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 하루키 최고 단편선 - TV 피플
무라카미하루키 지음, 김난주 옮김 / 삼문 / 2000년 6월
평점 :
절판


내가 아는 한 선배도 '상실의 시대와 TV피플을 읽으면 하루키 전부를 읽은 것이다'라는 말을 듣고, 둘을 다 읽었더랬다. 그러더니 하는 얘기는 아무 느낌 없댄다. 상실의 시대와 TV피플이 전부라니, 누가 퍼뜨린 유언비어인가?

단편집 <TV피플>은 하루키답지 않은 건조한 느낌으로 내게 다가왔다. 건조한 느낌의 원인은 무엇일까? 혹자의 말로 그것은 리얼리티였다. 하루키답지 않은 일상적 리얼리티가 나를 건조하게 만들었다. <댄스 댄스 댄스>니 <태엽감는 새> 등에서의 오컬티즘이 없었다. (여기서의 오컬티즘이란 <상실의 시대]>에서까지 발견된다고 말할 수 있는 광의의 단어다.) 물론 단지 그런 리얼리티로 끝나는 것은 아니었다. TV피플은 오컬티즘이니 댄디즘이니 그런 논의가 오고갈 여지도 없는, 환상적이니 실험적이니 하는 평을 듣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이 사실이었다. 책 표지에 적혀있는 '내면의 흐름을 환상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란 카피가 이 책의 가치를 과연 높여줄 수 있는 카피인지조차 의심이 간다. 이건 비약하면 리얼리티로 포장된 다다이즘 아닌가?

물론 환상적이긴 하지만, 흔히들 쓰는 심리분석학으로 분석하면 메이저적인 해석을 내릴 수도 있다. 특히 <TV피플>이나 <비행기>, <잠> 등이 그렇다. 현대인의 심리가 굉장히 특이한 방법으로 표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물론 그것은 한 개도 현실적이지 않은 현실을 아주 당연한 듯이 받아들이는 하루키적 캐릭터들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우리 시대의 포크로어>는 한 엘리트의 심리가 매우 잘 드러나지만 아예 환상적이라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그래서 더욱 건조하다.) <가노 크레타>는 오히려 특이하지 않은 방법으로, 즉 메이저적으로 쉽게 해석되어질 수 있는 여러 상징들을 사용해서 내면에 대한 교훈적인(?) 얘기를 하고 있다. <좀비>는 전체가 하나의 환상이라고 봐도 무리는 없다. 오히려 환상이라고 보는 쪽이 여성의 여러 가지 컴플렉스가 적나라하게 드러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이런 심리학적 해석을, 하루키는 마음에 전혀 두지 않고 썼을지도 모르고, 이런 해석을 내리는 것에 대해서 어쩌면 불쾌하게 생각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해석불가능. 그렇다면 참으로 무의미하게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낸 셈이 되겠지만.

산만하게 리뷰를 쓰고 있는데... 그건 책 자체의 영향이기도 하다. 대부분 단편들의 결말이 그렇듯이, TV피플에서의 결말들 역시 대개가 붕 떠버리는 식으로 발산되며 끝나버린다. 정말 당황스럽기까지 하다. 이 책을 읽고 난 선배가 아무 느낌을 받지 못한 건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하루키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이 책을 읽고 하루키를 좋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이 최고 단편선이라고 잘도 이름을 바꾸는 이 출판사가 얄밉게 느껴진다. <노르웨이의 숲>에 '상실'의 이미지를 갖다붙인 다른 출판사의 상술과 다를 게 없다.

전체적으로, 리얼리티와 환상의 혼재 속에서 부유하고 표류한 기분이다. 피곤해진다. 나라면 하루키의 다른 수많은 작품들을 추천해주겠다.

2001. 1. 3 f.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