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 한번의 시선 1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2
할런 코벤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모르겠다. 다들 찬사가 쏟아지는 책이라 읽고 나서 그렇게 큰 충격이 없었음을, 그리고 그다지 감흥이 없었음을 고백한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긴 하지만, 아뭏든 난 평범하게 잘된 책이라는 생각 뿐이다. 너무 큰 기대를 했던 걸까. 망치로 때리는 듯한 반전을 기대했기 때문일까. 아니면 전반적인 스릴감이 예상보다 별로 큰 임팩트를 부여하지 않았기 때문일까.
작품 자체에 대해서는 불만이 없다. 그레이스 로슨이라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만한 주부이자 화가가 우연히 사진 현상소에서 받아든 사진 한장으로 인해 일어나는 일파만파의 사건들이 흥미진진하다고 볼 수 있다. 15년 전의 과거와 현재의 얼개들이 정교하게 들어맞고 소소한 일상생활에 대한 섬세한 묘사와 거기에서 비롯될 수 있는 공포들이 마음에 와닿게 그려지고 있다. 사랑하는 가족을 지키기 위한, 그리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의 감성들이 전해지면서 작품을 읽는 내내 감미로움과 두려움을 오고가게 만드는 재주가 있다, 이 작가에겐. 처음 읽는 작품이지만, 충분한 역량이 있는 작가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작품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반전의 충격이 크진 않았다. 작품 내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실마리들을 제공하고 있었고 사소한 일들로 인해 일이 크게 번지는 류의 작품들은 이전에도 많았기에 대충 그 반전이라는 것이 어떤 류라는 것을 중간부터는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조금은 시시한 마음으로 약간은 지루한 마음으로 대했던 것 같다. 다른 작품과는 다르게 마지막 페이지의 다소 충격적인 반전이 낭만적인 그것이라는 점은 끌리는 면이다. 보다 사악하고 보다 악랄한 이면을 드러내기 보다는 사랑을, 운명을 드러내고 있어 책의 말미 무렵에서는 가슴 한켠에 뭉클함을 느끼게 하는 무엇이 있다.
하지만, 그런 것들이 있음에도 나는 아쉬움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다지 길지 않은 장편을 두 권으로 분권했다는 매우 소심스러운 반감도 있다. 또한, 우리의 일상이 언제 허물어질 지 모르는 위선과 기만 위에 기초한 아주 유약한 것임을 느끼게 해주기에는 매우 적절한 전개임에도 무언가 빠져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게 뭐냐고 구체적으로 묻는다면 설명하기가 매우 곤란하지만 말이다.
이 책을 읽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말해주고 싶다. 요즘 하도 반전반전하니까 반전에만 집중하여 홍보하는 경향이 추리소설계에 짙게 깔려있는데 그런 거 기대하고 보지 말아달라고 말하련다. 이 작품은 반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쩌면 우리의 소소한 일상에 대한 가련한 반기를 드는 것에 더 집중한 작품일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 신경써서 읽는다면 훨씬 더 큰 감흥을 불러일으켜 줄 거라 믿는다. 내가 그러지 못한 아쉬움이 커서 붙이는 사족일 수도 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