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비안의 해적 : 블랙펄의 저주 (2disc) - [할인행사]
고어 버빈스키 감독, 조니 뎁 외 출연 / 브에나비스타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일단, 스포일러 와닝---




재미있는 영화다. 헐리웃의 공식이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짐에도 불구하고 짜증난다기보다는 재미있다. 돈을 퍼부었을듯한 CG를 이용한 액션씬들은 말할 것도 없겠지만, 배경이 되는 카리브 해의 정경도 멋지다. 정말로 극장에서 볼만한 '오락용' 영화다.

연기 면을 보면, 이 영화에서 조니 뎁을 뺀 나머지 배우들의 연기는 전부 형편없다. 그만큼 조니 뎁이 빛나서일지도 모르겠다. 조니 뎁의 캡틴 잭 스패로우 연기는 정말로 웃기다. 관객들이 웃는 90%는 조니 뎁 때문이었다. 옆에 포스터만 봐도, 이른바 히어로격의 윌 터너와 히로인격의 엘리자베스 스완을 합친 것보다 조연격인 잭 스패로우가 더 크게 나와있지 않은가-_-!!!

물론 내가 이 영화에 대해 특별히 리뷰까지 쓰고 있는 것은, 헐리웃 식으로 잘 만들었으니 극장가서 봐라 라고 하고 싶어서가 아니라(그것도 조금 있다만), 이 영화에서 주목할만한 무언가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스토리에 대한 이야기다. 바로 아즈텍의 황금을 차지한 해적들이 저주에 걸려 불로불사의 몸이 된다는 설정이다. 그런데 해적들은 불로불사가 되어 좋아하는게 아니라 오히려 그 저주를 풀고자 한다. 불로불사가 되면서부터 모든 종류의 쾌락(-_-!!!)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일단 영화 속의 대사를 통해 추리해보면 술, 음식, 섹스에 의한 쾌락이 사라졌다고 한다. 또한 달(보름달)빛 아래에선 저주받은 모습 즉 해골로 변하게 되며, 바르보사 선장이 해골로 된 상태에서 마신 술은 턱을 넘어가 뼈밖에 없는 몸 아래로 그대로 흘러내리는 장면이 등장한다.

슬프다.

불로 혹은 불사라는 소재는 사실 흔해져버린 소재이다. 드라큐라에서 시작된 흡혈귀, 죽을래야 죽을 수 없는-_-좀비, 최근 또 한번 영화화된(영화 자체는 별로였지만) 도리안 그레이, 만화로 넘어오면 [무한의 주인]과 인어 시리즈까지.


--사례별 분석--
1. 흡혈귀(불로불사)
말 그대로 흡혈에의 욕망에 지배당한다. 그리고 그것이 생존에 직결되는고로 그들의 욕망은 상당히 심각하며 때로는 고통스러운 것으로 이해되어야 마땅하다. 개중에는 그러한 운명을 절망하며 저주하는 경우도 있으니, 대표적으로 베르너 헤어조크 감독의 [노스페라투] 속의 노스페라투(=드라큐라)이다. 이 영화 속에서 노스페라투를 죽이는 방법은 단 한 가지로, 밤새도록 처녀의 피를 빨게 해서 아침 해를 보게 만드는 방법이다. 그리고 실제로 그렇게 노스페라투는 죽지만, 그것은 의도한 자살에 가까워보인다. 끝없는 삶이란 분명 인간 -최소한 정신적으로- 으로서는 견디기 힘든 일일 것이다-_ㅜ

2. 좀비(불사)
대부분은 살=고기에 대한 식욕에 완전히-_-! 지배당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마찬가지로 그 행위가 생존에 직결되나, 더티한 모습에서부터 정이 떨어지기에-_-대부분 인간에 의해 참살-_-당하는 역할로 그려진다. '정신'이라는 것 자체도 가지고 있지 못한 모습으로 그려지므로 동정받을 여지가 거의 없다, 이 경우는.

3. 도리안 그레이(불로 그리고 아마도 불사)
알다시피 오스카 와일드의 소설이 원작이다(리뷰 있음-_-). 초상화가 도리안 그레이 대신 나이를 먹고, 도리안이 추악한 일들을 저질러도 초상화가 추악해진다(cf. 사람 나이 40이 지나면 자기 얼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아마 상처도 대신 받는 것 같다, [젠틀멘 리그]에서 유추해보면. 따라서 도리안은 어떠한 악행을 저질러도 좋다는 뜻이 되며, 실제로 그는 주로 보이지 않는 악행들을 저지르며 살아간다. 단 하나 그가 죽을 수 있는 방법은 자신의 초상화를 자기 눈으로 보는 일이다. 그리고 그는 그 일을 가장 두려워한다. 원작에서는 200년도 못 살고 스스로 초상화를 보고 죽지만, 영화에서는 적어도 1000년 넘게 살다가 적-_-에 의해 초상화를 보고 죽는다. 전자라면 조금은 동정의 여지가 있지만 어쨌든 그다지 동정할만한 경우는 아니다.

4. [무한의 주인]의 만지(불사)
사무라이-_-? 만지는 어떤 노인(800살-_-)에 의해 몸에 혈선충이라는 벌레를 주입받게 되는데, 이 혈선충이라는 벌레들이 만지가 다치면 그것을 원래대로 복구해준다([총몽] 등에서의 나노 머신과 비슷하다). 머리만 아닌 팔이나 다리 같은 건 떨어져도 붙이기만 하면 오케이. 시간이 좀 걸리지만. 이 점을 빼고는 만지는 보통 인간과 다를게 없다. 팔, 다리가 떨어져도 붙이면 그만이긴 하지만 분명 그 순간만큼은 만지는 엄청나게 괴로워한다. 아직 완결이 안 나서인지 만지에겐 보통 인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생각은 없는듯 보인다. 그러나 누군가에게 머리를 베인다거나 늙어서 죽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어 보인다.

5. 다카하시 루미코의 인어 시리즈의 인물들(불로불사)
이들은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인어 고기를 먹고 불로불사의 몸이 된다. 그리고 주인공 둘은 불로불사를 벗어나 보통 인간이 되고 싶어한다. 사랑하는 사람이 늙어서 죽거나 자신을 기억하지 못하게 되거나 한다면 고통스러울 것 같기도 하다만(이것은 이태행의[타임 시커즈]에서도 마찬가지) 무엇보다 역시 영원한 삶에 지쳐버렸기 때문이랄까.


쓸데없이; 길게 써버렸다. 하고 싶은 말은, 캐리비안의 해적들은 기존의 어떤 불로불사의 존재들보다 훨씬더 고통스러우리라 짐작할 수 있다는 거다. 그래서 그들이 인간이 되고자 하는 욕망 역시 훨씬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인어 시리즈 주인공들이 그나마 가장 닮아있다고 할 수 있지만, 캐리비안의 해적들이 누가 봐도 훨씬 더 불쌍하다. 그래서인지 그들은 10년만에 인간으로 돌아가는데 성공하지만, 그들을 기다리고 있던건 그간의 해적질에 대한 처벌로서의 죽음뿐이었다.

그럼에도 영화에서는 이들의 고통과 비운이 제대로 묘사되지 않았다는게 나에게는 불만이었다. 아까도 말했듯 헐리웃의 공식을 너무나 잘 따른 나머지 이 영화에서는 조금이라도 심각해질만하면 금방금방 분위기가 전환되곤 한다. 정말로 오락 영화로서의 정체성에 충실한 작품이다. 그래서 나로선 불만-_ㅜ

(2003.9.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