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는 잘못 날아왔다 ㅣ 창비시선 288
김성규 지음 / 창비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노래 한 곡에 꽂혀 앨범을 사듯, 시집을 살 때도 어딘가의 누군가가 웹에 올린 시 한 편을 보고 시집 한 권을 사곤 한다. 다만 책을 사고 나서 읽기까지 긴 시간이 걸리는 (대부분의) 경우, 내 마음에 들어왔던 시가 어떤 작품이었는지는 애저녁에 잊히고, 샀던 이유와 상관없이 새롭게 시집 전체를 읽게 된다. 김성규의 시집도 그랬다. 황현산이 해설을 썼다는 점도 살 결정을 하는 데 일조했으리라 추측해본다.
이렇게 산 이유를 잊은 시집은 목차를 훑고 표제작을 먼저 읽기도 한다. 하지만 시 제목이 책 제목으로 쓰이지 않는 일도 잦다. [너는 잘못 날아왔다] 역시 동명의 작품은 목차에 없다. 이 문장은 {불길한 새}(32~33쪽)의 마지막 연이다. 이 시는 ‘눈이 내리고 나는 부두에 서 있었다’로 시작한다. 마지막 연 앞 연은 ‘해송 몇그루가 무너지는 하늘 쪽으로 팔다리를 허우적였다 / 그때마다 놀란 새의 울음소리가 바람에 실려왔다’이다. ‘너’는 저편에서 이쪽 부두를 향해 지친 날개로 바다를 건너오는 ‘검은 새’를 가리킨다. 새 뒤로 혹은 위로 ‘하늘 한 귀퉁이가’ 무너지고 있다. 시인은 왜 이 새가 잘못 날아왔다고 말했을까? 하늘은 왜 무너질까. 이 표현은 익숙한 비유인가, 아닌가. 새가 바다를 건넌다는 행위도 혹시 무엇인가 익히 알려진 상징은 아닌가. 의문이 이어지고, 시집 전체를 관통하는 ‘불행’의 시각화로 읽을 수도 있지만, 함의를 규명하기 이전에 심상만으로 강렬한 시다.
접어둔 시로 먼저 {빛나는 땅 2}(78~79쪽)가 있다. 화자는 ‘북을 치는 광대들과 두건을 두른 사내들’을 좇아 ‘통곡이 그치지 않’는 마을에 이른다. ‘아이들의 시체가 뒤엉켜 강물에 버려’지고 ‘사람들의 앓는 소리가 우물에서 메아리’치는 마을이다. 화자는 ‘몇알의 약을 입 안에 털어넣고 새벽녘 마을을 빠져’나온 후에야, 자신이 있던 곳이 ‘빛나는 땅’임을 알게 된다. 마을은, 복마전이나 디스토피아로 읽기엔 묘사가 모호하지만(이 역시 내가 놓치는 상징성 때문일 수도 있다) ‘빛나는 땅’이라는 희망찬 지명과 대비를 이루는 것만은 분명하다. 다른 몇몇 수록작에서 힌트를 찾아 연결한다면, 마을은 ‘억압적 권력’(이 어구는 황현산의 해설에서 가져왔다)이 현현한 물리적 공간으로 읽을 수 있다. 묘사가 모호하다고 쓰긴 했지만 사실 마을을 서술하는 2연의 분량이 제일 길고, 여기에서 오는 대비가 읽을 당시에 내 마음에 조금은 자국을 남겼던 듯싶다.
접어둔 다른 시는 {꽃밭에는 꽃들이}(100~101쪽)다. 친근한 제목에 이어 ‘누나의 집은 늘 맥주병을 둘러 꽃밭을 만들고 채송화, 맨드라미며 알 수 없는 이름의 꽃이 피곤 했다’ 같은 문장이 나온다. 아마도 한동안 찾지 않았을 이 누나의 집을 다시 찾은 화자는, 매형에게 위로를 듣고 마루에서 담배를 피운다. 이 목가 속에서 왜? 불안은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조카니 과자니 하는 단어들 뒤에 아예 숨어 있다. 이 작품은 황현산이 간략하면서도 충분하게 해설해놓았다.
끝으로 {독산동 반지하동굴 유적지}(22~23쪽)가 있다. 김성규의 등단작(2004년)인 이 시는 직접적으로 쓰여 굳이 부연할 게 없다. 독산동을 신림동이나 봉천동으로 바꾸고 세 가족을 한 가족으로 쓴다면 좀 더 요즘 시대에 맞는 이야기가 될 법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