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 쓰고 죽어라
스테판 M. 폴란. 마크 레빈 지음, 노혜숙 옮김 / 해냄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포함 여느 보통 직장인들이 다 그렇지 않을까 싶은데.... 뭐냐면.....쉽지 않은 직장살이... 중도하차하고 싶은 맘이 꾸역꾸역 솟아오르는 걸....지그시 눌러 삼키곤 하는 것 말이다. 잘해보자, 잘해보자 스스로를 다독이는 가장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바로 경제적인 문제이지 않을까 싶다. 조금 원초적으로 이야길 하자면 이렇다. 이 세상이 '돈 나고 사람 나는 (사람 나고 돈 나는 게 아니라,,,)' 세상이기 때문이랄까. 맛있는 걸 사먹는 일도, 여행을 가는 일도, 심지어 책을 사보는 일도, 많든 적든 돈이 있어야 가능하다.
이 책은 돈에 대한 관리 방식과 돈을 바라보는 안목을 키워준다는 점에서 읽을 만하다. 하지만 굳이 여기서 하라는 대로 작은 것까지 실천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아주 사소한 예를 들자면, 이 책에서는 현금 카드를 절대 사용하지 말고, 일주일에 한번씩 은행에서 현금 찾는 날을 정하여, 그 주에 쓸 돈을 찾아두라고 충고하는데, 일주일에 딱 한번씩 꼬박꼬박 은행을 방문을 해야 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돈쓰기에 있어서 쪼잔하고도 강박적인 행동처럼 보인다.
이 책에서 귀에 딱지 얹힐 만큼 거듭 반복, 강조, 변주해서, 도돌이로 가는 얘기들은 다음 네 가지이며, 지은이는 자신이 이야기하는 이 네가지를 통해서 비로소 우리 삶을 바로 잡을 수 있다고, 확신에 차서 이야기한다.
첫째 '오늘 당장 사표를 써라' - 정말로 당장에 회사에 사표를 집어던지고, 다른 회사를 알아보던지, 개인 사업을 시작하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마음속에 사표를 써 두고, 직업을 단지 일로만 생각한다면, 직장에 대해, 업무에 대해, 불합리한 기대를 걸지도 않고, 실망할 일도 적어진다는 것이다. 요즘엔 평생 직장의 개념도 없어지고 있고, 보통의 기업들이 수익 올리기와 함께 가차없이 해고하기를 동시에 실행하고 있다. 이제 우리 자신의 위치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해고당하고 난 후에, '회사가 나에게 이렇게 할 수 있나'하며, 충격 먹지 않으려면, 평소 이중적인 시각을 갖는 연습이 조금은 필요한 것 같다. 즉, 나 스스로와 회사, 양쪽이 필요로 하는 것을 다 같이 볼 줄 아는 시각말이다.
둘째 '현금으로 지불하라' - 이 부분은 레기네 슈나이더의 '소박한 삶'과 맥락을 같이 한다. 결재 후에 후불로 지불되는 비교적 손쉬운 거래 방식에 매력을 느끼는 나를 비롯 많은 사람들이 종종 일으키는 문제인데, 무절제한 신용 카드로 인해, 다달의 월급을 카드빛을 메꾸는데 헌신토록한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을 바꾸어, 소비하는 일을 힘들고 불편한 방식으로 만들어 버리자고 주장한다. 이런 소박한 삶의 방식을 통해 얻는 것은 물질적인 차익 뿐만아니라, 정신적 보상도 따라 온다고 글쓴이는 강조한다.
셋째 '은퇴하지 말라' - 미국에서 루스벨트 대통령이 65세를 정년으로 정했을 때, 미국인의 평균 수명은 63세였다고 한다. 정년이 처음 정해졌을 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나이까지 살지 못했다. 그러나 요즘은 은퇴를 하고 나서도 평균 15년은 더 산다. 그 15년 동안 흔들 의자에 앉아 지나간 영광을 되씹으며 지낼 수도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나이 개념에서 65세는 노년의 시작이 아니라 중년의 시작이다. 중년의 나이에 흔들의자는 좀 맥빠진다.
넷째, '다쓰고 죽어라' - 있는 돈 흥청망청 다 쓰고 아무것도 남기지 말고 죽어라. 라는 말과는 좀 다르다. 이것은 다른 말로 하면 이렇다. '유산'이라는 형식으로 엄청난 상속세를 물면서 까지, 후대에게 재산을 남기지 말라는 것, 살아 있을 때, 자식들의 삶에 물질적인 지원을 해주고, 기부금 형식으로 주변에 배풀기도 하면서 살라는 얘기다. 만약, 우리 엄마 아빠께 '적으나마 남아 있는 돈은 노후를 위해 다 쓰시고, 그래도 조금 남으면 저희들에게 조금 나눠 주시고, 아무튼 절대로 유산은 남기지 마세요.' 라고 말씀을 드리면 어떻게 반응하실지. 많이 황당해 하시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