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만하고 보람있는 삶을 누리는 데는 네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는 생존력입니다. 곧, 몸을 튼튼히 하고 기력을 보존하며, 균형잡힌 감정과, 민감한 마음, 직관력, 분명한 인생관이 있어야 합니다. 둘째는 여러 행동노선에 현명한 선택을 하게 하는 지혜입니다. 셋째는 어느 만큼 이 선택에 따라서 살아갈 수 있는가 하는 당신의 한계입니다. 넷째는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 당신이 체험할 수 있는 조화로운 삶에 대한 자극입니다. 

- 스코트 니어링이 낙심해있는 영혼에게 보낸 편지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울 2004-03-04 2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를 비롯한 누군가에게 들려주고픈 얘기네요. 생존력이라, 무엇보다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부족한 것이라죠. 스콧 니어링은 저도 무척이나 존경합니다. 리뷰에 쓰신 책 저도 밑줄을 그어가며 읽었답니다.

잉크냄새 2004-03-05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화로운 삶을 살았던 니어링 부부의 생활에서 참 많은걸 느낀답니다. 앞으로도 삶이 진저리나게 괴로울때 몇번이고 읽게 될 책이 될것 같네요.
 
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
헬렌 니어링 지음, 이석태 옮김 / 보리 / 199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행태는 가지각색일거다. 담담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이가 있을것이고, 현재의 삶에 대한 욕심을 마지막까지 가지고 가는 이가 있을것이고, 삶과 연결된 모든 유기체가 어서 떨어져 나가기를 바라는 이가 있을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죽음을 맞이하는 당사자의 문제일뿐 아니라 옆에서 그 죽음을 지켜봐야 하는 이에게까지 같은 문제로 다가온다.

어떻게 살것인가? 의 문제만큼이나 어려운 질문 가운데 하나가 어떻게 죽을 것인가? 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것이다. 세상의 많은 사상가들이 여러 서적에서 그런 문제에 대한 나름대로의 여러 방법을 제시하고 설득시키려 하지만 결국은 받아들이는 이의 입장에 따라 천태만상의 결과를 가져온다. 헬렌 니어링이 자신과 스코트와의 삶을 담담한 필체로 서술한 이글은 이 두 문제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세상에 던져주고 있다.

헬렌 니어링은 한때 크리슈나무르티의 연인이기도 했다. 그후 스물한살 연상의 스코트 니어링을 만나 반세기 이상을 실천적 이상주의자, 자연친화주의자, 참여적 인둔지사, 참된 지적 농사꾼의 삶을 같이 살게 된다. 그들이 실천한 절제된 금욕주의와 자연친화적인 삶은 20세기의 급변하는 미국 사회 속에서 많은 젊은이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

스코트의 죽음이 가까와 오는 시점에서 두 사람이 보여준 삶과 죽음에 대한 관조적인 태도는 이 세상을 사는 진정한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약간은 인정할수 없었던 그들의 너무나도 충실했던 삶의 태도가 죽음을 맞는 시점에 진정한 의미로 다가온것은 삶과 죽음이 서로 다른 세상이 아닌 같은 연속선상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죽음은 결코 마지막이 아니다. 어떤 형태로든 삶의 연속성이고 이어짐이고 다른 세상으로의 나아감이다. 죽음은 단지 지평선이다. 지평선은 우리가 볼수 있는 한계를 표시하고 있을 뿐이다. 지평선 너머의 또 다른 세상에서는 하나의 탄생인 것이다. 스코트는 죽기 얼마전부터 금식을 시도한다. 생명이 다한 자신의 모든 유기체들이 세상과의 관계를 떨어내는 일을 도와준 것이고 헬렌은 스코트가 더 높은 세상으로 나아가는 길을 지켜준다.

'더 많이 소유하고 더 많이 얻기'에 대한 대안으로 '덜 갖되 충실한 삶'을 택한 그들은 '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에서 삶,사랑,죽음이 결국은 하나의 연속선상에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사람은 누구나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살아간다. 그러기에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도 지나간 삶에 더 애착을 가지는 것이다. 충실한 삶, 조화로운 삶을 살아간다면 훗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도 또 다른 세상으로 나아가는 문으로 죽음을 바라볼수 있을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04-03-08 21: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코트가 가장 존경한 인물중의 한명이 소로우이죠. 이들이 제시하는 삶의 형태가 현실 사회 생활속에서 실천하기 힘들더라도 닮아가는 삶이라도 산다면 지금보다는 더 큰 삶에 의미를 간직할수도 있을텐데.. 역시 중요한건 사상보다는 실천의 문제인가 봅니다.
 

당신이 만족스럽지 않고 기분이 좋지 않다면, 그것은 당신이 살고 있는 세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 세상은 당신이 그다지 크게 바꿀수는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당신은 조금씩 자기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가도록 성장함으로써, 자신의 고통을 줄여갈수 있습니다. 당신이 바꿀수 있는 것은 오로지 당신 자신입니다.

- 프랭크 타운센트 < 땅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04-03-02 1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엄마 손잡고 장터에 가고 싶다. 맛있는 것 사달라고 떼도 써보고 싶고...

stella.K 2004-03-02 1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할인점이 깔끔하긴 하지만 인간냄새는 안나죠. 재래시장은 좀 지저분해도 질박하고 사람사는 냄새가 나는데...저도 재래시작이 사라져 가는 걸 보면 안타깝긴 해요.

잉크냄새 2004-03-08 0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어디의 시골장일까? 벌써부터 궁금해지네요. 흑백사진속에 오뎅국물김이 모락모락나는 정경을 상상해도 될까요?

프레이야 2004-03-09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친정집은 5일장이 서는 그 장터 안에 있다. 6학년 때부터 산 곳인데 아직도 그곳엔 이 도시에서도 몇 안 되는 5일장이 선다. 3일과 8일이다. 장날이 그립다. 우리집 들어가는 통로 입구에서 생선을 파시는 할머니, 고구마 아저씨...
 

항목별로 좀더 세분화되고 변화를 추구하는 알라딘의 의지가 담겨있는것 같다.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항상 변화를 추구하는 모습이 보기 좋다. 마이페이퍼처럼 주인장이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부분 또한 새롭다. 단 나의 경우는 13편의 빈약한 리뷰수를 가지고 있는지라 카테고리 설정 자체가 큰 의미가 없다. 50권의 리뷰가 올라가는 날 나름대로 세분화해볼까 생각중이다.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고 많은 새로운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있던 부분중 삭제된 부분에 대한 아쉬움 또한 크다. 서재 방문시 마이 리뷰밑으로 주인장이 작성한 제목만 보이고 실제 책의 제목이 사라진 부분은 좀 아쉽다. 그냥 한눈에 어떤 책인지를 알수 있는 것이 더 일목요연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3-02 1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헛, 그러고보니 정말 제목만 보이는군요...깨닫지 못한 변화였는데...정말 조금 아쉽네요~^^

잉크냄새 2004-03-06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의 제목이 다시 보이기 시작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