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도 다 하니까 한다, 는건 아니고(아니 맞고!!) 몇몇 영화들은 추천하고 싶어서. 이미 흥행했고 많은 이들이 봤던 영화는 패쓰. 볼때마다 수첩에 적은게 아니라서 빠뜨린 게 있어도 할 수 없고.



터키와 독일이 배경인 『천국의 가장자리』
6월의 스폰지 하우스였고, 이 영화,
좋았다.
'미래란 예측불허, 그리하여 생은 의미를 갖는 것'








'데이빗 크로넨버그 감독', '비고 모텐슨'주연의 『폭력의 역사』
아주아주아주아주 재미있게 봤던 영화.
'인간은 과거란 버릴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 버리지. 그런 일은 불가능해. 과거는 항상 앞에서 기다리고 있지. -엘리자베스 게이지, 『스타킹 훔쳐보기』中
『캔디』'히스 레저'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작품. 포스터는 활짝 웃는 환한 모습이지만, 사실 이 영화는 우울하고,우울하고,우울하다. 마약과 빚에 허덕이고, 거기에서 빠져나오려고 발버둥치는 그의 모습을 보는 것은 굉장히 고통스러웠다. 그가 죽지 않았다면, 죽기전에 봤다면 이 영화가 그렇게 가슴 아프지는 않았을텐데. 나는 마치 히스 레저가 이렇게 살았던 것만 같아서 몹시 우울했다. 히스 레저를 볼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영화는 딱히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브로큰 잉글리쉬』
아, 이건 정말 아주아주아주아주 좋았던 영화. 지극히 주관적으로. 모두에게 이 영화를 꼭 보세요, 라고 추천할만한 어떤 감동이나 교훈이 있는 건 아니지만 내게 퍽 좋았던 작품. 나이를 아무리 많이 먹어도, 그리고 경험이 쌓인다고 해도 이별은 언제나 가슴 아프고, 다시 사랑하는 것은 언제나 두렵다.
아, 그리고 프랑스 남자들이 죄다 이 영화속의 남자처럼 키스한다면, 나는 정말이지, 대한민국에 머무르는 의미가 없다. 정말 그렇다.

『할람 포』
「빌리 엘리어트」가 이렇게 자랐다. 다른 사람들의 삶을 훔쳐보는 것이 그의 유일한 취미.
"5년후쯤에, 그때쯤 와." "그때도 계속 아름다울 건가요?" "그러길 바라." "당신은 그럴거예요."
'제이미 벨'이 아무쪼록 지금처럼 이렇게, 할람 포 같은 가슴에 파고드는 영화에 종종 등장하길 바란다. 이렇게 지금처럼 잘 자라주길 바란다.

『리핑-10개의 재앙』이건 솔직히 좀 졸작이 아닐까 의심하며 봤던 영환데 나름대로 괜찮아서 깜짝 놀랐다. 으응, 괜찮네?

『연을 쫓는 아이』는 머리를 감지도 않고 모자를 푹 눌러쓰고 혼자 극장에 가서 봤던 영화인데 아 젠장, 혼자 눈물을 흘리고 혼자 그 눈물을 닦기도 했다.

『발렛』이 영화는 도무지 의미를 찾을 수 없었던. 안봐도 아무 상관 없는 영화.





프랑스 영화 『미스트리스』
이 영화는 딱히 재밌거나 하진 않지만 뱀파이어의 이미지를 풍기는 프랑스 남자가 등장한다. 꽤 잘생겼다. 입술은 확 뒤집어까져가지고, 그 불어 발음이라니!!
영화는 그다지 특별할 건 없다.







역시 '데이빗 크로넨버그' 감독 또 '비고 모텐슨' 주연의 『이스턴 프라미스』 맙소사, 이 영화엔 결코 잊지 못할 사우나 액션씬이 나오는데, 오옷, 사우나라는 말 그대로 알몸인 비고 모텐슨의 액션을 볼 수 있다. 아아, 걸작이다 이 영화는. 내가 단지 '알몸 액션씬'때문에 이 영화를 걸작이라 평하는 걸까?
그건 나도 모르겠다. 어쨌든 강추!


『카라멜』내 생에 처음 본 레바논 영화. 순전히 포스터 한장에 마음이 끌려 극장을 향했었다. 영화를 보기도 전부터 나는 극장에서 이 포스터를 얻어다가(마침 포스터 증정 행사중이었다) 창문에 붙여놓고 내내 개봉을 기다렸었지.
주연이었던 감독의 첫 작품. 앞으로 그녀가 뱉어 낼 다음 영화들을 기대해본다.
'사랑을 말할 땐 당신을 떠올려요.'
『자유로운 세계』 여자는 옳지 않은 일을 옳지 않다고 항의 할 줄 아는 여자였으며, 불쌍한 사람들을 돕는 마음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여자는 옳지 않다는 사람들의 충고를 무시하고, 불법체류자들의 임금을 착취하며 점점 더 부유해진다.
일자리가 없는, 일해도 임금을 제대로 받을 수 없는, 공정하지 못한 채로 더 부자가 될 수 있는, 여기는 자유로운 세계.


독일 영화 『요절복통 프레드의 사랑찾기』 윽. 원제는 [Where is Fred?]인데 도대체 왜 '요절복통'이란 단어가 들어가야 했는지. 창피하다, 정말.
영화는 꽤 재미있다. 결론은 지나치게 영화스러워서 다소 불만족스러웠지만, 정말이지 시종일관 웃음을 멈출 수 없었다. 나는 독일영화에 은근 끌리는 것 같더라. 『미필적고의에 의한 여름휴가』같은 영화도 그렇고.
이 영화에는 바로 옆의 포스터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에 나왔던 바로 그 남자가 프레드의 친구로 나온다. 난 또 괜히 반가워서. ㅎㅎ





『오스트레일리아』아, 이건 대체 뭔지!! 대체 그 긴시간동안 뻔한 얘기들을 해대는건지!! 지루했다. 대작으로 보이기 위해 엄청 애쓰긴 했다만, 억지스럽다. 소몰이꾼 휴 잭맨은 근사했지만, 세시간이나 이야기를 풀어내는 건 지독했다. 게다가 품격 있는 귀부인의 당당하고 활달한 캐릭터는 이미 아주 오래전에 영화 『파 앤드 어웨이』에서 '니콜 키드먼'이 한번 분했지 않은가! 따분해. 보링, 보링.

쑥스럽지만 나는 오늘 극장에 가서 이 영화를 한번 더 봤다. 에드워드가 내게 웃어준다면, 웃어준다면, 하고 말이지. 하하. 이 영화를 볼때의 '나'와 이 영화를 보고 나서의 '나'는 확실히 '정신줄놓은 모양새'를 하고 있다. 틀림없다.




세번째 줄의 『미후네』는 덴마크 영화, 제일 위쪽의 『렛미인』은 스웨덴 영화. 『카라멜』은 레바논, 『북극의 연인들』은 스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