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글샘님의 "이오덕 선생님의 가르침..."

이오덕 선생님의 책은 아동문학을 공부하면서 알게 됐는데요. 우리 글을 무척이나 사랑하고 아끼셨던 분이란 생각이 들어요. 아이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치실때도 그 점을 무척이나 강조하셨고... 좀 더 우리곁에 계셨으면....얼마나 좋았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름 없는 너에게
벌리 도허티 지음, 장영희 옮김 / 창비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주...저녁을 먹은 후 커피 한 잔 들고 컴퓨터 앞에 앉은 신랑에게 물었다.
 
"자긴 @@이가 이담에 커서 연예인 될거라고 하면 어쩔거야?"
"갑자기 그게 무슨 소리고?"
"무슨 소리긴 @@이가 나~~~중에 곧 죽어도 연예인이 되겠다고 하면 어떻게 할거냐고오~~!!"
"...."
"자긴, 그런 생각 안 해봤어? 한번도??...."
"야!! 그런 생각 해봐야 뻔하지. 니나 내를 봐라. 쟤가 연예인 할 애냐? 성격이??"
"....하긴, 그런가? 엄마 아빠가 모두 말주변 없는데다 카메라는 질색을 하니....음..."
 
울신랑말이 맞을지도 모른다.
부모가 모두 사람 앞에 나서는 걸 싫어하니 그 유전자를 이어받은 아이는 뻔한 거 아닌가?
하지만 혹시...또 알아???
알고보니 잠재성 돌연변이 유전자를 갖고 태어나는 바람에 어느 순간 부모의 기대를 와르르 무너뜨릴지...
 
그래선가??? 나나 신랑은 아이에게 "넌 나중에 뭐가 되고 싶어?" "우리 아들 이담에 의사가 되야지..."하는 식의 기대반 강요반의 얘길 하질 않는다. 
그저 아이가 어른이 되서도, 아니 늙어서까지 평생을 하고도 즐거울 수 있는 뭔가를 찾았으면...한다. 그게 자신의 직업이 되든...취미생활이 되든지간에.
 
하지만 우리의 이런 태도가 과연 올바른건지...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지난 5월 유치원에서 생일잔치를 하면서 그 달에 생일을 맞은 아이에게 '나중에 뭐가 되고 싶은지' 발표를 하라고 했단다.
그런데 너무나도 이쁜 우리 아들은 "나중에 뭐가 될지 모르겠어요. 생각을 아직 많이 안 해봐서..."라고 했다는 거다.
 
띵~~~!!!  순간 머리 속에서 종이 울렸다.   
우리 부부의 우유부단함이 아이에게까지 전염이 된건가?
이거 야단났네, 이 일을 어쩌나... 지금이라도 그럴싸한 장래희망 하나쯤 아이 머리속에 심어줘야 하는 건가? 이 놈 초등학교 들어가서도 이러면 곤란한데...어떡하나...
 
난 지금까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에 지난 봄과 여름..내내 고민을 했었다.
사실 나의 주된 관심사는 아이가 나중에 커서 뭐가 될지....가 아니었다.
내가 자라던 시절과 모든 면에서 판이하게 달라진 요즘이기에
어떻게하면 아무탈없이, 문제 일으키지 않고 순탄하게 크려나...하는 거였다.
 
그래서 책을 읽을 때도 사춘기를 겪는 아이들을 엿볼 수 있는 것들로 골라서 보곤 했다.
여자로 자란 나로선 죽었다 깨나도 모르는 땀내나는 머슴애들의 세계...를 미리 예방주사를 맞는 기분으로 읽었다.
그렇지만 이 책은 정말 읽고 싶지 않았다. 아니, 꼭 읽어야 했다.
10년쯤 지나서 아이가 덜컥 "엄마, 내 여자친구가 글쎄 내 아이를 가졌대. 어쩌지?"
이렇게 나오면 어쩔 것인가....미리 대책을 세워야했다.
 
<이름없는 너에게>  이 책은 십대들의 임신에 대한 얘기다.
영국의 고등학교 졸업반인 크리스와 헬렌은 서로 사랑하는 사이다.
하지만 단 한 번의 실수로 헬렌이 임신을 하게 되면서 사랑하던 둘의 사이가 이그러지기 시작한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숨겨져왔던 두 집안 내의 문제가 드러나면서 가족간의 갈등이 한층 고조된다.
 
헬렌은 임신으로 인해 자신의 인생과 ˜?경로가 송두리째 흔들리게 되자 
낙태를 시도하지만 결국 실패하고 만다. 
그에 비해 크리스는 사랑하던 헬렌이 왜 갑자기 자신에게 점점 마음의 문을 닫으려는지에만 매달린다.  정작 중요한 뱃 속의 아기에 대한 고민은 뒤로 한 채...
 
결국 헬렌은 크리스에게 이별을 고하고 아이를 낳아 혼자 기를 결심을 한다.
그리고 크리스는 아이가 태어나면서 그제서야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그날 병원에서 너를 처음 봤을 때,...난 너에 대해서는 단 한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너는 정말 내게 '이름 없는 존재'였던 것이다....(중략)....헬렌이 옳다. 나는 아직 너나, 헬렌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 나 자신을 위한 준비조차도..(286~287)
 
이런 이야기들이 크리스의 회상 속에서 펼쳐진다. 
그리고 그 가운데 '이름없는 너에게'로 시작되는 헬렌의 편지가 부분적으로 서로 맞물리면서 진행된다. 
그래서 책을 읽는 사람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두 사람의 생각을 고스란히 들여다볼 수 있는 셈이다.
아마 십대의 임신...을 소재로 소설이 씌여진다면 대부분 아기의 엄마인 여자를 주된 화자로 내세웠을텐데...그야말로 문학성이 높은 작품이다.
 
사춘기를 맞은 아이가 있다면 시험공부를 접어두고서라도 꼭 읽어보라고 두 손에 쥐어주고 싶다.
그러면서 이걸 강조하겠지...
"있지...이건 어디까지나 영국의 얘기거든...영국은 미혼모에 대한 정책이 잘 되어 있어서 이런 얘기가 가능한거야. 그러니까....."
그럼 아이들은 인상을 한껏 찌푸리겠지. 또 잔소리...하면서...
하지만 어떡하냐...그만큼 중요한건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석란1 2006-09-30 0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감! 우리 딸이 읽고는 큰 감동이 없답니다. 아직어려서 마음에 와닿지 않는 모양입니다.
 
 전출처 : 이매지 > [퍼온글] [이벤트] 알라딘 서재 가을 이벤트 "책 + 책"

[마이페이퍼 쓰고 참여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이매지님의 "2차 방출 목록 (주로 어린이책)"

진작 알았으면 좋았을걸....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소영이는 엄마가 되고, 엄마는 소영이가 된다.

       "소영아, 밥 먹자~"

      "소영아, 엄마가 사과 깎아줄게"

                            "소영아, 엄마가 책 읽어줄게"

 신나게 엄마 노릇(?)을 하다가 갑자기 응가가 마려....,

볼일을 보고 나서,

 "소영아, 엄마 똥 다 쌌다. 좀 닦아줘라."

"엄마가 하세요. ^^"

"엄마는 아직 안 배웠다."

 이 책에서 인상 깊었던 대목...이라기엔 너무 상투적이고

그냥 이 부분에서 웃음이 절로 나왔다고 하는 게 맞는 표현인 것 같다.

 아이가 첫 생일을 맞을 무렵부터 그림책이랑 동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해서

<동화 읽는 어른>활동이나 <어린이 독서지도사> 공부를 했었다.

 그러면서 느낀 것은 아이의 마음을 가늠하기가 정말 어렵다...는 거,

내게도 분명히 어린 시절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림책을 보고 크는 아이들>이란 책에 이런 대목이 있었다.

 사람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늙어가는 과정을 두 가지 유형으로 비유한 말이 있다.

하나는 옷갈아입기형이다. 영아기 옷을 벗어던지고 유아기 옷을 입고, 유아기 옷을 벗고 아동기 옷을 입고,

청년기.장년기도 먼저 입던 옷은 벗어버린다. 그런 사람의 종착역은 늙은 옷밖에 남지 않는 늙은이일 뿐이다.

 다른 하나는 나이테형이다. 지난 세월을 속에 간직한 채 자라는 나무처럼 변해간다.

나이테의 한가운데에는 언제나 어린이가 있다.

그러기에 나이테처럼 늙는 사람은 영원히 살아있는 어린이를 보듬고 살아간다.

 그러고보면 난 아마 옷갈아입기형이었던 모양이다.

하지만 철부지 아이를 기르면서 울아들한테 배운다.

지금이라도 나이테형을 좀 닮아볼까....싶어서.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낮도깨비 2006-09-22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나이테형을 닮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