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는 고양이 기분을 몰라 - 어느 심리학자의 물렁한 삶에 찾아온 작고 따스하고 산뜻한 골칫거리
닐스 우덴베리 지음, 신견식 옮김 / 샘터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양이를 길러보기 전에는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함께 살아보기 이전에는 몰랐다. 고양이는 독립적인 동물임을. 따라서 요즘 유행하는 반려묘는 틀린 말이다. 고양이는 사람에게 반려동물 취급해달라고 한 적이 단 한번도 없다. 그저 인간의 이기적인(?) 마음이 낳은 과잉친절이다.

 

일흔이 넘은 노학자의 시골집에 고양이가 찾아온다. 돌볼 사람도 마땅치 않고 생활의 절반은 스톡홀롬에서 지내는 부부에게는 고양이를 키울 여력이 없다. 어릴적 온갖 동물을 키우다 헤어짐을 경험한 트라우마도 한몫한다. 끝까지 함께 할 수 없다면 시작도 하지 말아야지.

 

그러나 고양이는 그러거나 말거나 찾아온다. 내가 언제 너희들보고 키워달라고 했어? 난 그냥 여기가 마음에 들 뿐이야. 부부는 생각을 고쳐먹고 고양이와 함께 살기로 결심한다. 그렇다고 해서 강아지처럼 늘 곁에 붙어 있지는 않았다. 서로간의 생활영역을 정하고 터치하지 않기. 하나 더 과도한 애정표현 금지.

 

주인공은 점점 고양이에 길들여져 간다. 정해진 시간에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짬짬이 산책하고 끼니는 가볍게 해결하는 북유럽 특유의 생활패턴이 둘에게는 안성맞춤이었기 때문이다. 가출이라는 약간의 사고도 있었지만 고양이는 어김없이 제 멋대로 돌아온다. 그러다 고민에 빠진다. 언젠가 헤어질 고양이에 대한 그림움이 벌써부터 복받쳐서다. 중성수술로 자손을 낳지 못하게 한 죄책감과 함께.

 

그러나 고양이가 인간에게 은혜를 갚는 일은 없다. 단지 서로 필요에 의해 동거했을 뿐 그 이상, 그 이하의 관계맺음도 거부한다. 어쩌면 인간의 마음으로 고양이의 속내를 헤아리려는 시도 자체가 무의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오 2 - 한국어 더빙 수록
카를로스 살다나 감독, 류승룡 외 목소리 / 20세기폭스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애니메이션을 아이들과 함께 볼때면 궁금해진다. 과연 아이들은 어떤 생각으로 보고 있을까? 다시 말해 어른인 나는 뜻밖의 교훈에 마음이 흔들리지만 아이들은 상상력을 자극하는 화면에 환호를 하기 때문이다.

 

<리오 2>는 애완새로 살던 부부와 아이들이 아마존에 가면서 겪는 이야기다. 남편은 떠나온 도시를 그리워하지만 아내는 드넓은 정글에서 마음껏 뛰노는, 아니 뛰나는 아기새들을 보며 만족해한다. 마치 인간사회의 축소판같다.

 

그러나 사소한 갈등은 아마존 벌목이 시작되면서 깨진다. 아마존을 지키기 위해 부부는 물론 적대적인 새들과도 힘을 합쳐 인간들을 몰아낸다. 오, 이렇게 심오할 수가. 아이들은 그러거나 말거나 컬러풀한 새들의 황홀한 비상을 넋을 놓고 바라본다. 그래, 지금은 그저 감탄만 해도 부족한 나이지. 교훈은 나중에 깨달아도 늦지 않아.

 

덧붙이는 말

 

교육은 중요하다. 아이때의 경험이 평생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불행하게도(?) 난 똘이장군 세대다.뿔달린 북괴 괴물을 무찌르는 아이가 주인공이었다. 내가 유별났는지는 몰라도 똘이장군에 반감이 들었다. 과연 북한이 그저 악일 뿐인가, 라는 불온한 의심을 품었다. 내게는 역설적인 교육이었던 셈이다. 국정교과서가 그대로 통과되었다면 어째을까, 아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의 입자 - 우주가 답이라면, 질문은 무엇인가
리언 레더먼 & 딕 테레시 지음, 박병철 옮김 / 휴머니스트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일 제치고 읽어야 하는 책이 있다. 구체적으로 금요일 업무를 마치고 식사까지 끝낸 다음 저녁 9시쯤 아무도 방해하지 않는 자신의 방에 틀어박혀 밤을 새워가며. 내게도 그런 책이 몇 권 있는데 가장 최근에 당첨된 책은 <신의 입자>다.

 

<신의 입자>에 대한 명성은 자자했지만 번역 소식은 없었다. 왜지? 저작권 협의가 잘 안되어서, 출판시장이 안 좋아서? 여하튼 뒤늦게나마 만나게 되어 반가웠다. 더우기 원작 못지 않은 빼어난 번역 솜씨에도 감탄한다.

 

이 책은 자연과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비전공자도 부담없이 읽을 수 있다. 물리학과 수학이 불가연의 관계임을 감안하면 매우 이례적이다. 수학을 쓰지 않는다고 하면서도 전공자만 알아들을 수 있는 헛소리로 도배된 물리학 책이 얼마나 많은가?

 

물리학은 우주를 다룬다. 곧 우주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라는 원초적인 질문에 답한다. 아직까지 명확한 해답은 없다. 아니 영원히 풀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건 우주에 대한 호기심은 끝이 없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퍼펙트 월드 - [할인행사]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병상에는 죽음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그득하다. 병원에서는 치료라는 명목으로 그들도 붙들고 있지만 의사들도 환자들도 단지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음을 안다. 환자는 실낱같은 희망을 의지삼아 병원은 한 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누구나 안다. 언젠가는 죽는다는 사실을. 그러나 어떻게 죽을지를 심각하게 고민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정확하게 말하면 어떻게 죽는지 자체를 모르겠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완벽한 죽음은 뜻밖에 닥친 소식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곧 내가 죽는지조차 모르게 죽는 것.

 

불우한 어린시절을 겪고 감옥에 다녀오는 코스트너. 삶의 의지를 잃고 반장남삼아 아이를 납치하여 끌고다디나 경찰의 추적끝에 총을 맞고 죽음을 맞이한다. 어찌보면 단순한 이야기에 뚜렷한 플롯도 없지만 이스트우드 감독은 컨트리 음악을 덧붙여 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살아 생전 단 한번도 진정한 기쁨을 느끼지 못했던 케빈이 죽음에 이르러서야 만끽하는 환희를 잘 묘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출퇴근의 역사 - 매일 5억 명의 직장인이 일하러 가면서 겪는 일들
이언 게이틀리 지음, 박중서 옮김 / 책세상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장 다니는 사람에게 가장 큰 즐거움은 무엇일까? 꼬박꼬박 들어오는 월급? 물론 기쁘기는 하지만 즐겁다고 하기에는. 점심시간? 일리가 있다. 살기 위해 먹느냐 먹기 위해 사느냐는 원초적인 고민은 늘 떠나지 않기에. 그럼에도 약하다. 회식? 노노. 호불호가 분명하게 갈린다. 그렇다면 과연 정답은?

 

출퇴근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출근전까지는 온갖 망상에 시달리지만 현관문을 열고 출근하는 순간 왠지 모를 충만감이 차오른다. 반면 퇴근할 때는 안도감에 젖는다. 오늘도 무사히 버텼구나. 아무리 재택근무가 활성화되고 노동이 사라진다고 해도 출퇴근은 변함이 없을 것이다. 왜 그 시간은 무섭도록 지겨우면서도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환희를 선사하기 때문이다. 

 

여자 상사는 퇴근 시간을 애매하게 넘기곤 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퇴근 수당을 챙기기 위해서였다. 또 한가지 이유는 집에서 모시고 사는 시어머니 식사를 해주지 않기 위해서였다. 참 대단하다. 이처럼 출퇴근은 수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흔히 출퇴근에 걸리는 시간을 낭비라고 말한다. 하루에 한 시간 이상씩 길바닥에서 헤매는게 너무 비효율적이라는 뜻이다. 글쎄?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고된 노동을 어떻게 버틸까? 곧 출퇴근은 일종의 완충장치이며 온존히 자신만의 준비시간이다. 출퇴근에 너무 오래 시간이 걸린다고 툴툴거리는 사람에게 회사 근처에 사택을 마련해준다고 좋아라하지는 않는다. 

 

이 책은 미시사의 일종이다. 다들 하찮게 여기는 그러면서도 소중한 작은 역사를 발굴하여 이야기식으로 풀어낸다. 출퇴근이라는 소재 또한 누구에게나 공감가는 것이기 때문에 읽기에 부담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