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우익 소장본 세트 -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 호박이 어디 공짜로 굴러옵디까 + 사람이 뭔데
전우익 지음 / 현암사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미디어를 통해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라는 책을 접한뒤 얼마지나지 않아 '전우익 소장본 세트'가 출시된 것을 알고, 이전에 구입했던 단행본은 쟁여둔 채로 세트를 구입했습니다. 무엇보다 '전우익 사색노트'가 부록이라는 사실에 마음이 동했던 것이지요. 하지만 '소장본 세트'를 구입한 뒤 실망이 적지 않았습니다. 조악함의 극치라고 할까요? 대강 대강 급히 만드느라 미처 손볼틈없이 내놓은 것 같은 느낌. 참 좋은 책들을 두루 내어놓고 있는 현암사 측에 원망같은 말들을 내뱉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정작 당사자인 전우익 선생님이 이 '소장본 세트'라는 것을 보면 뭐라 말씀하실까하는 생각조차 품어볼 정도였습니다. 허나 세 권의 책을 읽고난 뒤 이 원망은 사그러들 수 있었습니다. 아주 말끔하지는 않지만 말이지요. 여하튼 '세트'라는 이름으로 보지 말고, 책 한권 한권, 글 한줄 한줄에 의미를 담는다면 기실 최고의 도서로 손꼽기에 주저함이 없을 듯 합니다.
어느 시인은 전우익 선생님에 대해 '정직한 세월의 초상, 정돈된 아름다움'이라고 이야기 했다는데, 그 '정직한 세월의 초상'은 그럴 듯 하지만 '정돈된 아름다움'은 좀 불편해보여요. 이유인 즉슨 전우익 선생님 스스로도 정돈된 걸 그리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뭐 깔끔하고, 정리된 그런 삶이 아니라 그저 되는대로 살아내기도, 살아지기도 하면서 그렇게 사는 것 같거든요. 스스로도 정돈하려고 하다보면 그것에 얽매이고, 갇히게 되고 뭐 그런거라고 말씀하시대요. 물론 지독한 욕심쯤은 품고 살아야된다고도 하시긴 했지만 말이에요. 그게 정리되고 정돈하려고 하는 것 아니겠지요? 하긴 역설적이게도 무언가에 얽매이지 않고 사는 것이 가장 잘 '정돈된 아름다움'일 수도 있지 싶습니다.
이처럼 전우익 선생님은 '꼭' 무엇을 해야되고, 어떻게 살아야하고라는 정언적 사고의 틀에 익숙한, 더욱이 '성공'과 '경쟁'에 찌들어있는 우리들과는 다른 삶의 자세를 가르쳐줍니다. 하긴 어찌보면 가르쳐준다는 말도 참 불편부당한 것이지요. 왜냐하면 전우익 선생님의 글쓰기는 무엇을 어떻게 어떻게 하라는 명령형도 아니고, 그렇다고 어찌 어찌 했으면 좋겠다는 청유나 권유형도 아니고, 무엇을 내놓고 떠들고자하는 그것이 아니기 때문이에요. 궁극적으로 독자들을 염두에두고 무슨 바램이라든가 깨달음같은 것들을 기록한게 아니기 때문이에요. 쉽게 말해서 책 내려고 쓴 글이 아니란 것이지요.
스스로도 그렇게 말씀하시듯 전우익 선생님의 글쓰기(편지)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좀 더 제대로 살아보고자함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그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지인 한 사람과 주고받는 1:1서신이라는 이유로 무슨 계몽이나 선도, 또 그럴듯한 미사여구나 구구장창 설교를 늘어놓는 것이 아니에요. 다만 그 편지들을 모아 끝내 책을 내어놓아준 분들의 덕택으로 우리는 그저 훔쳐보는 것이지요. 전우익이라는 사람의 기록을 '받을 사람'아닌 우리가 마치 중간에서 엿보는 심정으로 그렇게 그렇게 도둑질 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렇지만 몰래 엿본 그 편지는 '받을 사람'뿐 아니라 모든 우리에게도 큰 의미가 됩니다. '보내는 사람'(전우익)의 글에 담긴 반성과 성찰, 깨달음의 고백은 어쩌면 그걸 훔쳐보고 있는 우리들에게 더 적정한 것이라 여겨집니다. 또한 편지를 읽어가다보면 '노신'이나 '도연명', '사마천' 등...참 많은 사람들 또한 만나보게 되는데, 우리는 또한 그들의 범상치 않은 삶을 통해서도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노신의 '아Q'를 만났고, 그 속에서 나도 만났고, 또 이 땅의 민초들을 만나게 되는 대목에서 반성, 또 반성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부끄러울 따름이지요.
전우익 선생님이 그러대요. 운명과 싸울게 아니고, 놀라고. 모쪼록 전우익 선생님의 글쓰기가 그러하듯 우리의 훔쳐보기 또한 자신을 돌아보고 좀 제대로 살아보고자-놀아보고자-하는 깨달음의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