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초에 드라마로 만들어져 호평을 받았었고(그 때 왜 안봤을꼬), 오다기리 조를 좋아했기 때문에 나름대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영화 <도쿄타워>. 엄마와 아들 간의 정을 따뜻하게 그려냈다는 점에서는 높은 점수를 주고 싶었지만 2시간 20분이라는 긴 러닝타임은 역시 너무 긴 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린 시절, 좀처럼 가정에 정착을 못하는 아버지. 그런 아버지를 참고 살았지만 결국 아버지를 떠나기로 결심하고 고향인 탄광촌으로 아들을 데리고 간 어머니. 그 곳에서 학교를 다니며 평온한 생활을 보내던 그는 갑자기 미술공부를 하겠다며 미술고 입시를 준비한다. 다행히 합격해 홀로 떠나 생활하게 된 그. 처음으로 혼자 살게 된 그는 자제력을 잃고 방탕한 생활을 보내게 된다. 그렇게 의미없이 하루하루를 보내던 그는 도쿄에 있는 대학에 들어가겠다고 생각하고 합격을 한다. 그리고 새롭게 시작된 도쿄생활. 도시인만큼 다양한 사람들로 가득찬 그 곳에서 그는 또 다시 빈둥거리는 생활을 하게 되고, 점점 빚만 쌓여간다. 마침내 졸업할 때가 됐지만, 제대로 학교를 다니지 않아 유급을 당하게 된 그. 그런 그를 어머니는 묵묵히 뒷바라지해주며 싫은 소리 한 번 하지 않는다. 그러던 어느 날, 엄마가 암때문에 수술을 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고, 제대로 살아야겠다는 생각에 아무 일이나 닥치는 대로 하기 시작하고, 조금씩 조금씩 생활을 안정되어 간다. 그리고 마침내, 엄마를 도쿄로 모시고 오게 된 그. 하지만 행복도 잠시, 엄마에게 암이 다시 찾아오고, 모자 간에 남은 시간은 얼마 남지 않는데...

점점 커가면서 아버지와 닮아가는 아들. 기껏 아버지를 벗어났지만 또 다시 아들이라는 짐을 얹고 살아가는 엄마. 하지만 그런 엄마는 웃음을 잃지 않는다. 자신의 친구들에게 밥을 대접하기 좋아하고, 친구들 앞에서도 자신의 장기자랑을 선보이는 엄마. 엄마는 항상 아픔을 드러내지 않고 밝음만을 남긴다. 암에 걸려 수술을 했을 때에도, 또 다시 암 때문에 죽어갈 때도 엄마는 자신의 일보다 아들을 걱정한다. 정신을 잃었다 가까스로 정신을 차렸을 때도 엄마는 눈을 뜨고 아들에게 가지된장국이 있다고, 챙겨먹으라는 말을 할 뿐 자신의 아픔은 드러내지 않는다.

이 세상의 모든 엄마들. 그들의 마음은 한결같다. 자신의 행복이 곧 자식의 행복이라는 생각, 그리고 자신은 고되고 배고플지라도 자식에겐 배고픔을 안겨주고 싶지 않아하는 마음. 국경을 초월해 모정은 끈끈하고,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다. 이 영화를 보며 다시 한 번 엄마의 정을, 부모님의 사랑을 떠올렸고, 그 때문에 한 번 더 힘을 낼 수 있었다. 이 세상에 나를 전적으로 믿어주는 그 누군가가 있다는 사실. 그 사실 하나만으로 이 세상은 좀 더 열심히 살아갈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었다. 내 삶은 나 혼자만의 삶이 아니라 부모님의 희생과 사랑 위에서 누릴 수 있는 것이기에. 부모님과 함께 보면 더 좋을 것 같은 영화지만, 혹 부모님과 함께 볼 수 없다고 해도 이 영화를 보고 따뜻한 안부 전화 한 통을 한다면 그 나름대로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도 가까이 있기에 미처 깨닫지 못했던 것. 그걸 깨닫게 해준 영화였다. 드라마와 원작 소설에서는 어떤 느낌으로 이 내용을 풀어갔을 지 궁금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