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키의 신작이 나왔다는 소식에 아무 망설임없이 책을 샀고, 아무 어려움없이 두 권을 내리 읽어나갔다. 예상대로 번역은 좋은 편이었고, 하루키다운 상상력과 유머 역시 여전하게 다가왔다. 이제는 유행이 되어버린 음악적 장치를 끌어들이는 능력도 한 단계 성숙해져있는지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었다. 무엇보다 '해변의 카프카'라는 곡이 실존한다면 어떻게든 사서 들어보고 싶어질 정도였다. 사실 기타로도 괜찮다면 제프 버클리의 '할렐루야'가 실존하긴 하지만.
하지만, 언제부터였을까. 하루키 소설의 주인공들이 페니스에 집착하는 것에 조금씩 거부감이 들기 시작한 것은.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에서 극명히 드러났던 현실 대 상상의 이원적 구도는 <해변의 카프카>에서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꼬아지고 혹은 전복되기도 하지만 결국 접점을 찾는 데 성공한다. '현실은 메타포'라고 하루키는 자신있게 말한다. 그럼에도 하루키의 작품 속에서 남성과 여성은 굳건히 이원적 구도 속에서 자신들의 자리를 지키고 있을 뿐 서로의 메타포가 되지 못한다. 오시마를 성동일 장애 여성 게이로 만드는 데서 하루키는 무엇인가를 의도하고는 있지만, 사실 이 작품 속에서 오시마의 역할은 모호하기만 하다.
<해변의 카프카>는 성장 소설인 동시에, <태엽감는 새>에서 완결된 바 있는 신화와 하루키적 오컬티즘의 요소가 자연스럽게(현실의 대립항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결합되어 있는, 그리고 무엇보다 이원적 구도를 완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하루키 개인으로서도 진일보했다고 볼 수 있는 정말로 훌륭한 소설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이 작품은 '남자 소년'의 성장기인 것이다. 애초에 너무나도 분명하게 의도되어있는 이 시점의 문제와, 지금까지의 하루키 소설에서 발견되는 페니스에의 경도가 여전하다는 사실이 7년전 처음 하루키를 읽었을 때와는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거부감으로.
2003.9.18 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