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LLING & RAMPAL - Suite for Flute and Jazz Piano Trio
클로드 볼링 (Claude Bolling) 외 연주 / 굿인터내셔널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대의 나부낌에도 음악이 있다. 시냇물의 흐름에도 음악이 있다. 귀가 있다면 누구나 모든 사물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바이런


이 세상엔 정말 알 수 없는 것이 많은데, 그 중의 하나는 음악의 ‘무엇’이 그토록 우리를 감동시키는가 하는 것이다.  클로드 볼링의 피아노와 장 피에르 랑팔의 플룻 선율이 만난 이 재즈 트리오 또한 뭐라 설명하기 힘든 그들만의 색깔과 스타일이 살아 있다.

그리고 그 스타일이라는 것이 마치 잔잔한 물이 흘러가는 질서를 파악하고 그것의 시각적인 모양새를 청각적인 음악으로 들려 주는 듯한.


'센티멘탈'은 귀에 감겨드는 느낌이 이루말할 수 없이 감미롭다. 밝고도 사뭇 관조적인 이 곡이 왜 '센티멘탈'이라 붙여졌는지~ 진짜, 알쏭달쏭하다.

앨범 자켓을 읽어보니, 주로 끌로드 볼링 위주의 헌사를 남겼다. 그의 출생, 재즈피아노의 신동으로 알려짐, 각종 콩클의 수상 이력. 등

나 같은 경우 장 피에르 랑팔의 플룻도 위상이 크다고 생각하는 쪽인데, 앨범 제목마저도 '클로드 볼링의...' 로 되어 있어, 앨범을 검색하는데 쉽지가 않았다. 


오륙년전 센티멘탈이라는 제목 하나만 가지고, 이 음반을 백방으로 수소문하였었다. 앞서 말했다시피 ‘장 피에르 랑팔’과 ‘센티멘탈’이라는 키워드만 가지고 였다. 혹, 센티멘탈이라는 제목을 잘못 알고 있는건가 싶어, 랑팔의 플룻앨범을 여러 샀었는데 센티멘탈은 없고, 죄다 바하의 곡을 플룻으로 연주한 것들이었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생각지도 않은데서 바하의 플룻곡을 만날 수 있어 나름으론 좋았다. 그리고 곧 센티멘탈은 잊었다. 그러나 우리의 인연은 거기서 끝이 아니었던 것이다. 만날 음악은 언젠가 다시 만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보자 하니, 이 앨범엔 센티멘탈만 좋은 게 아니다. 귀에 익은 음악들이 제법이다.


지금은 전혀 그게 아니라 그립기만한, 음... 내게 그런 시절이 있었다. 귀에 꽂힌 음악이 있으면 동네의 음반 가게를 샅샅이 뒤지고 아니면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안되면 기차도 타고 멀리 원하던 것을 찾아 음반 순례를 다니던 호시절이.

책을 일삼아 읽는 취미가 생긴 건 사실 최근 일이년 사이의 일이고, 오랜 시절 나의 스트레스 해소법은 음반 찾아 삼만리였던 거다. 변변한 로션 하나 사바르는 것도 벌벌 떨던(샘플로 주는 게 이렇게 숱한데 멀쩡한 큰 통에 들은 걸 왜 사냐구...,) 나였지만, 음반을 살 때는 살짝 맛이 갔었다. 원하는 것을 얻는다는데 돈에 개념이 있었을라고. 음. 그 당시에는 강남과 종각 쪽에 타워레코드가 2~3층 이상으로 매장을 꾸리고 있었는데...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5-02-01 0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8개월만에 음반리뷰를 올리시는군요. 플룻은 단독으로 연주하는 곡이 많지 않은가봐요. 대부분 협주곡 형식이더만요. 게다 바흐의 소나타가 보편적으로 쓰이더라구요. 매우 서정적이고 부드럽고 감미롭고..흘..아릅답죠. 그 분야에선 상관 없지만 센티멘탈이라고 말씀하시니까 '센티멘탈 워크', 라고 또 엔니오 모리꼬네의 곡도 생각나요. 근데 찾다찾다 음반이 없으면 꽤 허탈하지 않았어요? 복순 아짐두 발품 많이 팔으셨구나..전 좀 편집증 같은 증세가 있긴 한데 흥분만 잘 가라앉히고 침착하게 주머니 사정을 생각하면 또 구하고 싶은 음반을 잊어버리게 돼서..으흐흐..저도 마니아가 되고 싶어요. 그런데 잘 안 돼요!복순 아짐, 우리 마니아 해요! 아쒸..공공근로로 얼마나 번다고 마니아라니..정신 차리자..

icaru 2005-02-01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팔개월만이라...그러네요...
님은 마니아 맞아요...꾸준히 신보를 접하시잖나요~ 전...예전 것만 듣네요...귀에 익은 것만요..

2005-02-01 10: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미네르바 2005-02-01 1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때 님은 음반 찾아 삼만리 했군요. 저도 대학교 때 잠깐 그랬어요. 그 때 음반들이 지금은 창고 속에 그냥 방치되어 있네요. 요즘은 음악을 듣기보다는(아니, 귀에 익은 음악들은 여전히 좋아하지요) 책 읽는 것을 더 좋아하지만.<갈대의 나부낌에도 음악이 있다. 시냇물의 흐름에도 음악이 있다. 귀가 있다면 누구나 모든 사물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 바이런의 이 글을 읽으니 내가 참 메마르게 살고 있구나 생각이 드네요. 모든 사물에서 음악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하는데, 전 소음처럼 들리고 있으니... 그런데 자연의 소리는 예외인 듯 싶네요. 바람 소리, 파도 소리, 새소리 등은 여전히 음악처럼 들리니까요^^

잉크냄새 2005-02-01 1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이런의 글에 눈이 확 꽂히네요. 음...전 음반에 대한 그런 애정을 가져보지 못하고 산것 같네요. 음악, 있으면 듣고 없으면 안듣는 스타일이라서....근데, 막걸리집의 가야금 소리에는 혹~ 하는 필을 받곤 합니다.^^

icaru 2005-02-01 2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님.. 님 플룻까지...별거별거 다 배우셨었네요~ 5개월 정도 배우면 무슨 곡을 연주할 수 있는가요? 히야~

미네르바 님 ^^ 님이 그 말씀하시니...파도소리 듣고 파요~ 해변에서 갯돌을 마지막으로 주워본 게 언제였든가...아흐.. 전, 나이가 들수록 점점 음악은 스피커로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답니다... 한창 나이에 너무 이어폰으로 크게 음악을 들어서... 지금 가는귀가 먹은듯해요... ㅠ.ㅜ

잉크냄새님.... 막걸리집의 가야금 소리라!! 이 국면에서 님이 자주 찾으시는 주가가...두둥....

내가없는 이 안 2005-02-02 0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끌로드 볼링의 자켓은 몇 개 들은 것 같은데 기억은 안 나네요. 내 돈 내고 사다가 들은 건 기억해도 동생 것을 빌려다 들은 건 죽어도 기억을 못하는. ^^ 그런데 사람 귀가 참 이상해요. 클래식만 귀에 꽂다 보면 가끔 차 안에서 대중가요나 뽕짝 메들리를 틀어놓을 때 귀에 거칠거칠하게 들리데요. 그것도 사실 이것저것 듣지 못하는 귀가 문제가 아니라 마음이 문제겠지만...

2005-02-02 08: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2-02 13: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2-02 2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icaru 2005-02-04 17: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귀의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문제라~ 음...제말이요~
요즘...뭔바람이 불었는가...예전에 듣던 음반들을 듣고 있는데...이것저것 듣다가...새삼스레 트레비스라는 그룹이 들려 주는 음악에...절절히 빠져 지낸답니다... 보컬의 '꺾는 음'이 이리도 애잔하게 들리다니... 제가 나이를 먹는건가요...귀만 말랑말랑해진건가요, ,,,

2005-02-05 08:0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