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이 뭡니까?
cyrus님이 보신 알라딘 운영 상황과 서평 의견이 제가 전반적으로 느끼던 점들과 유사해서 반가웠습니다. 좋은 서평에 대해 언급하신 알러디너에 대해서도요.
* [독자선정위원]에 대해서 몇 가지 본 게 있어 당부 차원에서 글 씁니다.
1. 독자 선정 위원회 이벤트 당첨 글에 신청자가 비밀글이 아닌 채 댓글 단 것을 목격
2. 서재에 독자선정위원이 되었다고 자랑하시는 분을 목격
그때 알라딘 게시판에는 공개적으로, 글 작성자에게는 비밀리에 각각 건의를 했습니다.
비밀스러워야 하는 감독관 임무를 그리 떠벌리면, 그걸 노리는 사람들이 접근하는 건 인지상정 아니냐고요.
이거저거 신경쓰는 거 귀찮아서 요즘은 어찌 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독자선정위원도 하나의 카르텔을 만들 수 있음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독자선정위원이 되는 것도 결국 적립금을 받으려는 자본주의 심리가 섞여 있으며, 자신이 선호하는 글에만 표를 주는 완장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자신의 비밀스러운 직위로 인해 그만큼 자유로울 수 있으니까요. 부정적으로 흐를지 긍정적으로 흐를지는 그 사람, 그리고 그들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겠죠. 이런 메커니즘은 국정원 댓글 부대도 동일. 사람이란 참 그래요...
독자선정위원이 모든 글을 살필 수 없는 한계도 있기에, 이를 파악한 글작성자들이 많은 사람들이 글을 잘 볼 수 있는 저녁 시간대 글을 올린다는 메커니즘은 또 어떤가요? 수많은 (좋아요) 속에 독자선정위원의 (좋아요)가 섞일 확률이 높을 테니까요. 화제의 서재글로 노출이 빨리 되기 위해 이웃을 최대한 늘리는 방도도 있을 겁니다. 관계 유지를 위해 좋아요도 남발하겠죠.
더 나아가서 이웃이 많은 파워작성자가 아니라면, 글 작성자가 누가 자신에게 좋아요를 주었는지 파악이 되는 상황에서 [이 달의 당선작]이 되면, 약삭빠른 사람은 독자선정위원으로 여겨지는 알라디너를 타겟 삼아 적극적으로 관심을 표할 테고, 서로 좋아요를 나누는 상황이 되겠죠. 이래서 제가 카르텔 얘기를 꺼낸 겁니다.
과연 제 억측이기만 할까요.
우리는 악의적이라고까지 할 수 없더라도 각자 이 시스템을 잘 이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를 진짜 말하고 싶다면 자신에게 불리한 이런 건 살짝 피해서 좋은 얘기만 할 수는 없는 법이죠.
이 글에 먼댓글 쓴 곰곰발님 글 따라가 보세요. 제 글이 수준미달이라 좋아요를 줄 수 없다는 평 좀 보시죠. 제 글의 수준을 떠나 저 행태가 완장질이 아닙니까. 그 눈 밖에 날까 무서워서 누가 제대로 말하겠습니까. 곰곰발님과 친분이 더 돈독하다면 당연히 눈치 보여서 저를 멀리 할 테죠. 이 문제를 단순히 제 피해의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까?
전반적으로 제 글이 독자선정위원들께 매우 결례일 수도 있고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는 거 압니다. 그리고 이 글로 제게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겠죠.
제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독자선정위원을 모독하거나 폄하하자는 게 아니라 이 자리를 빌어 서재를 이용하는 모두가 자신을 돌아 보자는 말을 하고 싶고, 앞으로 독자선정위원이 되실 분도 이를 잘 생각해 주셨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하는 뜻입니다.
* 서점이라는 시장과 관계된 [서평]에 관해서- 이상과 현실의 괴리
서평에서 객관의 중요성을 말하지만, 책 구매와 판매가 끼어드는 이상 그 좋음/객관성이란 것은 현실과 괴리가 있습니다.
현실은 어느 곳이든 매우 자본주의 시장화되어 있고 그것이 이성보다 다분히 감정으로 더많이 돌아가고 있다는 걸 지적하고 싶습니다.
(좋아요)는 1. 인맥의 교우도 있지만 2. 현재 내 감정과 지적 욕구를 그 글(서평이든 독후감이든)이 얼마나 충족시켜 주고 있는가 하는 내 감정 충족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그 (좋아요) 안에 딸린 책 (구매)는, 내가 당신 책을 샀소! 알리는 인맥 관리용 선포가 없다면, 그 글의 객관적 훌륭함 때문이나 구매자의 필요 때문보다 다분히 구매자의 감정을 자극해서 판매가 되었다는 게 주요할 겁니다. 다른 많은 서평 중에 왜 그 서평으로 구매를 하게 됐나 각자 생각해봐도 알 일입니다. 충동 구매가 현재 이 소비시장을 가장 이끄는 원동력이죠. 감정마케팅이 그래서 날로 중요해지고 있죠.
좀 더 펼쳐 생각해 볼까요.
객관 서평에 따른 구매와 감정 서평(독후감 이하)에 따른 구매가 있다고 나눠서 볼 때 후자가 더 판매가 잘 될 걸요. 이건 알라딘에서 설문조사를 안해도 저는 알겠습니다. 알라딘 당선작, 책이라도 나오게 되면 다른 많은 서평보다 그 글은 더 알려지고, 많은 사람들이 읽었기에 좋은 글이라는 평도 많아지고, 그렇게 그는 좋은 서평가와 작가 대열에 끼고, 역학이 착착 쌓이게 되는 겁니다. 사실 현실은 이런 상황이 더 많죠. 이름난 작가 책이 바로 베스트셀러가 되듯이.
글을 어느 정도 써 본 이들은 이런 걸 모두 파악하고 있죠. 그의 양심에 따라 그 글의 상업성이 따라나올 테고요.
또 이렇게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한 번 좋아하게 된 작가 책을 꾸준히 사는 건 각각의 책이 훌륭해서 이뤄지는 객관적인 구매 효과일까요, 주관적 관심도와 선호로 인한 구매 효과일까요.
책 자체가 공부에 필요한 정보 차원도 있지만 심신수양, 취미, 선호 여러가지로 나뉘어지면서도 모이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렇듯 나누기 애매모호한 지점이 많은데, 주관을 배제한 객관을 최대한 살린 서평이 좋은 글이다?
사람에 대해, 시장과 이 세계가 돌아가는 형국에 대해 많은 부분 놓치는 말입니다.
사실은 서로 불편한 건 살짝 덮고 좋은 말만 하자는 취지도 있겠죠.
객관과 주관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을 얼마나 직시하며 솔직할 수 있느냐가 더 관건입니다.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은 그가 현실을 객관적으로 봤기에 가능했다고만 볼 수 없는 주관적인 선언의 형태였습니다.
선언은 주관적인 글에서 고도로 어렵고 위험한 형식입니다. 허점이 조금이라도 드러나면 주장과 글이 무너지는 건 한순간이니까요.
단순히 마르크스가 똑똑해서 가능했다 그리 생각하진 않으시겠죠?
<공산당 선언>은 인류가 존속하는 한 영원히 이어질 감명이 있으며, 계속 팔릴 것이라는 걸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우리의 확신은 과연 무엇에 기반하며 성장할 수 있는 것인지 또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됩니다.
분명한 것은 단답형 답은 아닐 겁니다.
두서 없으나 일을 해야 해서;;; 이 정도로 갈무리합니다. 이 글 쓰느라 또 시간이ㅜㅜ;;;
나중에 더 덧붙일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