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시각은 오전 06:18 이고 일요일이다. 그런데 이 시간에 잠을 자지 않고 넷북을 켰다니. 하하하핫. 그러니까 나는 오늘 새벽 네시경 잠을 깼다. 왜 그시간에 깨는지 모르겠지만 어제 코피를 흘린 시간도 네시였다. 여튼, 일요일이니 더 자도 되는데 배가 고파서 잠이 안오는거다. 그래서 밥을 먹을까 어쩔까 계속 고민하다가 다섯시 넘어서 밥을 먹었다. 배가 부르니 이제 좀 노곤해진다. 그래도 내가 양심이 있지(응?) 먹자마자 바로 잘 수는 없는 노릇. 그래서 어제 보지 못한 경향신문을 펼쳤다. 지난주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너무 바빠서 목이 잠길 정도로 피곤에 쩔어 있었다. 일주일 내내 신문을 전혀 보지 못한 상황. 토요일자는 놓칠수가 없다. 당연히 북섹션을 보는데, 몇 권의 책이 흥미롭다. 우선 이 책.

 

 

 

 

 

 

 

 

 

 

 

 

 

 

 

 

 

이 책은 지난주에 신간을 조회해보다가 알게 되어서 구매해뒀다. 너무 읽어보고 싶은거다. 그래서 부랴부랴 이거 한 권만 주문해서 받았는데 막상 받고나서 책을 주루룩 훑어보니 읽기 싫어지는거다. 흐음. 당장 읽고 싶어 산거였는데 뭔가 읽기 싫게 생겨서 보류. 사무실 책상위에 내팽개쳐뒀는데, 어제 외출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핸드폰 메신저로 친구와 대화를 나누다가 친구도 이 책을 받아들고는 보류해뒀다고 했다. 읽기 싫게 생겼다며. 그러니까 표지는 참 예쁜데 뭔가 음 잘 안넘어가게 생겼다고 해야하나, 여튼 그런데 알라딘에 올라온 구매자평들도 하나같이 이 책이 별로라고 말하는거다. 에잇, 괜히 샀나, 싶다가도 또 내가 읽으면 좋을지도 몰라, 라고 생각하며 무기한 보류다, 라고 생각했는데, 경향신문에 리뷰가 올라온거다!! 오오, 좋다 좋아 하고 리뷰를 읽어보니 다시 읽고싶어진다!! 그런데 책이 사무실에 있어. -_-

 

경향신문의 리뷰중 마지막 단락이 아주 마음에 든다.

 

지구 혹은 한참 뒤 후속 세대의 안녕을 위해 현세대의 즐거움을 포기하자는 이야기에 얼마나 많은이들이 공감할 수 있을까. 인간이 지구에 도움이 되지 않는 존재임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인간으로 태어나서 죄송합니다"라고 말할 것까지는 없을 텐데.(출처:경향신문 백승찬 기자 리뷰  )

 

사두고 흥미가 떨어진 책이었는데 '동물을 고문하고 환경을 파괴하는 행위에 항거하기 위해 비건이 되기로 결심했을 때 키스는 16살이었다. 신음하는 지구에 연민을 느낀 키스는 채식주의자들의 고귀한 신념에 설득당'한 저자가 왜 채식의 배신이란 책을 쓰게 됐는지 궁금해서 다시 흥미가 생긴다. 이러다가 사무실가서 책 펼치고 다시 흥미를 잃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리고 궁금해서 메모해둔 책들은 아래와 같다.

 

 

 

 

 

 

 

 

 

 

 

 

 

 

 

 

 

김경주의 책을 그러고보니 한 번도 읽은적이 없다. 그렇다면 나는 이 책으로 김경주를 만나볼까. 여동생이 임신한지 6주가 되었고 이제 나에게는 두번째 조카가 생길참이다. '아버지가 되기까지 40주의 기간을 시심으로 기록한 에세이' 라니, 이 세상의 아버지들과 앞으로 아버지가 될 사람들이 한 번 봐두어도 좋을테지만 뱃속에 아이를 품은 여동생이 봐도 좋지 않을까. 그러나 검증되지 않은 책을 무턱대고 보낼 수는 없는 노릇. 일단 내가 먼저 읽어보고 여동생에게 권해야겠다.

 

접힌 부분 펼치기 ▼

 

시인 김경주. 결혼과는 사뭇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방랑자의 풍모를 자랑하는 그가 책 한 권을 썼다. 책을 쓰고 책을 내는 일이야 반복되는 그의 생계이니 뭐 별스럽다 하겠냐만, 이번 책은 쓰고 만들어 내미는 손에 절로 분홍빛을 번지게 하는 그런 재주를 가진 듯하다.

쓴 자는 부끄러움으로, 읽는 자는 경탄으로 받아들게 되는 책, 사내에서 아비가 되기까지 40주간의 순간순간을 시심으로 기록한 책. 시인 김경주의 <자고 있어, 곁이니까>는 호들갑스럽게 제 아이의 태어남을 낱낱이 고한 아버지의 출산일기 정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사람을 만든다는 당연한, 그럼에도 곱씹으면 놀랍기 그지없는 우주의 섭리에 근거하여 이 신비를, 이 두려움의 속내를 샅샅이 밝히는 책이다.

누군들 한 사람의 피와 살과 뼈로부터 빚어지지 않은 자 있을까.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아이를 낳는 일의 희망과 아이를 낳는 일의 절망을 함께 말한다. 읽는 내내 마음의 시소가 오르고 내림을 반복한다면 바로 그런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우리 모두 '심'으로는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시인 김경주의 <자고 있어, 곁이니까>말이다.

 

펼친 부분 접기 ▲

 

 

 

 

 

 

 

 

 

 

 

 

 

 

 

학원폭력을 소재로 다룬 소설이라고 한다. 왕따를 당하고 자살하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뉴스에 나올때마다 나는 왕따를 한 가해학생들을 생각해보게 된다. 그 아이들이 자신이 뭘 잘못했는지를 이제는 알려나, 라는 생각이 아니라, '나로 인해 누군가가 자살했다'는 죄책감을 갖고 평생 살아가야 할 아이들에 대한 생각. '내가 가해자였어' 라는 생각은 평생을 따라다닐 짐이 아닐까. 그 죄책감을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까. 피해자도 괴롭지만 가해자도 결국엔 괴로워진다는 걸 어떻게 말해줄 수 있을까. 이 책은 그런걸 잘 말해줄 수 있는 책일까? 기대해도 좋은걸까?

 

 

접힌 부분 펼치기 ▼

2010년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상 수상작. 시게마츠 기요시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서 왕따로 고통받다가 자살한 학생의 아버지가 인터뷰하는 것을 보고 <십자가>를 쓰게 되었다고 한다. 그것을 본 후 방 안에 스스로를 가두고 2주 만에 써내려간 것. 그 정도로 몰두할 수 있었을 만큼 그는 이 작품에 모든 것을 쏟아 부었다고 고백한다.

소설은 서른네 살 남자의 독백으로 시작된다. "중학교 시절 왕따로 자살한 친구 후지슌, 그 애가 남긴 유서, 그리고 거기에 쓰여 있던 네 명의 이름…. 그중 '나'는 그 애의 절친이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해할 수 없었다. 나는 그 애가 괴롭힘 당하는 것을 다른 아이들처럼 그냥 지켜보았을 뿐이었기에…."

친구를 죽게 만들었다는 죄책감, 아들의 자살이라는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후지슌의 엄마와 아빠, 그로 인해 엄마와 아빠를 잃어버린 후지슌의 동생 등 '우리'들의 20년간의 이야기를 담담하면서도 섬세하게 담아냈다.

 

펼친 부분 접기 ▲

 

 

 

 

 

 

 

 

 

 

 

 

 

 

 

 

 

 

이 책의 신간소식을 접하다가 문득 아, 사람들은 자기 자리에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슴이 뻑뻑해졌다. 트위터에서 내가 팔로우한 사람은 몇 되지 않는데 최규석은 내가 팔로우한 사람중 가장 재미있다. 그가 작성한 트윗을 볼때마다 웃게되는데, 트윗에서 그렇게 자주 보던 사람이 책을 냈다고 하니(만화가잖아!!) 새삼 존경스러워지는거다. 그러니까, 이렇게 웃기게 트윗을 작성하면서 자기 할 일을 계속 하고 있었구나,하는 어찌보면 다소 건방진 생각을 하게됐달까. 나는 아직 인권에 대해서 잘 모른다. 아는게 없다. 그러니 관심있게 읽어봐야겠다.

 

 

접힌 부분 펼치기 ▼

 

국가인권위원회가 1년여 기간의 기획을 거쳐 완성해낸 인권만화이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영화, 동화, 사진집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차별’ 없는 세상의 가치를 전파하는 프로젝트를 꾸준히 진행해왔다.

인권만화 『십시일反』과 『사이시옷』은 ‘차별’을 주제로 만화라는 대중 친화적 장르의 힘을 빌려 독자들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주며 사랑을 받았다. 앞의 두 만화가 ‘차별’을 주제로 ‘인권만화’라는 장르를 새로이 개척했다면 『어깨동무』는 ‘인권’ 그 자체를 주제로 했다.

 

펼친 부분 접기 ▲

 

 

마지막으로 『안톤 체호프 사할린 섬』이란 책에 대해 언급하고 싶은데 얼라, 이 책은 검색이 되질 않는다. 제목을 넣어도 검색이 안돼, 체호프를 넣고 해도 검색이 안돼, 옮긴이의 이름을 넣어도 검색이 안돼, 이게 뭔일이람. 암튼. 경향신문에 실린 이 책의 소개에 보면 마지막에 이런 구절이 있다.

 

 

체호프는 사할린에서 많은 하층민 유형수를 만난 뒤 사회적 약자의 처지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이후 작품들은 민중의 삶에 더욱 밀착했다. 『안톤 체호프 사할린 섬』은 체호프 작품 세계의 연결 고리 같은 것이라 할 만하다. (출처: 경향신문 백승찬 기자)

 

 

 

어제 읽은 단편 「깊은 밤, 기린의 말」에 대해서도, 영화 『비러브드』와 『다시, 뜨겁게 사랑하라』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싶은데, 아, 이제 졸려. 좀 자야겠다. 월요일 아침까지 깨지 않을것이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reamout 2013-02-24 0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채식의 배신. 표지 사진이.... 채소 보다는 나무처럼 보이는데.. @@

다락방 2013-02-25 16:31   좋아요 0 | URL
네 책을 봐도 나무처럼 보여요.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사무실에 와서 다시 물끄러미 보니 읽기 싫어지네요. 아 어떡하죠 ㅠㅠ

참깨 2013-02-24 0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뭐지... 읽는 사람을 위한 배려에 좀 심하게 감동했어요. 사실 블로그는 자기맘껏 하고픈대로 출판하면서 만족하는게 대다순데... 읽기 싫은 사람을 무시하잖아요. 책을 여러권 소개하시면서 접힌부분을 우와..

다락방 2013-02-25 16:32   좋아요 0 | URL
하하하하. 무슨 감동씩이나! 맹물님 댓글에 제가 쑥스러워지잖아요. 하하핫;;

참깨 2013-02-24 09: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경주는 생각보다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자신에 대한 애틋한 관계에 관심이 많은 듯해요.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지 말라는 말을 다시 되새기게 되구...시집을 한권 가지고 있는데 여러가지 실험적인 시들을 보며 그럴듯하지 하고 넘기다가도 <무릎의 문양> 을 보면 아 뜨거운게 흠.... 그렇습니다 ㅎㅎ

다락방 2013-02-25 16:33   좋아요 0 | URL
뜨겁다고요? 아, 궁금하네요, 그 '뜨거움' 이.
저도 이번참에 김경주를 읽어볼게요. '아버지'가 되어가는 한 남자의 글이 궁금해요. 게다가 그것이 시인의 글이라니, 읽다가 자주 울컥, 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돼요.
자신의 아이에 대한 애틋함도 물론 나타나있겠죠? 기대만큼 좋은 글이었으면 좋겠어요.
:)

포스트잇 2013-02-24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체호프의 '사할린섬'은 아직 번역되지 않은 걸로 알고 있어요,무라카미 하루키가 '1Q84' 1권에서 다루고 있어 저도 그 대목에서 이 책을 처음 알았는데, '묘사가 정말 훌륭하다'고 덴고의 말을 빌려 소개하죠...,저도 이 책 보고 싶은데 말이죠... 저는 하루키의 '언더그라운드' 프로젝트에 영향을 줬을거라고 짐작하기도 합니다...하루키가 이번 4월쯤 신작을 발표한다는데 그것도 보고싶네요~~

다락방 2013-02-25 16:35   좋아요 0 | URL
아, 신문에는 번역가의 이름과 번역서의 표지 사진도 실려있었어요. 그러니 아마 번역되어 나왔는데 서점엔 깔리지 않은게 아닐까 싶어요. 조만간 판매시작될 것 같은데요?
그나저나 하루키의 1q84 는 저도 읽었는데 이 책에 대한 언급은 전혀 기억나질 않아요. 아..더 궁금해집니다. 반드시 읽어봐야겠어요.

포스트잇 2013-02-26 01:02   좋아요 0 | URL
알라딘에는 아직없고 예스24는 곧 출고 예정이라고 뜨네요^^동북아역사재단에서 발행할만큼(?) 사할린섬에 대한 총체적인 보고서 같은 느낌이네요... 하루키는 "실무적인 보고서"나 "풍물지에 가까운" 책이지만 이따금 나오는 "인물관찰이나 풍경묘사가 아주 인상적"이라고 말합니다, 문제는 "이따금" 나온다는거죠~^^ 잘 읽을 수 있을런지 겁부터 나는데요ㅎㅎ 우린 사할린섬과 아주 무관하진 않은데 말입니다...
1Q84 1권 20장 덴고편 '가엾은 길랴크인' (545~558 페이지)에 이 책 얘기가 나옵니다. 오늘밤은 하루키를 읽어야겠군요...

다락방 2013-02-27 12:03   좋아요 0 | URL
지금 다시 검색해봤는데 여전히 알라딘에는 뜨질 않네요. 경향신문 기자는 미리 받아서 읽었는가봐요. 언급하신 부분을 한 번 찾아봐야겠어요. 그러고나면 사할린 섬..이 책을 살지 말지 결정할 수 있을것 같아요. ㅎㅎ

LAYLA 2013-02-24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고있어 곁이니까. 시인은 제목도 멋지게 짓네요..

다락방 2013-02-25 16:35   좋아요 0 | URL
저도 처음에 제목만 보고서는 연인에 대한 시집일 거라고 제 마음대로 상상하고는 아, 좋다 좋아, 했어요. 물론 그것이 아버지로서 하는 말이어도 좋지만 말예요. 괜히 시인이 아닌가 봅니다.

감은빛 2013-02-25 17: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채식의 배신] 이 책 소개를 듣고 저도 관심을 갖고 있었어요.
이 책을 읽고 나서 채식을 하고 있는 아내와 대화를 나눠보는 상상을 해봤습니다만,
게으르고 늘 시간에 쫓기는 제가 과연 이 책을 읽을 수 있을까 싶네요.

김경주 시인은 개인적으로 좋지 않은 기억이 있어서요.
한번 그렇게 찍히고 나니까 뭘 봐도 다 좋게 보이질 않네요.
저 책도 직접 살펴보지 않고, 소개만 보면서도 별로라고 생각하게 되네요.
그러고보니 제가 속이 좀 좁은 것 같습니다.

다락방 2013-02-26 17:41   좋아요 0 | URL
전 어제 [채식의 배신] 몇 장 읽고는 오늘 다시 소설을 집어들었어요. [채식의 배신] 저자의 어조가 꽤 세요. 저는 그게 딱히 불편하진 않지만 다른 사람들은 불편하고 반발하고 싶은 생각도 많이 들 것 같아요. 더 읽어볼지 어떨지는 천천히 생각하려고 일단 보류했어요.

전 김경주 시인의 글을 읽어본 적이 없어서 일단은 아무 느낌도 없는데, 저 책은 주문해 두었으니 읽어보고 어떤지 봐야겠어요. 그런데요 감은빛님, 감은빛님이 특별히 속이 좁다고 생각되진 않는데요? 원래 한 번 싫어진 사람은 뭘 해도 밉지 않나요? 킁.

2013-02-25 20: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6 17: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주우 2013-02-26 0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채식의 배신^을 읽고
http://blog.naver.com/synup/10161200852 를 참고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