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대작가는 여태껏 한번도 대중 앞에서 강연 원고를 소리내어 말할 기회가 없었다고 한다.(임상심리학자(?) 가와이 하야오 선생의 타계 후 그에 관한 장은 실제로 교토 대학교 강당에서 천명의 사람을 마주하고 이루어진 것만 빼고) - 기회가 없었던 게 아니라, 기회가 있더라도 이렇게저렇게 회피했을 듯-

이 책은 그간 5년여 동안 써왔던 글을 모은 것이라고 한다. 자신이 소설을 쓰는 것에 대해, 소설가로서 소설을 써 나가는 상황에 대해 테마별로 써 두었던 것을 가지고, 강연을 한다고 생각하고 전체문장을 다듬어 쓴 것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강연은 하지 않고, 그의 강연 비슷한 것을 듣고자하는 사람들을 위해 썼다? 는 것은 아니고. ^^;;;  의뢰받은 것이 아니라, 자발적인 기획으로 쓴 것이라 한다. 달리 말하면, 이 책은 하루키가 말하는 '소설가 하루키'이다.

 

그런데 왜 하루키는 강연을 하지 않을까? 그가 밝힌 이유 첫째, 자신이 소설을 쓴다는 작업에 대해 이런 식으로 정면에서 당당하게 말해버리는 것이 좀 멋쩍었기 때문. -"나는 내가 쓰는 소설에 대해 별로 설명하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비교적 강하다. 자작에 대해 말하다 보면 아무래도 변명하거나 자랑하거나 자기 변호를 하게 되기 쉽다. 그럴 생각이 없었더라도 결과적으로 그렇게 '보여버리는' 면이 있다."

 

이 책은 또한 지금껏 그가 써온 에세이의 재탕인 면도 있다. 사실 독자 입장에서는 재탕일수밖에, 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삼십년 전의 하루키나 현재의 하루키나 기본적인 자세나 사고 방식은 같을 것이고, 계통적으로 한 자리에 보겠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분위기나 톤이 살짝 달라지는 풍경을 감상하는 데 가치가 크므로.

 

라이프 스타일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날마다 붐비는 지하철로 이리저리 치이면서 출퇴근을 하며, 개인 컨디션과는 하등 상관없이 하루하루 그날그날의  의사소통을 치루어내가며 하는 일상을 사는 개인이 바라볼 때, 자신만의 에너지와 엔진을 가지고 속력의 완급을 달리해 가며 하는 하루키 집필 생활은 부러운 무엇일 수밖에 없다.  평범한 사람들이 행복을 얻는 원천은 일상생활에 있다. 가족, 동료, 이웃, 친구 등과의 관계맺기가 관건이기에 이에 대한 두려움도 많다. 그렇지만 이 작가는 이런 것들에 적어도 초연해보인다. 그것도 사실 부럽다. ㅠ  이 말은 어쩐지 나는 평범한 사람이라서, 행복하지 않다는 것처럼 들리니, 수정해야겠다. 나중에 ㅎㅎ

 

"나는 소설가라서 사람을 관찰하는 게 일입니다. 세밀히 관찰해서 대략적인 프로세스는 거치지만 판단은 하지 않습니다. 판단은 정말로 그것이 필요할 때까지 보류해 둡니다. "

 

"참고로 내 경우의 '푸닥거리'는 달리기입니다. 그럭저럭 벌써 삽십여 년을 계속 달렸지만, 소설을 쓰면서 내게 엉겨 붙어 따라오는 '음(陰)의 기척'을 나는 날마다 밖에 나가 달리는 것으로 떨어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16-06-15 1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하루키 소설을 많이 읽지 않았고 또 완전 팬이라고도 할 수 없겠지만..
하루키 라이프 스타일이 좋아요~
하루키를 좋아하는 거 맞나요?? ㅎㅎ

icaru 2016-06-15 10:37   좋아요 1 | URL
좋아하는 거 맞네요! ㅎ
저도 가만히 앉아 골똘히 생각했던 적이 있거든요.
`나는 하루키를 좋아하는가?`
ㅋㅋ
저는 장편은 거의 다 읽은 거 같아요. 물론 노르웨이의 숲 같은 책은 20년도 전에 읽은 것이라, 읽었다는 사실만 기억할 뿐이지만요. ㅎ
이상하게도 아무리 좋다지만, 한 번 이상은 안 읽게 된다는 특징이 있고요.
저도 자신이 꽂힌 것에는 깊이 내려다보고 천착하려는 그 시선과 약간의 사회성 결여 등등의 스타일이 좋더라고요.

60대의 연배에도 계몽이나 교훈조가 아닌 것도 좋고...

hnine 2016-06-15 12: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후...이 책을 안 읽어볼 수가 없다니까요.
저도 사람들 관찰하는 것 만큼 시키지 않아도 하기 좋아하는게 있을까 싶어서, 이걸 직업과 연관시키면 좋을텐데 생각한 적 있어요. 그런데 하루키 같은 직업 외엔 딱히 마땅한게 없더라고요 ㅠㅠ 그래서 포기.
하루키는 겉으로 보는 것 보다 실제로는 무척 완벽주의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데 그런 면 보다는 자유로운 사고 방식, 생활방식에 대한 것을 주로 말하기 때문에 독자들이 잘 모를 수도 있다는 생각이요. 아무래도 완벽주의 보다는 자유로운 스타일이 더 매력적으로 다가가니까요.

icaru 2016-06-16 08:43   좋아요 0 | URL
소설가의 제일 중요한 자질을 갖고 계신 거네요~~ 사람을 관찰하는 일에 통찰이 있다는 것!! 저는 조만간 시중 문학계에서 서점가에서 나인님의 글을 대면할 날이 올거라고 생각해요!

하루키,, 나인님 말씀이 맞다 하는게,,, 초성실한 직업인이지 뭔가요.. 그닥 한눈파는 일 없이, 칸트의 시계처럼 늘 일정한 일과에 따라 살아가는 사람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고 규칙적으로 달려주고! ㅎㅎㅎㅎ

고양이라디오 2016-08-25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하루키씨의 팬입니다^^ 이 책도 무척이나 감동적으로 읽었습니다^^

icaru 2016-08-26 10:22   좋아요 1 | URL
으아! 반갑네요! 곁에 두고 가끔 들춰보는 몇 안 되는 책 가운데 하나라죠..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