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학의 통찰(?)로 바라보는 중국 생활 두번째 이야기를 시작한다.
4. 인구 정책
- 일반적으로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알려져 있지만 내부 사정은 다소 복잡하다. 일반 도시 시민이 두 번째 자녀를 출산했을 경우, 벌금을 내면 출생신고가 가능하다. 벌금은 대략 2만 위엔(350만원) 정도인데 일반 노동자 최소 임금 기준(1310위엔 – 도시에 따라 차이가 있다.) 15개월 봉급에 해당하는 큰 비용이다. 서부 내륙의 낙후된 지역은 기본 자녀를 2명까지 인정하고 세 번째 자녀부터는 벌금형이 존재한다. 소수 민족은 자녀에 대한 제한이 한족과 구분되는데 각각의 소수 민족마다 차이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보통 한족보다는 많은 자녀늘 허용하는데 참고로 조선족은 3명까지 가능하다. 공무원에 해당하는 정부 관료의 경우는 벌금형만으로 출생신고가 가능하지 않다. 그들이 법으로 정해진 자녀를 초과하려면 현재의 직위를 버리고 벌금을 내어야 한다. 벌금을 내지 못하는 자녀는 출생신고가 불가하며 모든 사회 조치로부터 제외된다. 흔히들 중국의 인구가 완전히 파악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이처럼 법적인 자녀 이외에 벌금을 내지 않고 출생 신고가 접수 되지 않은 인구가 엄청나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5. 율동 문화
- 중국의 대외 홍보 자료나 영화를 통하여 인식된 바로는 중국인들이 광장에서 태극권을 하며 소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건 아마도 한국인들은 전부 태권도 고수로 알려진 것과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이 곳에서 생활하는 동안 태극권을 하는 사람은 딱 두번 보았다. 저녁 나절이면 동네 사람들이 모여들어 라디오 음악에 맞추어 단체 운동을 하는데 체조보다는 부드럽고, 에어로빅보다는 느리며, 춤보다는 덜 화려하다. 적당한 단어가 생각나지 않는데 율동 체조라고 그냥 내가 가져다 붙인다. 아님 말고. 주로 도심의 공원, 아파트 단지 다소 넓은 공간 등에서 이루어지는데 마땅한 장소가 없는 경우는 은행 등 관공서의 앞 다소 넓은 보도를 점거하고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 큰 가게를 운영하는 경우 가게 앞 보도를 점거하고 율동 체조를 선보이기도 한다. 얼핏 파악한 연령대로는 주로 30대 중반 이상의 중년 여성들로 구성되는데 젊은 처자들은 어느 정도 나이가 들고 생활이 안정된 후 참가하는 듯 한다. 보통 남자들은 참여하지 않는다.
6. 던지기 문화
- 중국에 처음 왔을 때 가장 기분 나쁘기도 하고 웃기기도 하던 문화이다. 식당에서 젓가락을 던져 주고, 가게에서는 거스름돈을 던져 주고, 오래 사시라고 담배도 던져 주고, 어떤 날은 보고서도 던져 주고, 이런 썅! 보고서는 좀 그렇잖아. 보고서는 회사 내의 예절이라 여겨 혼쭐을 내주곤 해서 보고서는 더 이상 날아다니지 않는다. 문화는 습관이 정형화된 것이라 볼 수도 있겠다. 그들은 물건을 던져주는 행위에 우리처럼 공손함이라든지 예절이라든지 하는 의미를 전혀 부여하지 않는다. 그저 하나의 오래된 습관일 뿐. 우리가 외부인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 이해 안 되는 행위일 뿐. 솔직히 지금은 의도적으로 바라보지 않는 이상 물건을 던져주네? 라는 느낌은 들지도 않는다.
여기서 오늘의 퀴즈.
인구 정책 관련하여 서부 내륙의 농촌 지역에서 행한지는 일이다.(물론 전부는 아니고) 자녀 제한을 초과하고도 벌금을 내지 않는 마을 사람에 대하여 그 지역 이장이나 면장에 해당하는 사람이 취하는 아주 특별한 조치가 있다고 한다. 무엇일까요?
.
.
.
.
.
.
.
.
.
.
.
.
.
.
.
.
.
.
.
.
.
수돗물과 전기를 끊어버린다고 합니다. 생활을 불편하게 함으로써 벌금을 내고 출생신고를 하도록 강제하는 방법입니다.
아, 그런데 예전 한국에서 실행된 새마을 운동본부 소속 모 반상회 소식에 따르면 정전과 출산은 완만한 비례 곡선을 그린다고 보고된 바가 있는걸로 압니다. 유니세프에서도 보고된 바가 있고요. 믿거나 말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