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년 6월 권장도서 - 김훈의 (남한산성)
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핑크빛 표지는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산뜻하니 고왔으며 작품의 분위기를 망치지도 않았다.  그것은 김훈 자신이 이 작품을 쓰면서 철저하게 감정을 배제했기 때문일 것이다.

명을 버리고 청을 받들 것을 거부하며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항전하던 인조와 신하들의 그 해 겨울은 유난히도 추웠다.  얼어죽는 병사들이 속출했고 굶어죽는 이들도 많았건만, 그 사실을 전하는 김훈의 목소리는 그저 담담할 따름이다.

화친을 말하는 최명길의 충절이 척화를 말하는 김상헌의 피끓는 외침과 크게 다르지 않고, 배삯을 치뤄주지 않은 임금의 일행을 보낸 뱃사공이 청군을 이어 나르겠다는 그 마음이나 사대부로서 임금을 버리고 도망친 유신들의 마음의 크기가 다르지 않았다.  김훈은 그저 담담히 적을 뿐이고, 그 행간에 감정을 실어 읽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김훈의 독특한 필체는 이 작품에서도 빛을 발하는데 굵고 강직한 그 목소리가, 때로 같은 문장을 비틀어서 다시 말하는 수법을 많이 사용해서 말들이 어지럽고 말장난을 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김훈의 문장이라면 언제나 흠뻑 취해서 갖고 싶어하던 나로서는 뜻밖의 반응이다.  이제 콩깍지가 조금 벗겨져서 약간의 흠이 보이는 것인지, 아니면 1급 요리도 자꾸 먹다 보면 질리는 것인지 그 이유는 알 수가 없다.

그렇다 해도, 명문장은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칸이 보낸 문서라던가, 최명길이 임금을 설득할 때의 목소리는 김훈이기에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배어있는 깊은 울림이었다.   심지어 서날쇠가 김상헌의 쓰라린 양심을 찌르며 되묻는 장면도 백성의 골깊은 한과 진실을 관통해서 보는 총명함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개인적으로, 인조를 참으로 싫어한다.  현대인이기에 가질 수 있는 관점이기도 하겠지만, 광해군을 쫓아낸 그의 명분이 내게 설득력이 있지 않았고, 현군을 몰아내고서 인군이 되지 못한 그의 아둔함에 진저리가 났으며, 훗날 그가 아들에게 보여준 무서운 권력에의 집착이 치를 떨리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그런 과오를 같이 보기는 어렵다.  다만, 그는 판단하기를 늘 유보했으며, 신하들에게 먼저 묻기를 주저하지 않았고, 신하들은 그런 임금에게 '책임'을 떠맡기며 역사의 심판을 같이 안으려 하지 않았다. 

싸우자고도 말하지 못하고 화친하자고도 말하지 못하면서 제 몸 사리기에 급급한 김류가 영의정 자리에서 몸보신을 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에도 비슷한 처세술로 고위공직자의 자리를 꿰차고 있는 어떤 인간들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 같아서 여간 씁쓸한 것이 아니었다. 

이 책은 소설이며 오로지 소설로만 읽혀야 한다고 작가는 못을 박고 있지만, 실록의 해당구절을 통해서 이 정도로 펼쳐내 보이는 작가의 신들린 솜씨에 독자는 단순히 소설로만 읽혀진다고 생각하기 어려울 듯하다.  잘 모르는 단어들이 많이 나와서 사전을 끼고서 읽어야 했는데, 책의 맨 뒤에 용어 사전이 곁들여져 있다.  미리 살펴보지 못한 나의 탓이다ㅠ.ㅠ

책은 두께에 비해서 가볍고 딱딱한 표지를 쓰지 않아서 끄트머리가 약간씩 해어진다.  김훈의 책들은 대체로 비슷한 질감의 종이를 썼는데 책을 본 흔적이 책에 꼭 남는 것이 한 특징이었다.  개인적으로는 그 '닳아진' 느낌이 나쁘지 않다.

자전거 여행에서 남한산성을 보며 썼던 명문장을 다시 이 책에서 인용할 것인가 궁금했는데 나오지 않았다.  따로 옮겨둔 것이 있으니 그 메모를 다시 보련다.


댓글(16) 먼댓글(1)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38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
 
 
멜기세덱 2007-04-23 1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읽었습니다. 김훈의 소설은 <칼의 노래>를 읽은 게 전분데요..ㅎㅎ 개인적으로 그의 문장은 <자전거 여행>에 나오던가요? 여우치 마을도 나오고... 참 좋더라구요. 글 잘 쓰는 김훈이란 작가를 좋아하시는 마노아님 필치도 산뜻 발랄하네요.

마노아 2007-04-23 1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칼의 노래가 김훈의 팬이 되게 한 일등공신이었어요. 자전거 여행도 참 좋았습니다. 굉장히 독특한 성향의 작가 같아요. 누군가는 김훈의 문체를 흉내내는 것처럼도 보였습니다. 그만큼 강렬하다는 뜻이겠지요^^

홍수맘 2007-04-23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잘 읽었습니다. 김훈의 <자전거여행>을 멋있게 그러나 어렵게 읽은지라 아직도 고민중이랍니다.

마노아 2007-04-23 14: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전거 여행보다는 쉽게 읽혔던 것 같아요. 김훈의 문장은 힘이 팍! 들어가 있는데, 그게 또 매력이에요^^

잉크냄새 2007-04-23 15: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왠지 님의 문장이 김훈의 그것과 많이 닮아있는듯 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마노아 2007-04-23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모르게 김훈의 문체를 따라했을까요? 중독성이 강한 김훈의 문체이기는 해요^^;;;;

마노아 2007-04-23 2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엄훠! 친절하신 님! 덕분에 오타 수정했습니다. 아이 참 쑥스러워요^^;;;;

마노아 2007-04-23 2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칼의 노래가 워낙 깊은 인상을 주어서 그때의 느낌을 뛰어넘지는 못했어요. 그래도 역시 '김훈'이란 말은 나오던걸요. 역사소설 많이 써주셨음 해요^^

마노아 2007-04-23 2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님, 호불호가 좀 나뉠 것 같아요. 스타일이 워낙 강하잖아요. 거부감이 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전 '점층 대구'를 잘 쓰는 문장을 아주 싸랑하거든요6^^

역전만루홈런 2007-04-24 17: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읽었습니다. 김훈을 좋아해서 책을 거의 다 소장하고 있는데, 마노아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다들 닳아지더군요, 빳빳한 표지가 아니라서 그런 것 같은데..닳아진만큼 다시 생각하게 되는 책이 되는 것 같습니다..

역전만루홈런 2007-04-24 17: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보니 사진이 이승환이군요, 이승환 좋아하시나봐요..저도 참 좋아하는데..ㅎㅎ

마노아 2007-04-24 1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까망이님. 반갑습니다~ 책의 표지와 종이의 재질마저도 작가의 느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어요.^^ 완소승환, 너무너무 싸랑해요^^

프레이야 2007-04-24 2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노아님, 벌써 읽고 쓰셨네요. 흠,,
여기 춤추는인생님 말고 또 다른 김훈팬을 만나게 되네요. 위에 계신 까망이님..
저도 책표지가 맘에 들었어요. 책의 내용에 비해 물리적으로 가벼운 무게감이
묘한 대칭을 이루었구요. 책 뒤에 낱말풀이와 지도를 전 먼저 보았지요.
사전을 끼고 보셨다니 마노아님, 대단하십니다.^^

마노아 2007-04-24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훈팬이 많을 것 같아요. 한 번 몸을 담그면 헤어나기 어려운 중독성이 있어요. ^^
표지마저도 무거웠다면 선뜻 책장을 펴기가 힘들었을지도 모르겠어요. 탁월한 선택이었죠.
사전은, 독서 삽질이에요ㅠ.ㅠ

2007-07-02 16: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노아 2007-07-02 17:02   좋아요 0 | URL
트랙백 주소를 달았는데 제가 맞게 한 건지 모르겠어요. 아직 2.0이 익숙하질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