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웅진 완역 세계명작 10
케네스 그레이엄 지음, 아서 래컴 그림, 공경희 옮김 / 웅진주니어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5) 오소리 아저씨의 집 구조를 설명한 부분에서, 웅진 책의 번역을 읽으면 상상이 쉽지 않습니다. 오소리 아저씨의 집을 상상해 보면, 문을 열고 지하로 한참 계단을 내려갑니다. 계단 끝에 중앙 홀이 있고, 그 홀에서 복도가 사방으로 여럿 뻗어 나가며, 복도 사이사이의 벽에도 문이 여러 개 있는 것 같습니다. 그 문 중 하나를 열면 따뜻한 부엌이 나옵니다. 또 홀에서 뻗어나간 복도에 들어서면 양편에 문이 여럿 있고, 복도 끝은 또 다른 홀로 이어지며 거기서 다시 복도가 여럿 가지를 칩니다. 마치 미로와 같은 구조지요. 그런데 웅진 책에선 먼저 73쪽에 “중앙 홀이 나타났고, 거기에서부터 터널같이 생긴 긴 복도가 여러 개 뻗어 있었다. 복도마다 신비롭고 끝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홀에는 문도 여러 개 있었다. ... 오소리 아저씨가 문 하나를 활짝 열자, 그들은 불을 피운 따뜻하고 밝은 부엌에 들어서게 되었다”고 해놓고(여기까진 문제가 없습니다), 86쪽에는 “식사를 마치고... 오소리 아저씨는... 두더지에게 따라오라고 했다. 복도를 지나니 터널이 나왔다.” 여기서 복도와 터널의 다른 점이 무엇입니까? 앞에선 “터널같이 생긴 복도”라 하고, 뒤에선 “복도를 지나니 터널이 나왔다”고 하고.

원문은 Crossing the hall, they passed down one of the principal tunnels입니다. 여기서 hall을 ‘복도’로 번역했기에 이런 혼란이 생기는데요. 이 hall은 복도가 아니라 앞에서 central hall(중앙 홀)이라고 한 바로 그 홀일 겁니다. 오소리 아저씨와 두더지는 홀을 가로질러서, 사방으로 뻗은 터널, 곧 복도로 들어선 거지요.

 
6) 오소리 아저씨와 물쥐, 두더지가 말썽을 부리는 두꺼비의 버릇을 고쳐주려고 찾아갔을 때. 이때 오소리 아저씨는 물쥐와 두더지에게, 두꺼비의 운전사 복장을 벗기라고 하는데요.

배저 아저씨는 래트와 모울에게 짧게 명령했다.
“너희들, 어서 저것들을 벗겨.”
토드가 발길질을 해 대고 온갖 욕설을 퍼붓는 바람에 토드를 바닥에 누이고 나서야 제대로 일을 시작할 수 있었다. 래트가 토드를 깔고 앉고, 모울이 운전복을 하나하나 벗겨 냈다.
(시공주니어)

오소리 아저씨가 간단히 지시했다.
“자네 둘이 벗겨.”
물쥐와 두더지는 두꺼비를 바닥에 눕히고, 발길질을 하면서 욕을 퍼부었다. 물쥐가 두꺼비 위에 올라타자, 두더지는 하나씩 운전 장비를 벗겼다.
(웅진)

웅진의 번역대로라면, 물쥐와 두더지가 세상에, 친구에게 욕을 퍼부으며 발길질을 했다는 거예요. 시공주니어의 번역대로라면 붙잡힌 두꺼비가 저항하느라 욕하고 발길질했다는 것이고요. 원문을 볼까요.

'Take them off him, then, you two,' ordered the Badger briefly.
They had to lay Toad out on the floor, kicking and calling all sorts of names, before they could get to work properly. Then the Rat sat on him, and the Mole got his motor-clothes off him bit by bit, and they stood him up on his legs again.

여기선 kicking and calling의 주어를 물쥐와 두더지로 보느냐, 두꺼비로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는군요. 언뜻 보기엔 웅진의 번역이 맞은 것 같지만, 문맥을 보면 그렇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They had to lay Toad (중략) before they could get to work properly라는 문장은, “그들은 두꺼비를 바닥에 눕혀야 했다 (중략) 제대로 일을 시작하기 전에”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물쥐와 두더지는 두꺼비를 바닥에 눕힌 뒤에야 제대로 두꺼비의 운전 장비를 벗길 수 있었다는 거죠. 왜 그랬겠어요? 두꺼비가 kicking and calling... 곧 발로 차고 욕하며 반항했기 때문이겠죠.(아니면 어떡하지. --; 그냥 제 생각이 그렇다는 거예요.)

가시나무님께서 이런 의견을 주셨습니다.

이 문장은 <그들은 제대로 일을 하기 전에 토드를 발로 차고 욕을 하면서 바닥에 눕혀야 했다>로 보아야 합니다.  kicking and calling 부분의 분사가 <때문에>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있지만, 여기서는 아닙니다. kicking and calling의 주체를 They로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래트가 토드의 위에 올라타고 몰이 토드의 운전복을 하나씩 벗겼고, 그런 후에 그를 다시 일으켜 세웠다고 보아야 하죠.

그러니까 웅진 쪽 번역이 옳은 셈이네요. ^^a

7) 두더지와 물쥐가 수달의 아이를 찾으러 밤새 배를 타고 가는 장면.

모울은 조용한 가운데 강물 위로 침착하게 노를 저어 갔다. 곧이어 우묵강이 길게 한쪽으로 퍼져 나가면서 강이 둘로 갈라지는 지점이 나타났다. (시공주니어)

고요한 가운데 두더지는 꾸준히 노를 저었고, 곧 강이 갈라지는 곳에 도착했다. 한쪽으로 역류하는 물줄기가 갈라졌다. (웅진)

둘 다 뭔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아무튼 강이 두 줄기로 갈라졌다는 이야기지요. 원문은 이렇습니다.

In silence Mole rowed steadily, and soon they came to a point where the river divided, a long backwater branching off to one side.

그러니깐 강이 둘로 갈라졌는데, 그 중 한 줄기로 물이 길게 역류해 들어갔다... 이게 뭔 말이지? 아아, 혹시 이것 아닐까요? 두더지와 물쥐는 상류로 거슬러 올라왔잖아요. 상류에서 물줄기가 둘로 갈라졌다면 그 갈라진 두 줄기에서 흘러온 물이 합쳐져 큰 강이 되어야 하는데, 여기선 그게 아니라 갈라진 한 줄기가 큰 강에서 뻗어나간 지류인 거죠. 그래서 큰 강에서 도리어 그 줄기로 물이 흘러가는 거예요. (아닌가? 누가 좀 가르쳐주세요. --;)


8) 감옥을 탈출한 두꺼비가 운하에서 배를 만나는 장면

운하의 모퉁이를 돌자, 말 한 마리가 홀로 터벅터벅 걸어와서는 고민거리가 있다는 듯이 목을 구부렸다. 말의 어깨띠에는 긴 밧줄이 팽팽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말이 걸음을 걸을 때마다 밧줄이 물에 잠겼다. 마구의 다른 부분에서는 진주 같은 물방울이 떨어졌다. (시공주니어)

운하가 굽이를 도는 곳에서 말이 터벅터벅 걷고 있었다. 말이 걸음을 옮길 때 목에 매여 있는 긴 줄이 밑으로 늘어졌다. 줄 끝에서 물이 뚝뚝 흘렀다. (웅진)

이게 과연 같은 문장을 번역한 것이란 말입니까! 그리고 웅진 책의 번역으로는, 이 말이 배와 무슨 상관 있는지 모르겠어요. 원문을 보고 판단하시지요.

Round a bend in the canal came plodding a solitary horse, stooping forward as if in anxious thought. From rope traces attached to his collar stretched a long line, taut, but dripping with his stride, the further part of it dripping pearly drops. 

웅진 쪽에서 문장을 과감히 압축, 단순화해버렸네요. 그렇죠?


9) 거의 끝부분, 두더지가 담비 무리를 놀릴 때

“또 권총과 끝이 흰 칼로 무장한 쥐들이 배 여섯 척에 나눠 타고...” (시공주니어)

“권총과 단검으로 무장한 물쥐들이 여섯 척의 배에 나눠 타고...” (웅진)

“끝이 흰 칼”? “끝이 휜 칼”이 아니고?

Six boat-loads of Rats, with pistols and cutlasses, will come up the river...

cutlass는 ‘휘어지고 폭이 넓은’ 단검이라고 합니다. 선원들이 주로 쓰던 거라나요. 왜 해적 나오는 만화에서 본 적 있죠? 그걸 끝이 ‘흰’ 칼로 번역하다니. 뒷부분에도 같은 말이 나옵니다.

래트는 먼저 저마다 옷에 벨트를 두르게 하고, 그 다음에는 벨트에 칼을 꽂게 하고, 그 다음에는 균형을 맞추어 다른 쪽에 끝이 흰 칼을 꽂게 했다. 그러고 나서 권총 한 쌍, 경찰봉 하나, 수갑 몇 개, 붕대와 반창고 조금, 그리고 물통과 샌드위치 통까지 챙겨 주었다. (시공주니어)

먼저 동물마다 허리띠를 차고, 칼을 꽂은 다음, 양쪽에 몽둥이를 꽂아서 중심을 잡게 했다. 그런 다음 권총 두 자루와 경찰관이 사용하는 곤봉 하나, 수갑 몇 개씩을 챙겨 주었다. 붕대, 반창고, 물병과 샌드위치 통까지 준비했다. (웅진)

여기서, 시공주니어 책에 따르면 허리띠 양쪽에 칼을 차서 중심을 잡았고, 웅진 책에 따르면 칼은 한 자루인데 양쪽에 몽둥이를 꽂아서 중심을 잡았어요. 원문을 보지요.

First, there was a belt to go round each animal, and then a sword to be stuck into each belt, and then a cutlass on the other side to balance it. Then a pair of pistols, a policeman's turcheon, several sets of handcuffs, some bandages and sticking-plaster, and a flask and a sandwich-case.

‘끝이 흰 칼’이란 엉뚱한 표현을 빼면 전체 내용은 시공주니어 쪽이 옳네요.

- 5편으로 이어집니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시나무 2006-07-11 2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They had to lay Toad out on the floor, kicking and calling all sorts of names, before they could get to work properly. Then the Rat sat on him, and the Mole got his motor-clothes off him bit by bit, and they stood him up on his legs again.

 

이 문장은 <그들은 제대로 일을 하기 전에 토드를 발로 차고 욕을 하면서 바닥에 눕혀야 했다>로 보아야 합니다.  kicking and calling 부분의 분사가 <때문에>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있지만, 여기서는 아닙니다. kicking and calling의 주체를 They로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래트가 토드의 위에 올라타고 몰이 토드의 운전복을 하나씩 벗겼고, 그런 후에 그를 다시 일으켜 세웠다고 보아야 하죠.

영어 문장은 주어와 술어를 정확하게 찾 는 게 가장 중요하지요. 


숨은아이 2006-07-12 1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앗, 가시나무님, 지적 고맙습니다.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웅진 완역 세계명작 10
케네스 그레이엄 지음, 아서 래컴 그림, 공경희 옮김 / 웅진주니어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2. 서로 다른 번역

번역가가 다르면 상황 해석도 조금씩 다를 수 있겠지만, 대체로 읽는이가 머릿속에 떠올리는 장면은 비슷해야 하지 않나요. 그런데 영 다른 장면이 몇 군데 나오더라구요. 예를 들면...

1) 처음 두꺼비가 봄을 맞아 집을 나설 때, 강짜를 부리는 토끼를 골려주는 장면

늙수그레한 토끼 한 마리가 산울타리 틈에 대고 소리쳤다.“서라! 내 땅을 지나가려면 6펜스를 내!”
모울은 당장 달려가 밉살스럽고 건방진 그 토끼를 한 대 쥐어박았다. 그러고는 산울타리를 따라 종종걸음을 치면서 웬 소동인가 하고 서둘러 굴 밖으로 고개를 내민 다른 토끼들을 놀려 주었다.
“깨소금 맛이다, 깨소금 맛이야!”
(시공주니어)

“거기 서! 남의 길을 지나가려면 육 펜스를 내야지!”
늙은 토끼였다. 두더지가 산울타리를 끼고 쿵쾅쿵쾅 걷자, 토끼들은 무슨 난리인가 싶어서 굴에서 내다보다가 화들짝 놀랐다. 예의 없이 촐랑대는 두더지 때문에 늙은 토끼는 고꾸라졌다.
“약 오르지! 약 오르지!”
(웅진)

영어 원문도 비교해서 보시죠. (두 책의 번역이 왜 이리 다를까, 어느 쪽이 올바른 번역일까, 궁금증에 부르르 떨다 영어책을 샀어요.) 영어책은 1989년 Aladdin Paperbacks 판입니다. 판권 사항을 보니 처음 이 책에 대한 저작권이 생긴 것(이 책을 발표한 것)은 1908년. 그리고 1933년과 1953년에 다시 책이 나왔나 봐요.(케네스 그레이엄이 사망한 것은 1939년. 혹시 1933년에 개작을 했나?) 이 책에는 어니스트 H. 쉐퍼드의 그림이 흑백으로 실렸습니다(흑백 그림도 아주 귀엽습니다).

‘Hold up!' said an elderly rabbit at the gap. 'Sixpence for the privilege of passing by the private road!' He was bowled over in an instant by the impatient and contemptuous Mole, who trotted along the side of the hedge chaffing the other rabbits as they peeped hurriedly from their holes to see what the row was about. 'Onion-sauce! Onion-sauce!'

그러니깐 늙은 토끼가 울타리 사이로 시비를 걸었는데, 두더지가 쿵쾅거리며 울타리가 마구 흔들리도록 걷는 바람에 토끼가 발라당 넘어진 상황인 것 같습니다. 웅진 쪽 번역이 자구에 좀더 충실한 것 같군요. 하지만 Onion-sauce는 그냥 “약 오르지!”보다 “깨소금 맛이다!” 정도로 하는 게 더 원문의 느낌에 가까운 듯해요. 그리고 웅진의 번역으로는 토끼가 산울타리 틈(gap)으로 말을 걸었다는 걸 알 수 없어요.
 

2) 두더지가 숲에서 길을 잃었을 때, 물쥐가 구하러 와서는 내리는 눈을 보고 하는 말

“눈이 생겼어. 아니, 눈은 내리는 거지. 펑펑 쏟아지고 있어.” (시공주니어)

“눈이 떠돌아다녀. 아니 내려. 펑펑 내리고 있어.” (웅진)

원문 : 'Snow is up,' replied the Rat briefly; 'or rather, down. It's snowing hard.'

흠... 여기선 시공주니어 쪽이 조금 낫지만, 글쎄요. 차라리 “눈이 나오네. 아니, 눈은 내리는 거지. 눈이 펑펑 쏟아져”라고 하는 편이 낫지 않았을까요?


3) 두더지가 눈밭에서 다치자, 물쥐가 발판을 찾는 장면

하지만 래트는 손수건으로 상처를 찬찬히 싸매 주고 나서 그 자리를 떠나 눈밭을 샅샅이 뒤지기 시작했다. 네 발을 부지런히 놀리며 눈을 긁어 대기도 하고 파헤치기도 하면서 무언가를 찾아 헤맸다. (시공주니어)

물쥐는 두더지의 다리를 손수건으로 잘 묶은 다음, 저쪽으로 가서 부지런히 눈을 파헤치기 시작했다. 앞발로 긁다가, 마침내 네 발을 다 써서 땅을 파냈다. (웅진)

여기서 전 시공주니어의 번역이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지요. 두더지가 발판에 걸려 다리를 다쳤다면, 발판은 두더지가 다친 장소에 있을 테고, 발판을 찾으려면 바로 그곳의 눈만 치우면 되지 왜 눈밭을 “샅샅이” 뒤졌을까요.

But the Rat, after carefully tying up the leg with his handkerchief, had left him and was busy scraping in the snow. He scratched and shovelled and explored, all four legs working busily, (후략).

눈밭을 “훑었다” 정도로 하면 되는데 “샅샅이 뒤졌다”고 한 건 좀 과한 꾸밈이었던 듯합니다. 하지만 시공주니어 쪽이 좀더 말맛을 살리려고 노력했네요.


4) 두더지와 물쥐가 눈밭을 헤매다 오소리 아저씨의 집에 찾아들었을 때

다시 천천히 대화가 시작되긴 했으나, 입에 음식을 가득 물고 해야 하는 대화는 오히려 후회스럽기만 했다. (시공주니어)

슬슬 대화가 시작됐을 때에도 입에 음식이 가득 들어서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듣기가 힘들었다. (웅진)

원문 : and when it was slowly resumed, it was that regrettable sort of conversation that results from talking with your mouth full.

웅진 것은 의역을 했고, 시공주니어 것은 regrettable이란 단어를 곧이곧대로 “후회스럽기만 했다”고 한 모양인데, 말이 이상하죠? 그냥 “입에 먹을 것을 가득 물고 하는 대화는 안 하느니만 못했다”고 하면 되었을 것 같습니다.

- 4편으로 이어집니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4-09-21 0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웅진 것이 의역이든 뭐든 매끄럽게 읽히네요.^^
참 부지런하십니다.

숨은아이 2004-09-21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가지 다 장단점이 있더라구요. 제가 궁금증은 잘 못 참아서...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웅진 완역 세계명작 10
케네스 그레이엄 지음, 아서 래컴 그림, 공경희 옮김 / 웅진주니어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1. 첫인상

첫눈에는 시공주니어의 책이 더 끌리네요. 예쁜 양장본 표지에, 본문의 그림이 더 많아요. 웅진 책의 그림도 나름대로 개성 있고 매력 있지만, 좀 고리타분한 느낌도 있어요. 책 속의 해설을 보니, 웅진 책의 그림이 더 오래된 것입니다. 아서 래컴(Arthur Rackham, 1867~1939)이라는 화가는 작가인 케네스 그레이엄(Kenneth Grahame, 1859~1932)의 부탁을 직접 받고 이 책의 그림을 그렸다 합니다. 그러니까 1908년에 처음 이 책이 나왔을 때는 아마 아서 래컴의 그림과 함께였던 모양이에요. 천연색 그림은 우아하고, 무서운 숲을 그릴 땐 먹선만 사용해 나무를 무시무시한 생명체처럼 표현하기도 했어요. 시공주니어 책의 그림은 어니스트 하워드 쉐퍼드(Ernest Howard Shepard, 1879~1976)라는 사람이 그렸는데, 이 사람은 “그림에 확신을 가지지 못해, 그레이엄에게 무엇을 표현하고 싶은지 물었”고, “나는 작품 속의 동물들을 사랑합니다. 그들을 친절히 대해 주십시오”라는 대답을 들었다고 합니다. 시공주니어 책 앞부분에는 그레이엄의 아들 앨러스테어의 사진, 그레이엄이 쓴 엽서, 그리고 작품 속의 강마을을 구성해낸 그림 지도도 있어, 책을 읽기 전에 먼저 다정다감한 분위기에 젖어듭니다.

하지만 갖고 다니며 펼쳐 읽기엔 불편한 양장 표지, 그리고 초등학생이 보기엔 작은 글자 때문에, 사실 번역만 좋으면 저는 웅진 책에 더 점수를 주려고 했어요. 웅진 책은 가로가 좀 긴 판형이라 들고 다니며 펼쳐 읽기에 약간 불편하지만 양장본보다는 낫다고 생각했죠. 글자 크기도 시원하고.

또 시공주니어가 등장인물이나 지명을 영어로 옮긴 데 비해, 웅진 책은 되도록 우리말로 표현하려는 노력을 보였습니다. 시공주니어 책에서 주인공들을 그냥 모울, 워터 래트, 배저 아저씨, 토드라고 하고, 이들이 사는 곳을 리버뱅크, 와일드 우드라고 한 데 비해, 웅진 책에서는 두더지, 물쥐, 오소리 아저씨, 두꺼비, 리버뱅크는 강둑, 와일드 우드는 우거진 숲이라 옮겼어요. mole은 정말 두더지이고, water rat은 물쥐, badger는 오소리, toad는 두꺼비 아닌가요!

그리고 두더지(모울)가 눈밭에서 발을 터는 깔개에 걸려 다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것을 시공주니어 책에서는 “현관 매트”라고 옮겼습니다. “현관 매트”에 어떻게 다리가 걸리지? ‘신발의 흙을 떠는, 쇠로 만든 판’이라는 개념으로 다가오게 해야 하지 않을까? 이 “현관 매트”를 발견한 “워터 래트”는 “지그 춤”을 추는데, 웅진 책에 따르면 “흙 발판”을 찾은 “물쥐”가 “신이 나서 춤을 추었”습니다. 여기까지는, 간간이 시공주니어 책의 번역이 좀더 매끄럽고 박진감 있게 느껴지긴 하지만, 원작의 한 문장 한 문장을 충실히, 우리말에 맞게 번역한 건 웅진 쪽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끝까지 다 읽고 나니, 글쎄요, 몇 개 비교해보시죠.

- 3편으로 이어집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웅진 완역 세계명작 10
케네스 그레이엄 지음, 아서 래컴 그림, 공경희 옮김 / 웅진주니어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작년이었던가, 알라딘에서 보내온 뉴스레터에,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이 또 번역돼 나왔다고, 그래서 시공주니어(2003년 5월 초판 발행)에서 나온 그림 동화책, 아이세움(2003년 7월 1, 2권 초판 발행)에서 나온 만화책, 그리고 웅진(2003년 10월 초판 발행)에서 번역해 펴낸 책을 새로이 비교해 보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는 소개 글이 실렸습니다. 대체 무슨 책이기에 이렇게 여러 군데서 쏟아져 나올까. 의미 없는 중복 출판이라면 비판해 마땅한데 도리어 반가워하는 듯한 이 글은 뭔가 싶어서, 웅진과 시공주니어에서 낸, 그림을 곁들인 동화책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과 아이세움에서 나온 만화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1, 2권을 모두 보관함에 넣어두었어요. 그리고 올 봄에 망설이다가 다 사버렸지요!

먼저 손에 잡은 건 미셸 플레시스라는 프랑스 작가가 각색한 만화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샹베리니 앙굴렘이니 하는 곳에서 무슨무슨 상을 한 가득 받았다고 자랑이 많은 책이었습니다. 한창 이야기에 빠져드는데, 이런, 2권이 끝이 아니었어요. 4권이 완결로, 2003년 12월에 출간되었더라구요. 멋모르고 처음 보관함에 넣어두었던 대로 2권까지만 샀으니. 당장 3, 4권을 주문했지만 며칠 걸릴 터, 그동안 시공주니어에서 나온 책을 읽기 시작했어요. 시공주니어 책을 읽는 동안 만화책 3, 4권이 도착했고, 저는 시공주니어 것을 마저 읽고 만화책 3, 4권을 읽었지요.

소설을 만화나 영화로 만든 경우, 원작 소설을 먼저 봐야 할지 영화나 만화를 먼저 봐야 할지 고민스러워요. 영화인 경우, 원작 소설을 먼저 읽으면 분명히 영화를 보는 재미가 줄어드는 것 같아요. 하지만 만화는 원작을 먼저 읽고 보는 편이 낫다고 봅니다. 형상으로 표현된 만화를 먼저 보면, 원작을 보면서도 만화 속 형상만 연상하게 되어, 자유로운 상상에 제약이 걸려요. 재미있는 이야기는 만화로 몇 번 봐도 재미있잖아요(빨간 머리 앤이나 키다리 아저씨를 봐도).

만화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은 원작의 향기를 그대로 살리면서도 만화가의 새로운 해석과 개성이 살아 있어, 원작 소설을 읽은 사람이 두고두고 넘겨볼 만합니다. 다만 번역 문장이 어린이 문학의 눈높이를 잘 맞추진 못한 것 같습니다. 대체로 좋은 편이지만, 치밀한 어린이 문학 편집자라면 좀더 신경 써서 문장을 다듬었을 것 같아요.

그리고 내친김에 웅진에서 나온 것까지 다 읽었습니다. 읽고 나니 두 책에 대해 할 말이 생겼어요. 중복 출판에 관해 먼저 이야기하자면, 웅진에서 굳이 뒷북을 치며 이 책을 내야 했을까, 싶네요. 웅진과 시공주니어 모두 외국의 고전 어린이 문학을 총서 형식으로 옮겨 펴낸다는 걸 표방하니까, 총서의 한 권으로 꼭 필요했을 수도 있지요. 그러나 이 작품 하나만 보면, 두 거대 출판사에서 힘을 낭비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웅진에선 이미 나온 책보다 더 잘 만들지도 못하면서 굳이 같은 책에 돈과 시간을 들여야 했을지. (물론, 웅진 책을 맨 나중에 읽은 만큼, 더 엄격한 잣대를 세우게 되어 웅진에는 좀 불공평한 결론일지도 모르겠네요.)

- 2편으로 이어집니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anda78 2004-09-21 06: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5편이나 되는 멋지고 훌륭한 리뷰에 감탄만 하다가 갑니다. 물론 추천은 꾸욱- 누르고요. ^^

숨은아이 2004-09-21 1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길어서 나눠 올릴 수밖에 없었어요. 추천 고맙습니다. ^^
 

가람을 뜻하는 두 글자 河(하)와 江(강)은 원래 중국 대륙을 가로지르는 두 큰 물줄기, 황하와 장강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였다.

河 : 중국어로는 "커"라고 발음하는데, 물이 콸콸 흐르는 걸 표현하는 의성어에서 나왔다고 한다.
江 : 장강(長江), 곧 양쯔강. 그리고 협곡과 같이 좁은 곳을 흐르는 물줄기를 가리켜 江이라고 했는데,
       나중에는 꼭 그런 뜻으로만 쓰이지도 않았다.

***

황건적이 누런 수건을 두른 이유 : 중국인들은 黃帝(황제)를 자기네들 시조로 본다. 황제는 음양오행설의 다섯 가지 원소 중 土(토 : 흙)의 기운을 받아 나라를 일으켰다고 한다. 그리고 중국 역사상의 각 나라는 앞 시대의 기운을 이기는 기운을 띠었다고 한다. 곧 아래와 같다.

夏(하나라) - 土의 기운
殷(은나라) - 木의 기운(木이 土를 이김. 나무가 흙을 뚫고 나오듯이.)
周(주나라) - 金의 기운(金이 木을 이김. 쇠로 만든 도끼가 나무를 베듯이.)
秦(진나라) - 火의 기운(火가 金을 이김. 뜨거운 불이 쇠를 녹이듯이.)
漢(한나라) - 水의 기운(水가 火를 이김. 물이 불을 꺼뜨리듯이.)

그리고 물의 기운을 띤 한나라를 이길 수 있는 것은 다시 흙의 기운을 띤 세력인데, 흙(土)의 색깔은 누런색이다. 따라서 황건적은 음양오행설에 따라, 자신들이 한나라를 이길 수 있는 흙의 기운을 받은 세력임을 나타내려고 누런 수건을 두른 것이다.

***

오행을 방위로 표현하면 이렇다.

                                                                    북=水(물)=黑(흑)

                                                                                ┃

                           서=金(쇠)=白(백)    ━    중앙=土(흙)=黃(황)   ━    동=木(나무)=靑(청)

                                                                                ┃       (* 고대에 靑색은 푸른색을 뜻했다.)

                                                                     남=火(불)=赤(적)


그런데 여기에 仁(인)  義(의)  禮(예)  智(지)  信(신)이 결합된다. 
                      동        서       남        북      중앙

그래서 동대문은 흥인문(興仁門), 서대문은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은 숭례문(崇禮門)이 된 것이다.

***

"흐지부지하다"는 말은 한자어 諱之祕之(휘지비지)에서 나왔다.

諱 휘) 피할
祕 비) 숨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4-09-20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지부지, 휘지비지...재밌네요.^^
저 중국 관련 책 일하다가 중도에 엎었던 적 있어요.

숨은아이 2004-09-20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켁, 저런. 왜 중도에 엎으셨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