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의 열매를 매단 나무는 뿌리로 꿈을 꾼다
박상륭 지음 / 문학동네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상륭은 프루스트처럼 언제나 숙제처럼 남아 있는 이름이다. 불혹도 됐거니와(에헴) 최근 보르헤스를 다시 읽으며 왠지 이제는 박상륭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겨, 잘은 모르지만 단편집이 그래도 좀 만만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먼지를 털고 책을 꺼내 들었다. 예전에도 중단편집이라는 이유로 [평심]을 읽으려 들었다 포기했던 사실을 또 잊었던 것이다. 

결론. 나이가 들어도 변하지 않는 게 있다. 나는 평생 박상륭의 소설을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당장 어휘부터 모르는 게 너무 많다. 일단은… 명사에 한정하고, 그것도 일반명사에 국한해보자. 괄호 안은 내가 찾아서 넣은 거고 그냥 병기는 작가가 친절하게 표시해준 병기다. 고콜이불(표준어는 고콜불), 손말명이(손말명), 고샅, 인내(人내), 종내기, 요궐尿橛, 상내(네이버 국어사전 풀이를 보면 https://ko.dict.naver.com/small_detail.nhn?docid=20159700 표준국어대사전이 출처라고 하나 이상하게도 표준국어대사전을 검색해보면 등재되어 있지 않다), 여수(餘壽, 사실 확신이 없다). 여기까지가 첫 수록작 첫 페이지부터 다섯 페이지 사이에 나오는 일반명사 중 내가 생전 처음 들어 사전이나 구글을 뒤져야 했던 애들이다. 

작가의 만연체는 적응이 되면 그럭저럭 문맥으로 유추하며 따라갈 수는 있지만, 이렇게 일반명사부터 막혀버리니 흐름이 이어지지가 않는다. 거기에 굳이 일반명사라고 한정한 건, 더 큰 문제가 종교(주로 불교) 용어에 있기 때문이다. 일단 표기. 갈마가 카르마의 음역이라는 걸 처음 안 건 내가 무식한 거라고 치자(이런 건 Karma, Skt.라고 표시도 해주신다). 그런데 아승기는 또 아상키야asamkya라고 쓴다. 보리달마는 보디다르마도 아니라 보디달마(Bodhidharma)라고 쓴다. 툴파처럼 비교적 생소한 단어는 그냥 뚤파(역시 친절하게 Tulpa, Tbtn.)라고 쓴다. 찬도기야 우파니샤드는 나도 어떤 표기가 맞는지 표기 기준을 도통 알 수 없으나 이 책에서는 아예 『CHHANDOGYÃ UPANISHAD』라고 노출된다(135쪽). 일단 H가 두 개인 건 분명한 오류고, 『THE GNOSTIC SCRIPTURE』(105쪽)처럼 전체를 대문자로 쓴 예가 있긴 하나 『바르도 퇴돌』(54쪽)의 병기나 『The Red Fairy Book』(152쪽)처럼 제대로 쓴 예가 있는 걸 보면 그냥 편집자가 한 일이 없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음, 아니다, 이건 그냥 직업적인 '신경 쓰임' 정도로 치고 넘어가자. 

그래, 표기는 진짜 문제가 아니다. 보르헤스의 경우 이런 명사 하나하나의 함의를 몰라도 서사를 읽는 데에는 무리가 없는 편이다. 서사가 재미있기도 하거니와 아예 가짜 고유명사를 들기도 하고, 보통 대유나 알레고리를 위한 장치 정도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박상륭은 이런 개념을 다 안다고 가정하고 그것들을 토대로 논증을 만들어나간다. '세포분열'에 빗댄 '갈마분열'(79쪽) 같은 새로운 개념이라든가. 사실, 그의 사유를 집대성한 게 [칠조어론]이고 그 이후의 소설집들은 논증이 거기부터 출발한다고 하니, 내가 책을 잘못 고르기도 한 셈이다. 그렇다고 [칠조어론]에 도전하겠다는 소리는 아니고… 최소한 [티벳 사자의 서]라도 마스터하지 않는 한 그의 어떤 작품도 조금도 따라갈 수가 없을 것 같다. 

이렇게 두 번째로 박상륭을 포기한다. 예상 밖의 효과가 하나 있긴 했다. 박상륭을 읽은 직후에는 다른 어떤 글을 읽어도 너무나 쉽게 읽힌다. 이 기세를 몰아 정지돈을 읽었고 다음은, 흠, 키냐르가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