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906/pimg_7598491531999814.jpg)
★ 유발 하라리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더 나은 오늘은 어떻게 가능한가』
- 화제의 신간 아니랄까 봐 사은품 푸짐(다 돈 주고 사는 거지만-_-)
☆데스크 to-do 리스트
☆라이브러리 북마크(블루, 5ea)
☆스테인리스 컵(주홍 글씨): 나 또 컵쟁이 됐; 내 닉네임 이니셜마냥 A가 똭~ 안 사기 어려웠다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906/pimg_7598491531999817.jpg)
유발 하라리는 꾸준히 읽고 모으고 있기 때문에 안 사기 어렵다ㅎ;;
『호모 데우스』는 선물 받음 ( ・ิᴥ・ิ)> 『대담한 작전』은 e book으로 볼 예정. 『극한의 경험』도 얼른 읽고 리뷰 써야 되는데ㅜㅜ
★ 정희진 외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 X 민주주의』
한겨레 21 강연 모음. 저자들이 알차서 읽어 보기로.
요즘 한 달에 한 권은 꼬박꼬박 페미니즘 책을 읽고 있다.
★ 유시민 『역사의 역사』
빨리 읽기 위해 e book 구매
★ Penguin book collection
펭귄 book bag 중 가장 인기 많은 버지니아 울프 <A Room of one's Own> 가방.
압도적 디자인 아닌가! 나 책 읽는 사람이야 완전 티 냄ㅋㅋ 에코백 이 정도는 만들어 주셔야. 이 정도면 사은품 아니어도 산다!
정가제 free 도서로 분류돼 5만 원 이상 2천 마일리지 받아 할인 효과도!
에코백 어마 무지 많지만 늘 갖고 싶어 했으므로 가을맞이 보라색 지름~
★ 무민메모보드(블루)
히힛~ 화이트와 달리 역시 특색 있다 ・ᴥ・)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906/pimg_7598491531999815.jpg)
알라딘 9월 굿즈 만년필이랑 (속으로는 책 읽는 사람들의 지갑 열기 연구소라 생각하게 되는) '책 읽는 사람들의 생활용품 연구소' 연필깎이 나온 거 보고(왜 화이트는 없... ( •́ ̯•̀ ) 예상대로 또 주문 모드; 잉잉, 내 돈 강탈자야!
좋아요. 유시민 작가
E.H. 카 『역사란 무엇인가』 재독도 할 겸『역사의 역사』 읽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책 결국 보게 되는군;
📎
애초에 정답이 없는 질문이라면 형식을 바꾸어 보는 게 나을지 모른다. “사람들은 역사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서문에서)
역시 글쓰기 특강 쓰는 능력자답게 관점 바꾸기ㅎ!
9월 독서 계획의 주인공이라고 해놓고 미셸 푸코 잠깐 찬밥 취급;
뭐가 내 맘대로라는 거야ㅎ
바로 이런 거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906/pimg_7598491531999830.jpg)
『역사의 역사』에서 사마천 『사기』 평이 매우 좋다.
마침 사기 세트 다 가지고 있지 ʕ·͡ᴥ·ʔノ
헤로도토스 『역사 』는 꺼내기 귀찮은 곳에 있어 사진에 못 담았다;
☆ 가을맞이 아로마 향초 총출동
역사책 어떤 걸 봐야 되나 고민되듯이 향초도 그렇다.
결론은 다 산다ㅋㅋㅋ
woodwick (bergamot & basil) 무척 좋아한다. 나무 심지 타는 소리가 적적할 땐 친구랑 무언의 대화를 나누는 듯싶지만 대체로 시끄러워;;
이번엔 조금 저렴한 bridgwater candle 사봤다. woodwick처럼 향이 즉각 멀리 퍼지진 않지만 은은하고 조용해서ㅋ 좋다. sweet grace 향 맘에 드는구만! solitude, white cotton, bridg water 다 기대된다~ 하나는 선물하려고 했더니......
파크리트 쥔스킨트 『향수』 주인공 그루누이가 난 참 공감되지.
책과 함께 향기 나는 사람이 되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906/pimg_7598491531999831.jpg)
지난달 세계사 흐름 책 읽은 것도 도움이 되면서 이 일련의 책들 속에서 나만의 맥락이 잡히는데!
유시민 작가 이번 『역사의 역사』 책 참 잘 쓰셨다. 책 속에서 역사학자/역사가들의 한계를 말씀하지만 본인도 한국 정치 사회에 안 휩쓸리고 공부 쪽에 전념하셨음 한국의 유발 하라리가 되실 수도 있었을 텐데ㅎ 지금도 안 부러울 만큼 베스트셀러 작가 시지만~
📎
E.H. 카 『역사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역사가의 작업이 뚜렷이 구별할 수 있는 두 단계나 기간으로 나뉜다고 생각한다. 먼저 역사가는 오랜 시간 사료를 읽으면서 노트를 사실로 채운다. 이 작업이 끝나면 사료를 치우고 노트를 펼쳐 처음부터 끝까지 글을 쓴다. 그러나 이것은 이치에 맞지 않으며 그럴듯하지도 않다. 나는 중요한 사료 몇 가지를 읽기 시작하자마자 좀이 쑤셔서 어느 부분이든 상관없이 곧바로 쓰기 시작한다. 계속 읽으면서 그때그때 글을 덧붙이고 삭제하며 재구성하고 취소한다. 글을 쓰면서 읽는 덕분에 적절한 방향을 찾아가며 풍부하게 사료를 독해할 수 있다. 역사가라는 이름에 어울리는 역사가는 경제학자들이 투입(input)과 산출(output)이라고 하는 과정을 동시에 진행한다. 읽기와 쓰기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나는 확신한다."
그래요. 카! 내가 지금 그렇다고요😭 손은 일을 하고 있고 머리로는 그 모든 걸 연결하고 싶으니 미칠 노릇. "흥분해서 바로 공개하지 말고 메모만 해두었다가 며칠, 몇 달을 묵혔다 활용"하라는 곽재식 작가의 조언을 되새기며... 이걸 진짜 잘해야 된다. 그저 쏟아내기만 해서는 sns 유저밖에 안 됨. 그 이상 안 바란다면 할 말 없고^^; 실력도 있어야 되겠지만 김동식 작가 같은 운을 바라지 말 것ㅎ
참고로 곽재식 『항상 앞부분만 쓰다가 그만두는 당신을 위한 어떻게든 글쓰기』(※책제목 외우는 거 포기😯......"앞부분만" 외움ㅋ)가 나는 스티븐 킹 『유혹하는 글쓰기』보다 훨씬 좋다고 생각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906/pimg_7598491531999832.jpg)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성공으로 기세등등해지신 거 아닌가. 그 책 좋게 보고 이 책 본 건데 대실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