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1학년 때 국어선생님은 남자선생님 이었는데 첫 수업시간에 각자 나와 자기소개를 하라셨다. 내 차례가 되어 나가서 이름부터 소개했는데 선생님은 그때 멈추더니 "네 이름이 뭐라고?" 물으셨다. 이름 석 자를 다시 말하니 선생님은 웃으시며, '지금 전교 회장 3학년 언니하고 이름이 똑같네' 하셨다. 아이들도 웃고 나도 웃고 선생님도 웃었다. 짧게 소개를 마치고 들어갔다.
그리고 1학기의 어느 즈음, 하교를 하려는데 계단을 내려가다가 국어선생님하고 마주쳤다. 무슨 일이 있었던건지 모르겠는데 선생님은 내게 물으시며 내 이름을 부르셨다. 나는 우리 담임선생님도 아닌데 내 이름을 외운게 신기해서 놀라 쳐다보았고 선생님은 그런 나를 보며 '네 이름 그거 아니야?' 물으셨다. 나는 맞다고 했고, 그 때부터 '국어 선생님이 내 이름을 외웠다'고 생각하며 좋아했다. 선생님이 국어 수업 들어가는 아이들이 많고도 많을텐데, 내 이름을 외웠어... 나는 좀 특별한 아이가 된 기분이었다. 전교회장하고 이름이 똑같아서 외웠겠지만, 어찌됐든 그 많은 아이들 이름중에 내 이름을 외웠어. 이 얼마나 특별한가.
아마도 그 때부터였던가. 그 선생님의 자전거가 내 마음속에 들어왔다.... (시끄럿!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적어도 국어선생님께는 특별한 아이가 된 것 같다고 생각한 나는, 더 특별해지고 싶었고 그래서 더 좋아했다. 좋아해서 편지도 썼고 그렇게 그 선생님을 좋아하는 아이들과 나를 포함해 다섯명이 몰려 다녔다. 사실 우리 다섯명이 그렇게 친한 건 아니었는데, 이 선생님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고, 그래서 어쩌다 다같이 모여 얘기하다가 국어선생님께 선도실로 불려간거다. 선도실로 불려간 우리는 국어선생님으로부터 뜻밖의 말을 듣게 되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지금 생각해도 너무 어처구니가 없어. 우리 중학교 1학년이었단 말야? 열네살이라고. 그런 우리에게 선생님은 "선생님은 선생님이야, 선생님을 남자로 보지마" 라고 하는게 아닌가. 그러면서 "니네 5총사가~" 하면서 말하는 바람에, 그 다음부터 우리는 5총사가 되어버렸고 그때부터 우리는 함께 다녔으며 친하게 지냈다. 그중에 한 명은 영어선생님을 좋아했지만 다른 멤버 한명과 친하다보니 여기에 끼어버린 상황이었고.. 어쨌든 그런 일이 있었던 것이다.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남자로 보지마' 라는게 그 당시에도 이해가 안됐다. 남자로 본다고? 선생님은 지금 생각해보면 미친 자뻑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아이들을 어떻게 본걸까. 열네살 아이들이 삼십대의 국어선생님을 좋아하는게 '남자로 보여서' 좋아한다고 생각한걸까? 모르겠다, 그럴 수도 있을지도 모르겠어. 그때 선생님이 우리를 혹은 나를 여자로 보고 대했다면 내가 어떤 행동을 취했을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선생님을 좋아했고 또 특별한 아이가 되고 싶었던 것은 선생님한테 여자가 되고 싶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었다. 사춘기 특유의 가장 특별한 나, 지구상의 유일한 나, 같은 것이었지. 그러니까 당시에 영화 [라스트 콘서트]에서 주인공이 백혈병에 걸려 죽는 장면 같은거에 낭만 느끼면서 '내가 백혈병이라면 좀 더 특별하게 다가갈텐데' 이런 거였다는 거다. 그놈의 낭만이 무엇인지... 그때나 지금이나 선생님을 '남자'로 보아서 '여자'가 되고 싶기 때문에 좋아했던 건 아니었다.
그 '좋아한다'는 것도 이유가 없었다. 사춘기 아이 특유의 '누가 나를 특별하게 생각한다' 혹은 '선생님이 나를 예뻐한다'에서 오는 '더 예쁘게 보이고 싶다', '더 사랑받고 싶다'였지, 다른 아이들처럼 선생님의 '목소리가 좋아서' 좋아하는 건 아니었다. 당시에 선생님 좋아하는 아이들은 선생님의 목소리가 좋다고 선생님을 좋아했는데 나는 선생님의 목소리를 좋다고 생각한 적은 없었다. 결코 잘생기지도 않았고. 나는 단지 사랑받을 가능성을 보았던 것 같다. 성인이어도 나 좋다는 사람 좋은데, 열네살 아이에게 그 많은 아이들중 이름을 각인시켰다는 느낌은 정말 특별했단 말이다. 나는 그렇게 우리 5총사 중에서도 내가 가장 특별하다고 생각했다. 내 이름은 1학기때 외웠다니까?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에이미와 이저벨》은 에이미의 나이 열여섯 일때로 시작한다. 수줍고 말이 없는 에이미는 엄마가 비서로 일하는 공장에서 함께 일하고 있다. 공장에서 일하는 열여섯 소녀란 말에 진학을 포기하고 공장에서 일하는건가 했는데, 어쩌면 아르바이트일 수도 있겠다. 더 읽어봐야 할텐데, 이야기는 잠시후부터 에이미의 열다섯을 얘기한다. 그 학교를 떠난 수학선생님의 얘기를 곁들여서. 남자 수학선생님.
에이미에게 학교도 수학수업도 재미없는 시간이었는데 수학선생님의 부상으로 새로운 수학선생님 로버트슨이 찾아왔고 그 선생님은 다른 선생님과는 '달랐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고 다정하게 대해주었다. 그리고 누구나 탐내는 에이미의 머리카락에 대해 선생님도 언급한다. 에이미가 직접 바느질해 만들어 입은 원피스도 칭찬한다. 수줍고 말이 없는 에이미는 그 칭찬에 대꾸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데, 선생님은 작게 에이미에게
"여자라면 칭찬을 우아하게 받아들이는 법을 배워야지." (p.90)
라고 말한다.
여자라면.
그뒤로 에이미는 집에 가 칭찬을 받아들이는 법을 연습하고 이 로버트슨 선생님의 눈에 더 들고 싶어한다.
조용하고 차분하게 진행되는 글, 게다가 무뚝뚝하고 다소 신경질적인 엄마 이저벨과 사는 에이미의 이야기가 내가 생각하지 못한 긴장감을 준다. 고작 사분의 일정도 읽으면서도 내 신경줄이 팽팽해진다. 로버트슨 선생님은 현재 학교를 떠났다고 했는데, 떠난 이유가 에이미 때문이겠구나, 라고 알기 시작하고 나서부터는, 도대체 이 선생님과 이 십대 소녀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던걸까 싶어서 신경이 쓰이는거다. 수줍고 말도 없고 친구도 없고 형제도 없고 무뚝뚝한 엄마와 함께 사는 에이미가 이렇게 갑자기 낯선 어른남자로부터 다정한 대우를 받았을 때 이 아이 내면에 밀려올 폭풍우가 짐작되어 너무 초조하다. 이 책을 읽지 말까, 그만 읽을까 하는 생각이 자꾸만 들어서 미치겠다. 그러면서 어쩌면 내 생각하고 다를지 몰라, 이야기는 그렇게 흐르지 않을지도 몰라, 어쩌면 내가 너무 예민해서 그런걸거야, 엄마인 이저벨의 오해로 진행된 일일수도 있어, 라는 생각으로 나를 달래며 읽고 있는데, 나는 아아, 이 십대소녀의 비밀이 너무나 두렵다.
에이미는 모범생이다. 공부도 제법한다. 외우는 시도 몇 편 있고 또 시를 좋아한다. 수학문제도 잘 풀 수 있다. 에이미는 로버트슨 선생님과 단 둘이 있고 싶다. 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누어보고 싶다. 그래서 머리를 짜낸게 '문제를 일으켜 방과 후에 남는'거였다. 공부에서도 밀리지 않고 딱히 문제될 행동도 해본적 없던 에이미는 어쩔까 하다가 기어코 방법을 찾아낸다. 로버트슨 선생님의 수업시간에 자꾸만 뒤의 아이에게 말을 걸었던 거다. 선생님은 반복되는 지적에 결국 남으라고 에이미에게 이르고 그렇게 에이미는 선생님과 방과후에 교실에 둘이 남게 된다. 다른 사람들하고 얘기를 잘 하지도 않고 수업시간에도 긴 머리카락 뒤로 숨어버리는 에이미는, 그러나 로버트슨 선생님과는 막힘 없이 이야기한다. 시를 얘기한다. 단어를 얘기한다. 사전을 함께 본다. 그리고,
이런 시간이 계속 찾아온다. 아니, 그들이 만든다.
에이미에겐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할 비밀이 생겼다. 그런데 그 비밀의 시간은 자기에게 너무 행복한 시간이다. 선생님과 시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 다른 사람들은 알지 못하는 시간. 엄마도 친구도 모른다. 에이미는 자신의 일기장을 엄마가 본다는 걸 알고 일기장에는 전혀 이 일에 대해 기록하지 않는다. 숨겨야한다는 건 밝힐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 밝힐 수 없고 왜 숨겨야 할까? 그것은 그 시간안에 무언가 어그러지는게 있기 때문이다. 거기엔 분명 작게라도 어긋난 게 있다. 수학선생님과 에이미가 그들 사이에 어떤 사악한 일이 끼어들지 않는다 해도, 다른 아이들과 다르게 선생님과 개인시간을 갖는다는 것 자체도 떳떳한 일은 아니다. 가르치는 아이가 힘들어할 때 선생님이 상담사가 또 조언사가 되어줄 수 있지만 이렇게 은밀한 시간을 제자와 만들어간다는 것은 온당치 않다. 그러나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할 일에 대해서는 어그러지는게 있어서라는 것을 에이미는 아마 저 나이때 깨달을 수 없었을 것이다. 말한다면 남들이 '이상하게 볼까봐' 혹은 '이 시간을 없애라고 할까봐' 라는 생각이 혹여라도 든다면, 그것은 지속해서는 안될 일이기 때문일 것인데, 아마 거기까지는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에이미는, 내가 그랬듯이, '내가 좋아하는 선생님에게 특별한 아이가 되고 싶어서' 저런 시간을 지속했을 것이다. 특별한 아이가 됐다는 기분은 정말이지 저 당시에 끝내주니까. 이 세상에 없는 듯한 존재로 지내다가 갑자게 눈에 띠어버리는 아이가 된다니, 그 일을 왜 마다하겠는가.
그러나 그것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선생님의 칭찬으로부터 시작됐다. 선생님의 칭찬은 그 당시에 그저 옷이 예뻐서 한 말일 수 있다. 내 중학시절 국어선생님은 그냥 내 이름을 알기 때문에 나를 불러주었을 것인데, 나는 갑자기 이름이 불린 한 송이의 꽃이 되어버린거다. 선생님이 내 이름을 부르자 나는 내 스스로 나를 꽃으로 만들어버렸고, 옷 예쁘다는 칭찬에 에이미는 선생님과 단둘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특별한 아이가 된다. 다른 아이들과 나는 달라, 가 에이미에게 찾아왔을 것이다. 그 나이때 그런 감정은 정말이지 너무나 소중하지 않은가. 아니, 어른이 되어서도 사람들은 '난 달라' 라고 부르짖고 싶어하잖아. '이 사람은 달라' 라고 하면서 사랑을 시작하잖아. 어른과 아이 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문제들에 있어서 언제나 어른이 잘못한 이유이다.
내가 지금까지 읽은 부분은 이정도이다.
총 548쪽의 책에서 164까지를 읽는데도 계속 신경줄이 팽팽해진다. 신경이 쓰인다. 어떤 날카로움이 책장을 넘길때마다 찾아온다. 문장에서 문장으로 넘어갈 때마다 찾아온다.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게 해주세요, 빌고 모든 것이 오해이기를, 모든 것이 예민함이기를 바란다. 그러면서도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 이 안에 있을까봐 책읽기를 멈추지 못하겠다.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는 어쩜 이럴까, 수차례 생각했다. 다음을 읽어야 하는데 다음을 읽기가 겁나고 그러나 다음을 읽고 싶다.
이 긴장감을 해소하려면 얼른 이 책을 다 읽는 수밖에는 없다.
어제는 뜬금없이 오래전 그림책 읽어줬던 영상을 보았다는 댓글이 달렸다. 다른 것도 더 듣고 싶다는 댓글에 오랜만에 내 유튭 계정을 가보았더니 아는 사람도 없는 그곳에, 하하하하, 그림책 읽어주는 영상에 조회수가 500이 넘어있더라. 아니, 무슨 일이 생긴거야? 이게 언제 이렇게 된거야? 그래서 조회수 높은 그 영상을 가져오려고 했지만, 그 때 당시에 미처 조심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으니, 그림책 한 권을 전부 읽어버린 거였다. 한참 지나서야 그림책 전 권을 다 읽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았다. 죄송합니다. ㅠㅠ
그래서 다른 영상을 가져와본다. 아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가 이런걸 언제했지 ㅋㅋㅋㅋㅋㅋㅋㅋ 기억도 안나는데 리베카 솔닛을 읽었더라고요? 다시 들어보는데 전혀 기억이 1도 안나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허름한 기억력이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리고 발음 두 번정 샌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웃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빗소리 들으면서 아침 일찍 일어나는 건 너무 괴롭다. 일어나서 출근해야 하는건 더 괴롭다. 빗소리 들릴 때는 침대에 누워있는 게 가장 이상적인데!! 그렇지만 세상사란 본디 원하는대로 되는건 아니니까... 꾸역꾸역 일어나서 출근해야지. 그런것이다, 인생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