 행동이나 생각중에 나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부자된다면 그러지 말아야 할 것으로 배우면 됩니다. 신용, 성실과 근면, 검소, 열정과 신념 등은 배울만 한 것들입니다.

포춘Fortune지에서 세계적인 갑부가 부를 갖게된 원인을 분석한 기사가 있었습니다. 첫째가 부모에게 유산을 물려 받은 것이고, 둘째가 부자와 결혼한 것이고, 세째가 복권, 네째가 빌 게이츠Bill Gates처럼 자수성가한 사람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정확한 숫자는 기억이 나질 않지만, 자수성가한 사람은 얼마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어짜피 시장주의 체제하에서 살고 있습니다. 돈을 벌고 모을 수 밖에 없는 사회에 살면서, 불법, 부도덕으로 축재를 한 것이 아니라면 부자들에게도 조금의 존경을 표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앞에서도 언급한 것와 같이 우리는 부자의 장점만 취하면 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수의 기초 대우고전총서 8
고트롭 프레게 지음, 최원배 외 옮김 / 아카넷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3주에 걸쳐 읽었습니다. 그러나 조금 빨리 읽으려고 생각했으면 읽을 수도 있겠지만, 중간 중간 음미해야 될 문구들이 있어 읽고 나서 무슨 말인지 모른 것보다 천천히 읽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한번 읽고 모든 내용을 이해한 것도 아니니 계속 반복해서 읽을 생각입니다. 다른 독자 여러분도 처음에 지루할지 모르겠지만 천천히 읽게 된다면 이해 못할 내용은 아닐 것으로 생각합니다.

초등학교 때 -(-1)=1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기억. 수학의 천재들은 4,5살 때 이런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하는데. 저의 기억에 초등학교 선생님이 ‘위의 등식을 막대기(-) 두개가 합쳐 +가 된다.’라고 설명하셨던 일이 있습니다. 암기하기는 쉬웠겠지만 수학이라는 것이 논리적 이해인데, 지금 선생님들은 제발 이와 같이 설명하지 않길 바랍니다.

처음, 이과 같은 고민을 처음 했던 것은 물리학에서 힘의 균형입니다. 물체에 세 힘이 균형을 이룬다면 힘이 없는 것과 같다. (굳이 세 힘일 필요는 없고 두 힘이나 네 힘도 마찬가지겠지만.) 세 힘의 균형이 이룬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생각이 발전되니, ‘1-1=0’ 등식에서 '같다(=, equal)'의 의미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하루 정도 고민을 한 후 생각은 더 이상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뭐 아는 것이 있어야 고민을 하지.

나중에 버트런드 러셀의 <수리철학의 기초>를 읽기도 했지만, 내용이 너무 농축되어 있어 반복해서 읽고 있습니다. 그런데 <산수의 기초>는 내용을 풀어 서술하면서, 수리철학의 기본을 차분하게 설명하였습니다. 훨씬 쉽게 읽었습니다. 단위들은 서로 같은가? 제목 밑의 이야기는 수학의 이야기 보다는 철학적 용어 ‘자아’를 연상시킵니다. 수학의 취미가 없는 분들도 한 번 읽을 만한 책이 아니가 생각하며, 이 책을 추천합니다. 고전(old book)은 역시 고전(classic)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관정요 - 완역본 자유문고 동양학총서 1
최형주 해역 / 자유문고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집단의 리더는 그 집단의 성쇠를 결정합니다. 마찬가지로 대통령이 역활이 국가의 흥망을 결정하므로 대통령에 관한 학문까지 성립되면서 대통령학까지 있다고 하더군요.

이 책은 당태종의 언행 중 오긍이라는 사람이 당태종 사후에 집필한 책이라고 합니다. 당태조가 신하에게 '군주는 이런 마음을 가져야 한다.'라고 이야기 한 것도 있고, 이런 저런 것을 신하에게 물으니, '군주는 마땅히 이래야 하는 것입니다.'라고 답한 것을 기술한 것도 있습니다. 맨 앞에 나와 있는 내용을 옮기면, '군주로서의 도리는 반드시 먼저 백성을 아끼고 가엾게 여겨 이를 보살피는 것이다. ...' 저는 처음에 이 책을 읽고 느낌은 한마디로 '유치하다'였습니다. 앞으로 잘 해라. 즉 당나라 건국보다 나라를 건강하게 다스리는 것이 어렵다. 군주가 하는 일을 찬양만 하고 잘못을 말하지 않는 것은 잘못이다. 뭐 이런 이야기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2004년 1월) 뉴스를 들으면서 예전에 읽어던 이 책을 다시 들쳐보게 되어습니다. 처음 읽을 당시에는 교양으로 읽은 것인데(저는 정치를 하는 사람이 아니므로), 지금 정치를 하고 계신 분들은 이 책을 읽었을까요. 정치하는 분들은 너무 오래 전에 읽어 다 잊어버린 모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