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름에 대한 찬양 - 개정판
버트란드 러셀 지음, 송은경 옮김 / 사회평론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동을 기쁘게 할 수 있는 이유는, 노동이 끝난 다음에 찾아오는 여가의 시간 때문이라고 누군가는 말했다. 그런데 나는 요즘 내가 하고 있는 노동이 하나도 기쁘지 않다. 노동이 끝난 다음에 반드시 짧으나마 여가의 시간이 찾아와 줌에도 불구하고....... 왜 일까...
최근 나는 내가 추구하는 방식대로, 내게 주어진 일을 소신껏 하고 있지 못하다. 끊임없이 그리고 철저히 누군가(?)의 부림을 받고, 그 사람의 지시에 가장 근접하게 일을 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그것을 어렴풋이 자각하는 순간부터, 일이 너무나 재미없고 지루한 것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이 책은 위와 같은 여타의 상황에서 한없이 게으름을 피우고 싶다는 욕망의 부추김으로 읽게 된 책이다.

예전에 심혜진과 여러 패널들이 스타급 인사를 초대해 인터뷰를 하는 <파워 인터뷰>란 티비 프로를 기억한다. 한번은 김창완 초대되어 인터뷰를 했었는데, 패널 중 한 사람이 그에게 '시간이 나면 무엇을 하며 보내냐'는 질문을 했다. 그러자 김창완이 뜨악한 표정을 지으며, 특별히 하는 일없이 빈둥댄다는 대답을 했다. 참으로 우문명답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대 사회는 강박적으로 사람들에게 목표 달성을 위해 항상 진행형이길 요구하고, 노동의 미덕을 소리 높여 외친다. 노동을 유달리 찬양하고 신성시하는 사람들을 가만히 살펴보면, 대체로 감독이거나 관리자인 경우가 많다. 러셀도 이런 점을 지적하면서, 하루 4시간 노동이 보편화될 수 있는 사회를 이상적인 사회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하루 4시간 일하는 노동자의 임금으로 식구들을 제대로 먹여 살릴 수 있을까. 다분히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꿈꾸는 내용으로 비춰진다.

이 책은 1935년에 쓰여진 책이며, 게으름을 주제로한 부분은 이 책에서 앞의 일부분을 차지할 뿐이다. 그 밖에 지은이가 파시즘과 공산주의를 경계하는 이유들과, 교육을 바라보는 입장, 여성과 아동 복지에 대한 내용이 후반에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책의 제목을 '러셀의 바라본 사회, 그 사회의 각 현안들에 대한 견해 모음집' 쯤으로 붙여졌어야 정확했을 것 같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붙은 제목이라면 판매 부수가 확실히 딸렸겠지. 이 보단 '게으름에 대한 찬양'이라는 제목이 더 호소력이 있긴하다. 그리고 게으름을 시종일관 찬양하는 내용보다야 읽을 거리도 많고, 논란의 여지를 불러일으키는 코멘트도 많기 때문에, 기대했던 것 보다는 훨씬 재밌게 읽었지, 싶기도 하다.

게으름을 진가를 제일 먼저 주장한 사람은 러셀 말고도, 같은 시기에 체코의 극작가이자, 수필가였던 카펙이라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카펙이 말하는 게으름은 '사람이 정신 팔 것이 아무것도 없는 상태'의 게으름인, 거의 명상의 상태에 가까운 무엇을 말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러셀이 말하는 게으름은 무위라기보다는 여가와 재미있는 사색의 결합 쪽에 가깝다. 러셀이 말하는 게으름을 추구한 인생의 요점은 바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힘들게 고군분투하며 악바리처럼 사는 쪽보단, 최대한 충돌을 피하고 선한 본성으로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며 사는 인생 쪽이 행복할 것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