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의 소설 메피스토(Mephisto) 17
카렌 두베 지음, 박민수 옮김 / 책세상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맘에 들어서 아무 것도 모르고 그냥 샀다. 그리곤 몇 달이 지나서야 읽게 되었는데, 정말 충격적이었다. 아는 선배는 이 소설이 <목화밭 엽기전>보다 더 심하다는 말을 할 정도였다. 하지만 잔혹한 묘사나 외설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는 것은 아니다. 그 이상이 들어 있다. 이런 센세이셔널한 요소와 어느 정도의 작품성도 갖추고 있는 소설이, 사람들이나 평론가들로부터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이상할 정도다.(비교적 생소한 유럽 작가의 소설이라는 점도 한 가지 이유가 될 것이다.)

소설은 주인공 레온이 늪지로 이사를 가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그런데 이 주인공이란 남자가 꽤나 속물적이다. 속물적이긴 하지만, 또한 매우 현실적으로 느껴진다. 작가 카렌 두베의 심리 묘사가 매우 치밀하게 정곡을 찌르고 있기 때문이다.(이른바 '사람들 사이에서 살아가는 일'은 나쁘게 말하면 속물근성에 지나지 않는다.) 아내 마티나는 처음에는 아무 문제도 없는 보통 여자로 보이지만, 곧 가정에 대한 컴플렉스(트라우마?)를 가지고 있음이 드러난다. 게다가 습관적으로(?) 몰래 음식을 마구 먹은 후에, 곧 토해버리는 데에서 일종의 쾌감을 느끼는 여자다. 그리고 이웃에 사는 자매 이사도라와 카이, 그리고 마을의 상인 케르벨 등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은 성격적으로 결함이 있는 인간들이다.

이러한 등장인물들과 더불어 늪지라는 배경 역시 음침함 그 자체다. 지금까지 늪지에 대해서 이 작품만큼 세세하게 묘사한 소설은 보지 못했다. 거기에 비가 내린다. 책 처음부터 끝까지 비는 계속 내린다. 그야말로 '비의 소설'이다. 이런 음습함 속에서 소설은 진행된다. 배경과 등장인물, 그리고 마침내는 스토리까지 후반부에서 결국 절정에 이른다. 이건... 읽어봐야만 안다. ^^;

음침하고, 끈적거리고, 엽기적인 소설이다. 역자의 말을 빌리면, 모든 인간적 가치를 비웃고 삶의 본질적 비속함을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단순히 요즘 유행하는 '엽기' 소설이 아니다. (만약 그랬다면 더 많이 알려졌을 것이다.) 물론 엽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충분히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 그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 작품을 읽게 됐으면 좋겠다.

2001. 4. 5 f.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