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을 감미롭게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 허약한 미숙아이다.
모든 곳을 고향이라고 느끼는 사람은 이미 상당한 힘을 갖춘 사람이다.
그러나 전 세계를 타향이라고 느끼는 사람이야말로 완벽한 인간이다.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중
여러 가지 사정으로 자원하긴 했었지만 막상 '이천'이라는 도시로 직장 발령이 나자 문득 아연해졌었다. 스물 아홉의 길목에 들어서고 있었다. 두렵고 답답하고 돌아나오고 싶었다. 버스를 타고 이천 집으로 퇴근하며 나는 길을 잃어버렸다. 가슴은 두망망이질치고 버스는 종점으로 종점으로 저무는 해와 언제까지나 어디에나 가버릴 듯 털털거리고 또 털털거리며 가고 있었다.
이윽고 종점. 승객은 나혼자. 울어버리고 싶었다. 스물 아홉의 여자가 집에 못 가 울어버리면 기사는 집에 데려다 줄 것인가. 나의 집 주소를 읊었다. 바보처럼. 기사는 걱정스레이 나를 시내까지 데려다 주고 거기에서 집에 가는 방법을 신신당부했다.
타박 타박. 그게 시작이었다. 그리고 이 년. 나는 그 시간들을 잊지 못한다. 그리고 내가 이천에 있었는데, 이천이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거들먹거리기까지 하며 마치 그곳이 나의 고향이었던 듯 되뇌인다.
나는 고향을 감미롭게 생각하는 종족이었다. 연고도 없는 타향에서 이 년을 묵으며 이방인으로 산다는 것에 대하여 그리고 자연스레이 그 타향에 녹아 들어가는 과정에 대해 조금은 고민했었다고 한다면 가소롭게 들릴 지도 모르겠다. 이방인으로 출발하는 것은 언제나 두렵다. 그러나 그곳이 고향이 될 수도 있겠다,고 자만하게 되는 그 허수룩한 몽상으로 발을 들여놓게 되는 시점 나는 새로운 곳에 낯선 이로 섞여 들어가 하나의 삶을 튼다는 것이 가지는 매혹에 매료되게 된다.
하물며 마흔이 넘은 동양 여자가 스웨덴의 웁살라라는 중세의 흔적이 떠도는 도시에 역사학 석사 과정에 들어가 보스니아헤르체코비나, 터키, 미국, 스웨덴에서 온 나어린 이방인들과 투닥거리고 어울리고 이해하고 오해하고 눈물흘리는 얘기는 얼마나 드라마틱하고 얼마나 다이나믹할 것인가.
이 책은 스웨덴 그 자체에 대한 감상과 이해도 뭉근하지만, 다양한 나라에서 온 다양한 가치관을 지닌 젊은이들이 서로의 시선을 맞추고 때로는 가치관을 조율하기도 하고 때로는 싸우기도 하면서 공감의 자장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이 인상깊고 흥미롭게 그려져 있다. 이방인과 이방인이 각자 자신의 민족과 국경의 그 허구적이고 공고한 철책을 들어 깨고 교감하는 과정은 지나치게 극적으로 과장되어 있지도 않고 지나치게 건조하지도 않게 딱 그 만큼 적절한 수준의 감정의 파고를 유지하며 나아가고 있다. 무조건 친해지고 무조건 이해하고 위아더 월드를 외치는 소설적 허구 대신 인간 관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상대의 기대치의 어긋남 뒤에 한시적인 화해, 때로는 끝까지 어긋나 평행선을 긋는 관계 등으로 담담함을 끝까지 간직한 그녀의 관계들은 되레 '너를 알고 있다',가 아닌 '내가 누구인가?'를 묻는 진지함으로 확장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유독 강조되는 여자로서의 정체성이 스웨덴에서 만나는 수많은 프레이야의 딸들의 아름답고 당당하고 오히려 성적 정체성에서 자유로운 모습으로 전환적 계기를 맞는다. 한국인이자 동양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게 되는 과정에서 그녀는 평등을 자유와 같이 가지고 가기 위해 가진 것들을 기꺼이 양보할 줄 아는 그들의 간소함과 품위에 매료된다. 극빈자도 최상의 부자도 없는 사회 시스템은 그들을 사회민주주의의 정체성으로 자본과 노동의 화해를 주선하게 되는 것이다. 극도의 개인주의적인 문화일 것 같은 그곳이 기실은 가장 타자들을 의식하고 배려한 체제라는 것은 역설 같으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내가 행복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기본적인 안녕이 담보되어야 하는 것이다. 누군가를, 무언가를 알기 위해 떠난 곳에서 내가 누구인가, 또 그것을 묻기 위해 네가 있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함을 알고 귀환하는 그녀의 모습이 간소하고 품위있어 보였다.
가수 이상은이 여행을 하는 이유가 새로운 나를 발견하게 되는 매력 때문이라고 얘기하며 멋쩍은 미소를 짓는 모습이 TV에 흐른다. 여행의 순간에는 자기 자신보다 더 강해진다는 정혜윤의 말은 이런 면에서 겹친다. 항상 '너'와 '그것'에 치이다 갑자기 '나'를 응시하게 되는 그 기점에서 우리는 새로운 시간을 선물받는다. 나에 대한 질문이 난무하는 그 새로운 곳에서 우리는 성장한다. 그러니 모든 곳을 타향으로 느끼는 사람은 완벽한 존재의 꿈을 꿀 수 있다. 땅에서 발을 살짝 들어 도약하는 순간 우리는 가장 아름답고 견고하게 착지하는 법을 체득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