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재미 문학과지성 시인선 320
문태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에는 영 문외한이지만 적어도 이것만큼은 안다. 시는, 좋은 시는 말보다 빠르게, 생각보다 먼저 고조곤히 살갗에 와 닿는다. 이 겨를없음은 어쩌면 시이기에 가능한 것이고 시가 주는 최대치의 선물이다. 살갗이 서걱거리면 슬픔이라든가 우울이라든가 하는 것들이 가슴까지 이르고 혈관 곳곳에 깊게깊게 스며든다.

 문태준의 '가재미'를 읽는 내내 나는 그러했다. 연과 연 사이, 행과 행 사이, 단어와 단어 사이, 그리하여 말과 말 사이의 그 모든 행간을 나는 맨몸으로 받아내며 살갗 어느 곳인가가 쓰라림을 눈치챘다. 그의 시들마다 바닥은, 아래는, 혹은 삶의 언저리는 소름같이 돋아있었다. 그곳은 비어있음이 공간이었고 또한 소멸되었거나 마침내 소멸되어야 할 시간이었다. 그런데 그 시공 속에 시인은 무심하게도 '나'를 비벼넣고 있었다. 텅비어있거나 급기야는 소멸되어야 할 '나'는, 그렇기 때문에 그대로가 부끄럽고 가난한 존재이다. '나'는 인지되는 그 어떤 사물보다 텅 비어있고, 모자라며, 게으르다. 이것은 어떤 까닭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존재하기 때문에 그런 것처럼 보인다. '바깥'이란 시에서는 그는,

'다시 생각해도 / 나는 / 너무 먼 / 바깥까지 왔다'고 말한다. 안이 아닌 바깥, 중심이 아닌 변방, 나는 그 언저리에 존재하는 것이다. '극빈'이라는 시에서는,

'발 딛고 쉬라고 내줄 곳이 / 선잠 들라고 내준 무릎이 / 살아오는 동안 나에게 없었'을 만큼 '나'는 극도의 가난으로 점철되어있다. 이러한 나는 '강대나무를 노래함'이라는 시에서처럼 별 수없이 '강대나무를 서럽게 불러 내 곁에 세워두'고야마는 서 있지만 그대로 말라 죽은 나무 같은 슬픔을, 혹은 아픔을 지닌 존재이다.

 그의 이러한 인식은 사람됨으로서의 겸손을 뛰어 넘어 사람됨으로서의 슬픔이며, 스스로 無와 空을 향해야할 신념처럼까지도 느껴진다. 한참이나 아득한 밑 바닥, 생의 변방에서의 삶이란 기껏해야 모자른 것들 뿐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에게 그러한 현실은 비루한 것만이 아니라 오히려 만물 가운데서 주어질 찬란한 슬픔과 '텅 빈 충만'을 선사하는 은총이리라 생각된다.

한참동안 그의 시를 읽고 나는 스윽하고 주위를 둘러본다. '가을에는 공중에도 바닥이 있구나'(65쪽)하고 나도 무릎을 탁 쳐보는 것이다. 이 살갗쓰린 아픔 정도는 어느 '평상이 있는 국숫집'(72쪽)같은데를 생각해보면, 그래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위로를 받고 싶어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