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보트
에쿠니 가오리 지음, 이정환 옮김 / 자유문학사 / 200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아팠던 기억...생각해 보면 너무 많은데 그 상처들의 위치는 금새 잊어버린다. 아픔은 그저 기억할 뿐이다.

에쿠니 가오리의 매력....내가 느낀 매력은 상실의 아픔을 그려내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사랑이란 것이 하고 있는 사람보다는 끝나고 난 사람들이 훨씬 많은 것들을 사랑에 대해 생각해 내듯이..

하느님의 보트를 탄 것처럼 한 곳에 멈추어 설 수 없는 그 마음이 와 닿았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서 제일 견디기 어려운 것이 자신이 있는 그 곳에 아무렇지 않은 듯이 살아가야 하는 자신의 모습이기에...드라마에서 처럼 유학을 가거나 전근을 갈 수 도 없으니까 말이다.

소설속의 엄마가 진작 두려워 한것은 그것이 아니였을까?...헤어진 그 도시에서 기다려고 오지 않으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그 두려움 때문에 애써 피해다니며 적당한 운과 시간의 흐름에 자신을 맡기며 그것에 만족해 보려고 했던 그 마음..소설의 마지막에 그 사람을 만나는 설정은 해피앤딩의 식상한 이야기처럼 만들어 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사랑을 잃어본 사람들의 소망을 그려낸 것은 아닐까..

사랑하는 이를 다시 만나는 아름다운 환상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그래서 글을 읽는 사람이 더 슬프도록..내가 잃은 사랑의 크기를 다시 한 번 비교해 보는데서 오는 아픔...

엄마에게 딸이란 존재는 그것일것이다. 매일 딸을 보며 사랑의 아픔을 상기시켜야 하는 엄마..그것이 도리어 깊은 사랑을 하게 하는...그러나 그런 여리고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 아픈 엄마를 보며 너무나 일찍 철이 들어버리는 딸...엄마에게 딸은 아픔이고 사랑의 결과이고 사랑의 실패를 알려주는 의미였을 것이다. 딸이 자신에게서 독립하고 누군가에게 자신의 인생을 건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도박인지를 온 마음으로 느꼈을때 그 힘이 엄마를 집으로 돌아오게 하지는 않는 것인지...

나는 생각한다. 정말 두려운 것은 사랑을 잃는 것도, 아픈것도 아니다. 다시 사랑하지 않아도 된다고 믿는 마음이다. 그 마음을 버리면 또 다른 사랑이 시작된다는 것...그래도 엄마는 그 사람을 다시 만난 것일테고...딸은 엄마의 곁을 떠나 엄마를 더 많이 사랑하게 되는 것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을 주세요
쓰지 히토나리 지음, 양윤옥 옮김 / 북하우스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을 주세요....

주인공 리리카는 육아원에서 살며 자살을 꿈꾸던 소녀였다.

어느 날 그녀에게 온 편지 한통...

영혼의 친구, 키다리 아저씨처럼 그렇게 시작하자는 한 사람 모토지로...

그 둘의 편지를 읽어 가며 뻔한 스토리와 리리카의 절망에 끝을 미리 알고 있는 냥 읽었다.

그러나 편지들이 계속되는 동안 두 사람의 끈끈한 사랑에 부러웠고...

결국....모든 것을 밝혀진 순간...뻔한 스토리라 우긴 그 크기만큼의 아픔이 마음을 스쳤다.

죽음을 앞둔 오빠가 죽으려는 동생에게 해줄 수 있는 일...

죽음을 빠져나오게 하기 위해 온힘을 다해 사랑을 보여주는 것뿐..

리리카가 죽음에서 벗어나 편안해 졌을 때 오빠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시 시작된 오빠의 새어머니와의 편지...아들을 잃은 어머니에게 리리카는 사랑을 보낸다.

어쩌면 사람들 사이엔 유통기한 있는 사랑이 있는가 보다.

사랑을 받으면 받은 사람에게 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게 되는...

죽음을 앞둔 그러나 자신이 친오빠임을 밝힐 수 없는 오빠의 마음으로 한번 쯤 다시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울 준비는 되어 있다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을 때까지 하면서도 결코 그 완전한 실체를 알 수 없는 명제...'사랑'

에쿠니 가오리는 말한다.

사랑을 하는데는 '울 준비가 필요하다'라고 말이다.

이 소설속의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사랑을 한다.

그리고 그 사랑을 잃어버린 후에도 그 상처의 크기와 깊이에 어쩔 줄 몰라한다.

밥을 먹고, 아무렇지 않게 살아가도 그 마음의 주체할 수 없음은 다른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자신

에게는 견딜 수 없는 무게감으로 자리 잡는다.  

사실...영원히 이어지는 아름다운 사랑이 그려지지 않기에 또 얼마간은 절망하기도 했다. 나는..

나는 사랑을 잃어봤어도 사랑이 영원하리라고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울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해서 사랑을 하는 데에 용감해 지는 것은 아니니라.

사랑의 편린들....12편의 이야기들은 말한다.

사랑은 고정될 수 없는 것이며 잔인한 것이라고 그렇기에 사랑을 믿으면 안된다고 말이다.

나도 그렇다는 것을 안다.

온 마음으로 겪어 봤기 때문에 말이다.

하지만 나는 여전히 마음의 준비를 해도 울 준비를 해도 울지 않을 수는 없다.

아무리 마음의 준비를 해도 아픔은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소설속의 셀 수 없는 주인공들이 이젠 자신의 아픔에 익숙해 지길 바래본다.

그 속에는 나까지 포함되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디의 천국
미치 앨봄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에디는 천국에서 5명의 사람을 만난다.

그가 선택한 천국은 자신의 삶을 묶어 놓았다 믿었던 놀이공원.

5명의 사람을 만나고서 자신이 살아왔던 삶을 이해하고, 받아들였고, 그래서 그곳을 선택했다.

나는 생각했다.

어쩌면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 하고 있는 일, 만나고 있는 사람들이 소중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 했다고 말이다.

나도 모르게 달라지는 일들, 마음들..그것을 정확하게 잘 받아들이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가르쳐 주었다.   

나는 과연 어떤 사람을 만날까..

나는 결국 어떤 나의 모습을 천국으로 인정하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상의 책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나도 죽고 싶을만큼 절망해 본적이 있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절망하면서도 그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 아예 죽음처럼 살아가는 사람들, 더 잘 살기 위해 죽기를 결심해 본 사람들.그들에게는 그런 모습들이 있었다.

비행기 사고로 두 아들과 아내를 잃은 한 남자가 우연히 본 무영영화에서 한 사람을 보고 웃는다. 그 사실이 그 남자는 자신이 살아있음을 알게 해주었다. 그남자의 삶은 죽음이였다. 실종된 그 영화 배우의 영화들 찾아 보면서 책을 쓰고, 그러면서 그가 아직 살아있으며 영화들을 만들었다는사실을 알게 되고 그를 만난 순간 그 영화배우는 죽는다. 그리고 그의 영화와 모든 것들은 부인에 의해 불태워진다. 그 사이에 만난 여자. 영화배우의 전기를 쓰고 있던 여자. 그 모든 일을 겪고 그는 살아갈 힘을 얻는다.

어쩌면 남자는 자신이 살아있어도 죽어 있는 것 같던 그 모습에서 깨어날 무엇인가를 기다렸는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 남자의 삶의 모습을 보면서 너무 가슴아팠고 그가 어서 힘을 내고 일어나기를 바랬기 때문이다. 그 남자에게 살아갈 힘을 준 그녀가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그 순간..그리고 그 후 오랫동안 그는 살았다. 아주 짧은 사랑이지만 그것이 그를 살게 했다.

죽을만큼 힘들어본 사람은 죽을 힘이 있다면 그 힘으로 살아라 하는 말에 화가 날 수도 있다. 내가 그랬으니까. 그러나 나는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왜 나는 살아갈 힘이 없었던 것처럼 죽을 힘도 없었기 때문이다. 어느것이 좋은지는 판단할 수 없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선택은 자신에게 있다는 것이다. 한 사람이 죽은 사건을 자살로 끝내는 그 여자와 그것을 삼키며 살아가는 남자. 그몫은 자신들에게 있는 것이리라.

그녀가 썼던 책들..그리고 그가 쓴 책. 번역했던 책..어쩌면 그 책들은 모두 환상이다. 그러나 너무 진짜 같아서 그가 어쩌면 그 영화배우를 만났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사실 소설의 대부분은 그 영화배우의 삶이다. 그 영화배우의 한 면이 그 남자이고 그 여자이고 나의 모습이다. 한순간의 사소한 일이 큰일이되고 큰일이 너무나 사소한 일들이 되어가는 그런 것들...

나는 이 책을 덮으며 생각했다.

정말 고통스러운 것은 말로 할 수 없다고...

온힘을 다해 달려가면 눈앞에서 사라지는 신기루처럼 이 책은 묘한 아림을 잡힐듯 남겨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