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턴가 

부엌은 나의 실험실,

조리대는 나의 실험벤치,

수납장은 시약장.

 

하루 전에 프로토콜 (실험진행계획) 만들어 놓고,

계획대로 계량하고, 섞고, 익히기.

오늘의 결과물은

콩찰편.

검은 콩과 함께

밤과 대추도 들어간 콩찰편이다.

 

음....파는 것보다 조금 덜 달지만

맛있다.

나는 왜 내가 만든 것은 다 맛있다고 생각이 드는 것일까

 

다음에도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이제 해야할 일은

과정을 다시 자세히 기록해두는 일.

 

실제 실험실에서의 일보다

훨씬 생산적이고 재미있지 않냐!  라고

스스로 외쳐보는...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설 2007-06-01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걸 쇠머리떡이라고도 하던데 떡돌이 알도가 좋아하는 떡입니다^^ 부지런하신 모습이 무척 부럽습니다.(부러우면 따라하면 될 일인데....^^)

아영엄마 2007-06-02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야~ 직접 떡을 만드시는군요. 콩, 밤이랑 대추가 들어간 떡이라니 생각만 해도 침이 꿀꺽~입니다. 정말 생산적이셔요!! ^^

hnine 2007-06-02 06: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설님, 알도가 떡돌이였군요 ^ ^ 밀가루가 아닌 쌀가루, 검은 콩, 밤으로 만들었으니 아이들에게도 좋을 것 같아요. 저도 떡돌이, 아니 떡순이랍니다 ^ ^
아영엄마님, 시간이 많으니까요. 혼자 저렇게 뚝딱뚝딱 하는 동안 시간가는 줄 모른답니다. 실험은 하다가 결과를 못 얻는 경우도 비일비재한데, 더 생산적이긴 하지요. 오늘 아침 남편도 저것 한 쪽 먹고 출근했습니다. 좋은 하루 되셔요.

마노아 2007-06-02 06: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지금 아침으로 콩떡 먹고 있는데 사진이랑 비슷해요. 우헤헷, 재밌는 우연^^

hnine 2007-06-02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노아님, 어머~ 제가 비스꾸르미하게 만들긴 만든 것이군요! 찰떡이라 하도 여기저기 달라붙어서, 만들고 난 후 부엌이 장난아니었답니다 ^ ^

가을산 2007-06-02 0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실험에 넣는 재료의 양도 같이 공개해 주세요~~ 저같은 '대충파' 들을 위해서요.

antitheme 2007-06-02 0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떡 많이 좋아하는데...^^

hnine 2007-06-02 11: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 프로토콜은 가을산님 서재에 남겨놓겠습니다~ ^ ^
antitheme님, 몸에 좋기는 빵보다 떡이 낫지요. 어떤 떡을 제일 좋아하시나요. 다음엔 인절미에 한번 도전해보려구요. 그런데 이건 많이 치대야한다던데...웬지 또 심상치 않은 예감이 듭니다. 부엌이 또 한번 폭탄 맞겠구나 하는 ^ ^

홍수맘 2007-06-02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혼자놀기를 이렇게 생산적으로 하시는 분은 님 뿐인듯 싶어요. ^ ^.

fallin 2007-06-02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결혼하면 음식 만드는 걸 좋아하게 될까요? -.-;;; 이렇게 혼자 노신다니..부러워요^^ 저도 떡 좋아하는데..맛있겠당 ^^

hnine 2007-06-02 16: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홍수맘님, 늘 그런 건 아니어요, 아시지요? (찡긋 ^ ^)
fallin님, 결혼하시면, 선택의 여지가 없사옵나이다 ㅋㅋ ^ ^ 혼자 노는게 부러우신가요? 맛었어 보인다니 기분 좋으네요. 나눠드리고 싶어요...

향기로운 2007-06-08 1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먹음직스럽네요. 저도 저 떡 좋아해요^^;;; 아, 배고프다~~~

hnine 2007-06-08 14: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향기로운님, 빵보다는 아무래도 떡이 몸에 좋을 것 같아서 요즘은 빵보다 떡을 더 자주 만듭니다. 해보시면 별로 어렵지 않아요...

세실 2007-06-08 1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린이 참 좋겠어요. 엄마가 만들어준 웰빙 간식만 먹으니....
아 요즘 다요트 중인데 심히 땡깁니다. 언젠가 대전 출장 가게되면 꼭 연락드려야쥐..그때 머핀 주세용.....(그래도 머핀이 더 좋아요)

hnine 2007-06-08 17: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실님, 대전에 오시면 꼭 연락하시기어요~~

향기로운 2007-06-12 1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집 가족들은 떡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저도 방금 한 떡은 좋아하는데.. 식어서 굳은떡은 그닥 손이 가지 않거든요. 어떤땐 후라이팬에 막 구워서 먹는 떡은 잘 먹기도하지만요. 빵은 고사하고..역시나 떡은 여러가지 손이 많이 가는거 같아서 주저하게 되요^^;; 어릴때 시골에 살때는 집에서 떡만들어서 먹곤했는데.. 외할머니께서 떡을 잘 지으셨거든요.. 그 맛이 생각나고.. 그리워요..^^

hnine 2007-06-12 16: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향기로운님, 식어서 굳은 떡, 다시 찌거나 렌지에 데우면 말랑말랑해지는데... ^ ^
맞아요, 만들려면 손, 많이 가지요. 저도 음식하는 것, 취미 없었는데, 아이가 아토피가 무척 심했었어요. 그래서 사서 못 먹이고 집에서 하나 하나 만들어 먹이려다보니 이렇게 되었네요.
 

꽃눈깨비

             겨끔내기

                             나무초리

                                                 우듬지

                                                                애채

                                                  차르르, 하르르

                                      비끄러매다

                        시르죽다

             버성김

줄느런히

           잘코사니

                          시부저기

 

--- 오늘 읽은 책 <길 위의 책> 중에서 ---


댓글(9)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영엄마 2007-05-31 2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모르는 단어가 많아요. 우리 말에 이런 단어도 있군요. 이런 순우리말 찾아내는 열정을 지닌 작가네요.

hnine 2007-05-31 2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작가가 국어선생님이시거든요 ^ ^

하늘바람 2007-06-01 0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무심코 읽었어요. 에궁 반성

hnine 2007-06-01 0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랬었는데 이번엔 웬지 적어놓고 싶더라구요. 요즘 여유가 많아서 그런가봐요. 한마디로 여유만만~ ^ ^

fallin 2007-06-01 0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감이 참 좋아요. 근데 뜻은 전혀 모르겠네요^^;;; 이쁜말을 이쁘게도 올려 놓으셨네요^^

hnine 2007-06-01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fallin님, 저도 뜻을 일일이 찾아보진 않았어요. 책 속의 문구로부터 무슨 뜻인지 '감'이 올 뿐이지요. 그래도 정확한 뜻을 찾아봐야겠지요? ^ ^

홍수맘 2007-06-01 1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거의 아는 단어가 없다는 ㅠ.ㅠ
근데 이렇게 보니 우리말 참 예뻐요. ^ ^.

hnine 2007-06-01 2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홍수맘님, 그렇지요? 예쁜 말들을 보기만 할 것이 아니라 쓸 줄도 알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향기로운 2007-06-12 1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이쁜말이네요^^ 저도 알 것 같은 건 두어개 뿐인거 같아요. 그것도 맞을런지..^^;;;
 
길 위의 책 - 제3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12
강미 지음 / 푸른책들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에 대해서도, 이 책에 대해서도, 아무 사전 정보나 들은 바 없이 읽기 시작한 책이다. 제3회 푸른문학상 수상작이고, 푸른 세대를 위한 문학 시리즈 중 열두번 째 책인데, 이 시리즈 중에 이 금이님의 '너도 하늘말나리야'와 '유진과 유진'도 있다.

주인공은 김 필남이라는 여고생. 식당을 하는 엄마와 전직 군인 출신의 아빠는 각각 이혼과 사별후 재혼한 사이이며, 같이 살고 있는 두 언니는 아빠의 전처 자식들로서 필남에게 차갑기만 하다. 어울리기보다는 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외모, 성적, 사회성, 가정 형편, 어느 하나 내세울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필남은 책 읽기와 꽃나무 구경하며 이런 저런 생각에 빠지기 좋아하는 조용하고 소심한 청소년이다. 혼자서 좋아하던 나리와 같은 반이 되고 함께 학교 도서부원이 되면서 일어나는 학교 생활, 또 그 나이에 어울리는 자아성찰 얘기가, 필남이 읽는 책의 리뷰들과 어울려 깔끔하게 펼쳐지고 있다.

현직 교사가 쓴 소설답게,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요즘의 고등 학교 생활상을 눈에 보이는 듯 그려주고 있다. 친구와 성적, 또 가족과의 부대낌, 이것들로부터 자유로운 청소년은 과연 몇이나 될까. 도서부원으로서 필남이 이 책 속에서 읽고 소개하며 자기의 의견을 달아놓은 책들에는 <살인자들>(어니스트 헤밍웨이), <애러비> (제임스 조이스), <어둠의 혼>(김원일), <중국인 거리>(오정희), <데미안>(헤르만 헤세),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최시한), <호밀밭의 파수꾼>(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외딴 방>(신경숙) 등이다. 이중 특히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와 소설 데미안은 자주 인용되는데, 영화속 길버트에 자신을 비유하기도 하고, 믿고 의지하던 유일한 친구 나리가 새로 사귄 남자 친구에 빠져들자 절망하고 못마땅해하면서도, 데미안의 싱클레어가 신성(神性)과 마성(魔性)의 결합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듯이, 그런 행로의 차원으로 이해하자고 생각한다.

청소년들이 겪어가는 길 중에는 가시덤불길도 있을 것이며, 아름다운 꽃길도 있으리라. 혼자 가고 싶지만 의지와 상관없이 혼자 걸어가야 하는 순간도 있으리라. 그 길에 책을 동무삼아, 스승삼아 걸을 수 있는 것은 얼마나 다행인가. 아니, 아니다. 그것이 왜 비단 청소년에게만 해당되랴.  <길 위의 책>이라는 제목이 가슴 속에 박혀온다.

바로 전에 읽은 책에서도 느꼈듯이, 청소년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소설들, 이른바 성장 소설들에서는 이야기의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막론하고 푸릇하고 순수함이 전해져와서 좋다.  현재의 암울함이 있다하더라도 그것이 암울함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언젠가는 극복되고 반전될 것 같은 희망과 가능성을 여전히 던지고 있어서 좋다.

 이 책 때문에 또 한동안 성장소설들을 사냥하고 다닐 것 같은 예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6-01 06: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07-06-01 0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읽고 쓰신 리뷰 읽어보았지요 ^ ^ 그리고 좋은 친구 같은 느낌, 저도 들었답니다. 일찍 일어나셨네요? 저는 지금 떡 찌고 있어요~ 오늘도 아가랑 좋은 하루 되세요.
 
로그인하시겠습니까? - 국어시간에 쓴 중학생 소설 모음 아침이슬 청소년 4
이상대 엮음 / 아침이슬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장 소설을 읽는 이유는 두가지이다. 나의 그 시절을 되돌아보고 지금의 나를 다시 볼수 있기 위해서이던가, 아니면 요즘 청소년들의 트렌드가 궁금해서이다. 기성 작가가 아닌 요즘을 사는 청소년들에 의해 직접 쓰여진 이 책의 경우엔 후자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겠다.
신월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이 국어 시간에 쓴 소설 열 편을 국어선생님이신 이 상대님이 골라서 엮으셨다..

친구 사귀기는 확실한 내 편 마련하기 라는 차원에서 청소년들에게 시험이나 성적 만큼이나 절실하고 해결해야할 문제임을 보여준 '전학의 달인', 아빠, 엄마와 한집에서 함께 사는 평범한 한 가정의 그림으로 그려지는 그 속에서 살지 못하는 주인공의 그리움에 그려져있는 '아직 늦지 않았어'. 형제, 자매 없고, 엄마도 직장에 다녀 빈집에 혼자 있는 시간을 매일 대해야 하는 요즘 아이들. 소통의 상대가 그리워 보이지 않는 대상에 빠져 들기 쉬운 상황 속에서 게임에 몰입하게 되는 주인공의 심리와, 그것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계기를 마련해주고자 하는 친구의 배려가 따뜻한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제목 선정이 참신하다. '따뜻한 손' 에서는 집 또는 가정이 갖는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한다. 집은, 밖에서의 모든 고달픔과 추위를 보듬어 안을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 엄마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또한, 시험이나 성적이 부모와 청소년들 사이를 이토록 삭막하게 갈라 놓고 있는 이 현실이 안타까웠다. 사랑스런 에피소드 '안도영 서울 오다', 영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나 말죽거리 잔혹사는 단지 영화로만 가능한 얘기가 아니라, 남학생들 사회에서 언제 불길로 치솟아 오를지 모르는 불씨로 항상 존재하고 있음을 알게해주는 '반성문'. 계급, 서열, 순종, 또는 억압, 이런 것들을 몸으로 부딪혀 배우는 시기, 사회를 배우는 시기로서의 청소년기는 또 얼마나 불안하기 그지 없느냐. 그러기에 저자 중의 한 사람이 후기에 한 말이 인상적으로 읽혀진다, '신기하지 않나요? 이런 갈등에서도 잘 적응하며 살아가는 우리들을 보면.' 이라는.
'어떤 하루' 에 담겨진 그 하루가 매일 똑같은 하루로 계속되는 것이 아니길 바라는 마음, 그리고 전형적인 여학생들 사이의 친구 관계를 그린 '가끔 남자들이 부러울 때가 있다''이은결, 너 조심해' 에서 볼 수 있는 남녀 차이에 대해 인식해가는 과정도 역시 청소년기에 이전과 다르게 다가오는 문제들, 경험들 중의 하나이다.

아이도 아니면서 어른도 아닌 이들의 언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푸릇푸릇함이 느껴진다.아직 때묻지 않은 순수함이 읽혀진다. 하지만 그들은 알까. 그들이 겪어가고 있는 그 모든 갈등과 혼돈속에 또한 무한한 가능성도 함께 담겨 있음을. 쓰면서 참 즐거웠습니다...라고 후기에 썼듯이, 지내면서 그래도 츨거웠습니다 라고 그 시기를 나중에 돌아볼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홍수맘 2007-05-31 1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워낙에 성장소설을 좋아하는지라 이 책도 읽어봐야 겠어요. 아마 저도 이 책은 님처럼 "요즘 청소년들의 트렌드가 궁금해서"가 더 큰 듯 합니다만 ^ ^.

hnine 2007-05-31 14: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훙수맘님,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라면 꼭 읽어봐야할 것 같아요.
 

하루해가 뉘엿 뉘엿 지고 있는 가운데,

책 한 권을 읽기를 마치고,

저녁 반찬을 딱 한가지만 새로 만들어 놓고,

그러다가 내 눈에 띈, 예전에 사다놓은 한천을 가지고 커피 양갱을 만들었다. 앙금이 들어가지 않은 것도 양갱이라고 부르는지는 모르겠으나.
듬성듬성 잣을 넣어 굳혔다.
만들어 놓고 보면 나의 꼼꼼하지 않은, 급한 성격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칼로 자른 양갱의 크기가 다 틀리네... ^ ^

있다가 자기 전에 내 아이 데리고 여행가 계신 친정 엄마께 편지를 써야지. 개구장이 데리고 지금 얼마나 고생이 심하실까...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홍수맘 2007-05-30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떻게 만들어요?
살짝 요리법도 가르쳐 주시지.........

hnine 2007-05-30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홍수맘님, 레서피도 없이 제 멋대로 만들었어요. 한천을 끓는 물에 녹이다가 커피 가루 섞고, 설탕 섞은후에 틀에 부어 식혔지요. 맛을 보니 좀 덜 달아요. 설탕이 더 들어갔어야 할 것 같아요.
섬사이님, 한천이요, 마트에서 팔아요. 인터넷으로 구입도 가능한 걸로 알고 있어요. 아이랑 만들기 해보면 정말 좋겠네요. 한천이 물에 녹아가는 것, 다시 굳는 과정을 볼수 있으니 재미있어하겠어요.

마노아 2007-05-31 0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왓, 신기해요. 색감이 엄청 예뻐요!!

미설 2007-05-31 0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커피양갱이라니 참 신선한 조합이네요. 전 보통 양갱은 너무 달아서 못 먹겠던데 덜 달게 만드셨다니 넘 맛있을 것 같아요.

하늘바람 2007-05-31 07: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엄어머 너무 먹고 싶어요 어케 만드는 거여요? 넘 궁금해요. 앗 맛보고 파라.

fallin 2007-05-31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기하당~~ 먹어보고 싶어요^^ 묵인 줄 알았는데..커피양갱이라니, 신선한 걸요^^

hnine 2007-05-31 14: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노아님, 반투명한 커피 색깔이지요. 무슨 재료를 섞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색깔의 젤리가 만들어지겠지요?
미설님, 그런데요 설탕이 생각보다 많이 들어가야곘더라구요. 많이 넣는다고 넣었는데도 맛이 영 밍밍했었요.
하늘바람님, 만드는게 먹는 것보다 더 재미있는 먹거리랍니다.
fallin님, 한천으로 만들었으니 일종의 묵이라고 해도 맞겠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