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크루스테스(Procrustean)의 침대 - 다르다와 틀리다.

 언어는 사고를 반영하고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최근 언어 습관에 ‘다르다(different)’를 사용해야 되는 상황에서 ‘틀리다’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학회에서도 틀리다는 의미에 ‘다르다’는 의미를 추가해야 되는지를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라디오에서 들음) 이와 같은 언어 습관이 자기중심적 가치관에서 자기는 옳고 남을 틀리다(wrong)는 생각에서 발생된 것이 아닌가 하는 마립간의 기우입니다. (자신의 언어 습관을 한번 돌아보세요.)

 

 

 예를 들면 남녀는 어는 한쪽이 틀린 것이 아니고, 흑인, 백인 역시 틀린 것이 아니고 다른 것입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진/우맘 2004-03-03 14: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르다와 틀리다. 전혀 '다른' 표현인데 말이죠. 하긴, 요즘 언어 풍토로는 전혀 '틀린' 표현이라고 써도 무난하게 의사소통이 되는군요. 이런.
비슷한 예로, 조금 주의해서 써야한다고 주장하는 표현이 하나 있습니다.
장애인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흔히 반대되는 뜻으로 '정상인'이라는 말을 많이 쓰잖아요. 이 말을 뒤집으면, 장애인은 '비 정상인', 즉, 정상이 아닌 사람들이 되어버리죠. 대신 쓸 수 있는 말로 '일반인'이 있습니다. 뭐, 딱 떨어지는 표현은 아니지만 정상인보다는 나으니까요. 간혹, '비장애인'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너무 치우쳐 바라본 시각 같아 저는 별로입니다.

가을산 2004-03-03 16: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우리 사회는 '다른 것'에 대해 인색한 것 같아요.
요즘은 길거리에서 장발이라는 이유만으로도 끌려가던 옛날보다는 나아진 것 같지만...
더 나아지겠죠?
사족: 전 제목만 보고 첨부된 책이 박원순 변호사가 쓴 "한국의 시민운동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인 줄 알았는데, 제가 착각했네요.

마립간 2004-03-03 16: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원하게 큰 그림으로 바꿔었습니다. '서구의 눈으로 비서구를 바라 보지 마라.'
 

* 남녀차별/부모차별?

진/우밥이라는 닉네임의 가명을 듣고 생각이 나서......


코메디


 할아버지(장두석 분)와 할머니가 말다툼을 하고 있습니다. 할아버지는 명절을 맞아 찾아오는 자녀들이 자신(할아버지) 와 할머니 중 누구에게 먼저 와 안길 것인가?


할아버지 ; 큰 아들을 내가 얼마나 이뻐했는데?

할머니 ; 당신이 아무리 그래도 큰 아들은 내가 키웠어요.


 큰 아들과 그의 가족이 집에 들어서자, 큰 아들은 할머니에게 먼저 달려가 안겼다.


할머니 ; 거 봐요.

할아버지 ; 둘째아들은 내게 먼저 올거야. 그 녀석은 나를 꼭 닮았거든.


 둘째 아들 가족이 도착하였지만 역시 할머니에게 먼저 달려갔다.

 그리고 셋째 막내딸을 기다린다.


 할아버지는 막내이고 딸이라서 무척 귀여워하며 애지중지 길렀다고 한다. 그래도 할머니는 자신만만.

 셋째 막내딸도 할머니에게 먼저 달려간다.


할아버지 ; ‘어떻게 자식이 세명 중에 내게 먼저 오는 녀석이 한 놈도 없담. 자식 애써 키어봐야 하나도 소용없어’


 그때 증조할아버지(송해 분)와 할머니(고 최용순 분)가 집으로 들어오신다. 이때 할아버지가 증조할머니에게 달려가며 ‘어째 오셨어요. 안 그래도 아이들이 도착해서 얘들 데리고 어머니께 갈려고 하던 참인데.’


 증조할머니가 증조할아버지에게 하는 말, ‘올해도 내가 이겼죠.’ 증조할아버지 ‘거 참’


실화


 부부 동반 아이들까지 포함하여 다섯 가족이 모였습니다. 리조트에 집을 두개 빌려 모였습니다. 5년 만에 만난 모임이라 너무 반가와 저녁식사 후에도 한참 맥주를 마시며 밤늦게 까지 이야기가 계속되었습니다. 아이들은 하나 둘씩 잠들고.

 그때 누군가가 ‘남자들은 여기서 맥주 조금 더 하며 이야기 좀 하고, 여자들은 방에 가서 이야기하다 자지 뭐.’ 한 아이 엄마가 ‘안 돼요. 아이들에게 가 봐야 되요.’ ‘아이들은 자고 있고 그 옆에 아빠가 자고 있잖아요.’ 엄마가 하는 말 ‘아빠로 해결이 안 돼요.’

 아이들은 같은 부모인데 차별은 하는 것일까 - 여성부 장관님 남녀(부모) 차별하는 아이들 좀 말려줘요.


나의 이야기


 부모님과 떨어져 살면서 가끔 (나는 불효자다.) 부모님댁에 전화를 드리는데, 어떤 때는 아버지가 전화를 받으시고, 어떤 경우에는 어머니가 전화를 받으십니다. 그런데 아버지가 전화를 받은 경우, 90%가 다시 어머니와 통화합니다. 어머니가 전화를 받은 90%가 아버지와 통화 없이 그대로 끊습니다. (여기까지 이야기를 듣고, 어머니와 아버지의 통화비가 2:1로 생각하시는 분은 확률과 통계를 잘 모르시는 분이다. 대략 2:1이 되려면 어머니와 아버지가 전화를 받는 비가 1:1이어야 합니다. 실제는 어머니가 전화를 더 많이 받으시기 때문에) 어머니와 아버지의 통화비는 3-4:1 정도가 됩니다.

 저는 남녀(부모)차별자입니다. 통화비가 차이가 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느낌을 갖고 있으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태우스 2004-03-01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래요. 하두 맞아서 그런지, 아버님은 언제나 어렵기만 했어요. 성격도 까다롭긴 하셨지만요. 이 글, 너무 멋지네요!

마립간 2004-03-01 17: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효부모사후회(不孝父母死後悔) -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죽은 뒤에 뉘우친다.
주자십회중에서 - 살아 계실때 효도합시다.
 

 연보라빛우주님의 서재에 방문하였더니 까미유 글로델의 활츠라는 조각 사진을 올려 놓으셨다. 갑자기 그림은 아니지만 내가 좋아하는 조각이 생각나서 그림 사이에 슬쩍 조각사진을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우주 2004-03-11 2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이 글 이제야 봤네요. 근데 저 그림이 저는 안 보여요...ㅠ.ㅠ
 

* 이 그림을 진작에 아름다운 그림에 올리고 싶었지만 스리랑카차(가명쓰는 유행따라)님이 한동안 얼굴로 사용하고 계셔서 안 올리고 있다가...... 서양화가중 제일 좋아하는 화가가 고호라서

* 빈세트 반 고호Vincent Van Gogh의 그림은 anddoong님의 서재(하루와 함께하는 책일기)에 가시면 해바라기를 비롯한 많은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굼 2004-02-28 0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퍼즐로 있으면 당장 살텐데 말이죠^^;;

마태우스 2004-02-28 1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사진처럼 똑같이 그리는 걸 잘그린다고 알고 있어서, 고호가 왜 뛰어난 화가인지 모른답니다. 하지만 그의 그림들을 한참 보고 있자니 그만의 화풍이 느껴지고, 뭔가 느낌이 오더군요. 이 그림은 어느덧 제 마음 속에서 명화로 자리잡았습니다. 별의 엄청난 밝기가 느껴지는 그림입니다.

연우주 2004-03-11 2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흐의 이 그림은 참 매력적이죠~
 

내가 좋아하는 여인 - 김인순

 ‘언니의 일기’, ‘여고졸업반’, ‘푸른 교실’, 방의경이 부르기도 했던 ‘노랑나비’ 등을 부른 가수.



 당시에 누나부대(요즘에는 오빠부대, 또래부대를 거쳐 무슨 부대가 되었나.)를 몰고 다녔던 가수. 처음에는 노래만 좋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공부, 운동(배구 선수), 노래(합창단원), 피아노, 고전무용 발레 등으로 다재다능, 팔방미인이었습니다. 성격도 쾌활하고 사교적이고. 지금도 방송계라면 젊은이들 어쩔 줄 몰라 하지만, 그 당시에도 방송계는 젊은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는데, 라디오 DJ까지. 그리고 당시의 통기타는 젊음의 상징이었습니다.


 결혼을 하고 80년대 이후 방송에서는 볼 수 가 없었습니다. 갑자기 방송에 나와 노래 한 곡하고 인터뷰를 하였는데, 슬하의 자녀가 없다는 이야기만 기억에 남습니다. 얼마 후 교통사고로 세상을 하직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 어린 소년의 마음에 설레임을 주었는데.

 

<사진은 주간한국에 실린 것을 이용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4-02-26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분을 기억합니다. 사실 이 분이 요즘 같은 얼짱 신드룸의 세대에선 아마도 서기가 어려웠을 법한 외모를 지니셨죠. 특히 잊지 못할 그 도드라진 입술. 하지만 이 분은 정말 쾌활하셨고, 당당했습니다. 그리고 그 시절 연예계는 얼짱인가 아닌가와 상관없이 정말 실력있는 사람을 세웠었지요. 예쁘면 모든 것이 용서된다는 요즘의 연예계와는 비교할 수 없으리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