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너벨 리 민음사 세계시인선 32
에드거 앨런 포 지음, 정규웅 옮김 / 민음사 / 197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민음사 세계시인선을 대여섯 권 샀는데 그중 가장 가슴에 와닿은게 바로 이 작품 <애너벨 리>였다. 일단 영어라서 부담이 덜했기 때문이다. 소설이 아닌 시의 경우 번역의 어려움이 크다는 것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그리고 소설 전집을 살 정도로 개인적으로 포를 좋아하기 때문에 이 시집이 더 깊이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책의 문을 여는 동명의 시 '애너벨 리'에서부터 나는 푹 빠져버렸다. 현학적이지도 않고 감상적이지도 않게 포는 담담하게 아름다움을 끌어내고 있다. 정두수 씨의 포크 음악 같은 느낌이랄까. 이 아름다움은 형식적으로는 각운(脚韻)의 사용에서 오며, 내적으로는 죽은 아내를 향한 애도에서 비롯된다. 책의 뒤에 실린 해설에 더 자세히 나오지만 이러한 내/외적 미의 조화는 포가 시에 있어서 추구한 궁극의 목적이다.

여기에 이른바 괴기소설가로 알려진 포의 독특한 정신세계와 환상문학적 요소가 결합되어 주된 시상을 이루며 시집 전반을 이끌어 간다. 그리고 압권이라 할 수 있는게 맨 마지막 시 '갈가마귀'다. 시집 전체의 1/4 내지 1/3을 차지하고 있는 이 長詩는 그 길이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흡인력으로 독자를 끌어들인다. '애너벨 리'에서 보이던 담담함은 '갈가마귀'에 와서는 절규와 절망으로 마침내 폭발한다. 음악으로 치면 고딕이나 둠 싸이키델릭에 가까운 분위기다. 음울하고, 몽환적인.

역시 해설에 나오는 말이지만, 포는 '갈가마귀'에서 각운으로 반복되는 Nevermore라는 한 단어를 주조하는데 매우 신중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포의 말 그대로, 이 시에서 과연 저 Nevermore라는 단어를 대체할 그 어떤 단어가 세상에 존재할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내/외적으로 불우한 삶을 영위하던 포였지만 그의 詩作은 치밀할 정도로 이성적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 그의 시는 차갑게 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뜨거운 아름다움을 띄게 되었다. 시의 자세한 내용 언급은 일부러 피했는데, 포에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일독을 권하고 싶다. 소설가로서의 포가 아니라 시인으로서의 포를 재조명할 소중한 기회이리라.(2003.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