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사랑한 헤세, 헤세가 사랑한 책들
헤르만 헤세 지음, 안인희 엮음.옮김 / 김영사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어떤 이는 인문학 열풍의 시작은 '스티브 잡스'였다고 말한다. 스티브 잡스가 아이패드 2 프레젠테이션 때 '기술로는 부족하고 인문학과 결합한 기술이어야 한다'고 한 발언은 기업뿐만 아니라 대중에게도 깊은 인상을 주었다. 애플의 강점이기도 한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술과 인문의 결합을 잘 보여준다. 사용자가 복잡한 명령어를 치지 않고 간단한 아이콘으로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은 경제성의 원리보다 사람을 생각하는 정신이 더 깃들어 있다.
한국의 인문학 열풍에 기여한 또 한 사람이 떠올랐다.《뉴로맨서》의 작가 윌리엄 깁슨의 말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 있지 않을 뿐이다"를 정치 개혁의 뜻으로 인용한 모 정치인. 고사성어로 에헴~하는 기존의 정치인의 언어 구사와 차별을 두기 위한 전략이었다면 꽤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그 이후는... 생략한다. 그 정치인이나 우리나 원하는 대로 일이 풀리진 않았지만 어떤 효과는 있었다. 관심이든 반발이든 행동하게 만들었으니까. 아직 진행 중인 역사라 이 이야기는 여기서 마무리한다.
헤르만 헤세가 쓴 니콜라우스 쿠사누스 《모름의 앎에 대하여》 서평에서 인문학 열풍의 다른 요인도 짐작하게 하는 구절이 있다. "삶이 견디기 힘든 시절에는 추상적인 사상의 문제보다 더 나은 피난처가 없다. 거기서는 그 어떤 싸구려 위안도 흘러나오지 않는다. 시대를 초월한 가치들에 정신을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가라앉히고 정신을 강하게 만들 수 있다."(p201) 1차 대전이 끝나고 민족과 전체를 위해 자신을 소진할 대로 소진한 젊은이들을 위해 1920년에 쓴 글이다. 같은 해 헤르만 헤세는 에밀 싱클레어라는 이름으로 《데미안》을, 익명으로 《차라투스트라의 귀환》을 쓴 연유도 서평으로 밝히고 있다. 자신의 명성과 위치를 내세워 말하기보다 동년배가 말하듯 젊은이들의 정신적 방황을 공감하고 위로하고 싶어서 였다고 한다. 1900년부터 죽음에 이른 1962년까지 헤세가 쓴 3천여 편의 서평과 에세이는 방황하는 젊은이들을 위한 사랑과 봉사였다. '힐링'은 유행이 아니라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들에 의해 오랫동안 우리 곁에 있었다.
사람을 이해하고 살피는 마음가짐이 인문학의 기본이고, 글은 언어와 나의 변덕스러움을 가라앉히고 천천히 명징하게 나타내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헤세는 몇 년마다 다시 읽는 책 중 하나인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를 두고, 완성하기까지 총 50년의 세월을 보내고도 막강한 토르소만 남겼다고 했다. 짧은 비판 문장에도 강렬한 경탄이 들어 있다. 이렇게 끝나지 않는다.
"그의 위대한 소설 전체가, 의지와 시도와 능력으로 보자면 거의 초인적인 괴물인 이 작품이 이런 자리에서 보이는 약간의 실패가 내게는 두 배나 경이롭고 위대하게 여겨진다. 사랑에서 생겨나지 않은 위대한 예술작품이 없듯이, 예술작품에 대해 다시 사랑 말고는 달리 어떤 고귀한 후원의 관계도 없다. 위대한 문학작품에서도 인간적인 약점 일부가 드러나는 자리에서 오로지 비판이나 심지어 남의 실패를 기뻐하는 마음에 빠져드는 사람이라면, 이 풍성한 식탁에서 언제나 가난하고 비참한 굶주림만을 느낄 것이다."(p229)
ㅡ 헤르만 헤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 서평 '이 소설은 하나의 세계다'
비판의 쾌락에 취한 굶주림 상태인 지도 모르는 글과 말은 어느 시대에나 상주했다. 그런 비판들은 만나는 모든 걸 황무지로 만든다. 메뚜기 떼가 지나간 다음처럼 앙상한 것만 남긴다. 그렇게 먼지를 뒤집어쓴 것들 속에 진실과 진리가 살아있는지도 걱정스럽다. 그에 비해 헤세는 동화나 낯선 동양 경전도 차별 없이 정성껏 읽고 상대에게 전한다. 나쁘게 본다면 오리엔탈리즘도 섞여 있다 말할 수 있지만, 헤세가 직접 표현하기도 한 존경심이었다고 나는 본다. 삶의 비참함을 감내하며 이해와 사랑으로 작품을, 사람을, 세계를, 작가를 읽을 때 더 많은 걸 얻을 수 있다고 헤세의 에세이들은 증명하고 있다. 그의 글은, 인문학이 완성된 무엇을 읽는 게 아니라 우리가 찾아가 읽고 생각하는 과정 전체라고 또렷하게 전해준다. 인간의 양심에 대한 고찰이라고 불러도 될까. 50년이 지나도, 화성 이주가 실현되어도 끝나지 않을 거라는 건 분명하다.
차갑지 않으면서 시들지 않는 헤세의 문장을 잘 표현한 표지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