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모 문학과지성 시인선 444
이준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이과 출신이라 그런지 시 같은 운문의 형식적 특성에 관심이 많다. 구사하는 어휘 자체가 범상치 않은 이제니라든가, 낯선 이미지를 랜덤해 보이게 나열하는 가운데 기묘한 정서의 층위를 쌓아나가는 작가들(시인은 아니지만 이 모범 사례는 정영문이다)을 좋아하는 것도 그런 이유일 터다.

짧은 글은 응축성이 생명이므로 복잡한 문장구조가 들어설 곳이 없다. 여기에서 ‘컴퓨터가 랜덤한 어휘를 조합하여 생성한 시’라는 가능성을 고려하게 된다. 실은 정말 옛날부터 있던 시도이고, 최근에는 머신 러닝이나 딥 러닝의 부상으로 더욱 현실적인 얘기가 되었다.

이준규의 시를 읽으며 이러한 ‘조합 가능성’의 예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이 시집에서 대부분의 작품은 문장구조가 지극히 단순하고 반복적이다. 이따금 등장하는 대구(對句) 역시 확률을 도입해서 프로그래밍 가능해 보인다. {황조롱이}가 한 예다. 수식어나 목적어를 뺀 이 시의 전문은 이렇다. ‘여자가 갔다. 그는 쫓아갔다. 그가 말했고 그녀가 말했다. 페페가 있었고 사사가 있었다. 경대가 있었고 분무기가 있었다. 나는 씻었다. 황조롱이도 있었다.’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도 하나 있는데 뺐다.) 여기서 사용된 명사는 여자, 그, 페페, 사사, 경대, 분무기, 황조롱이가 전부다. 동사는 모두 과거형으로 갔다, 말했다, 있었다(이수명이 지적하듯 이 시집에는 ‘있었다’가 정말 많이 나온다), 씻었다가 끝. 요컨대 얘네들을 적당히 조합하고 특정한 정서로 유도해나감으로써 시를 쓸 수 있어 보인다는 말이다.

{멍}도 비슷하다. ‘커피가 있었다. 비극은 없었다. 보이는 건 등대였나. 그런 것들이 아니었다. 너는 있었다. 상관이 없었다. 이미지는 없었고 그것이었다. 그뿐이었다. 커피는 있었다. 그러나 비극은 없었다. 흐렸다. 나는 기다린다.’ (이 작품에는 접속사도 하나 있는데 빼지 않았다.) 이 시의 경우 어미(語尾)의 문제가 대두되고, 다른 시들로 확대하면 이러한 예외적인 요소가 많아지긴 하나, 예외는 예외라는 이름의 규칙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규칙과 알고리즘으로 기본적인 뼈대를 생성하고 후처리 시 인간적인 감성과 불규칙성을 덧입히면 뭔가 이런 시를 쓸 수도 있을 것만 같다.

… 바보 같은 얘기다. 그런 프로그램을 짜고 수동으로 후처리를 가하는 노력을 기울일 바에야 대충 졸문을 쓴 다음 비인간적으로 보이게 가공해나가는 게 효율적인 작법일 터다. 하지만 또 창작이라는 게 효율을 추구하는 활동은 아니니까… 이렇게 쓰고 보니 정말 모순의 모순 같은 소리를 하고 있네.

형식에 관한 이야기만 한 것은, 개인적인 관심 때문이기도 하지만 딱히 그의 문장에서 정서적으로 강렬한 인상을 받지 못한 탓도 있다. 이건 문장구조나 시어의 문제는 아니다. 단순히 정서적 코드가 맞지 않아서일 수도 있고, 이 옅은 감정의 농도가 애초에 시인이 의도한 바일 수도 있다(시인 본인은 ‘슬픔만을 남기고 싶었다’라고 썼지만 말이다). 나는 미원 넣은 음식을 찬양하는 쪽이고, 이 시집에서는 미원 비슷한 맛을 느끼지 못했을 뿐이다. 사족이지만, 이준규 역시 2016년 말 문인들의 성추문 폭로에 연루되었다. 물론 그래서 까겠다는 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