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만난 적이 있다
조경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5월
평점 :
우리 집은 4남매이다. 내 기억에 엄마와 아빠는 올망졸망한 아이들이 주루룩 딸린 것을 많이 힘들어하셨던 거 같다. 그래서 방학이 되면 우리들 중 하나 둘은 친척집에 보내졌다. 외가는 서울이었고, 친가는 내가 살던 소읍보다 더 시골인 어촌마을이다. 나는 친척집에서 낮 동안은 아무 생각없이 사촌들과 잘 놀다가도 산그림자가 짙어지는 저녁이 되면 쓸쓸하게 어두워진 나무들을 바라보며 곧잘 이상한 생각에 잠기곤 했다. 엄마 아빠, 두고 온 집 생각으로 시작해서 ‘나’는 누구일까. ‘나’는 왜 ‘나’일까. 지금의 '나'가 아니라 전에 아주 오래 전에 다른 '나'가 있지 않았을까....같은 조그만 애로서는 감당이 안 되는 형이상학적인 것들까지....
그런 생각들에 결론이란 없다. 손으로 갈퀴를 만들어 물 속을 헤집는 것처럼, 아무것도 잡히는 것이 없다. 그저 처연한 느낌이 조금 들다 말 뿐....
이 소설은 그 때 뜬금없이 들곤하던 정황들이 연장되어 겪게 되는 느낌이 든다. <어두운 거리의 상점>처럼 실루엣으로 느끼고 파악하고, 줄거리보다는 정황의 설정이 중요해지는....
‘전생퇴행워크숍’이라는 게 나온다. 몇 년 전이었지 싶은데...한참 전생 바람이 불었었다. 그것을 소재를 다룬 트랜드 드라마도 많이 나왔고 말이다. 이 책도 그것에 편승한 것이었을까... (편승이라는 가벼운 느낌을 주는 단어 말고 다른 것 없는가???) 이번 생은 조졌지만.... 전생은... 아니, 조지고 말고가 중요하지 않지...암 중요하지 않고말고...
이 소설에서는 밥과 국과 찌게를 만들어 먹는 장면에 대한 서사랄까 묘사가 많이 나오는 것이 인상적이다. 아....밥이란 것이 얼마나 중한데 밥상을 치섰소....
정말 재미없는 소설이었어, 라고 말하고 싶으면서도, 왠지 그렇게 잘라 말하기가 미안해진다.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서 작가와 나는 소통하고 있지 않았을까.
태초의 ‘나’를 생각해 보게 한다는 것. 그 지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