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네 권의 목록은 끊임없이 갱신되는 게 좋다. 지금 나를 뒤흔드는 좋은 책보다 더더 계속해서 좋은 책이 나오면 얼마나 행복할까?
그럼에도 여전히 절대 그 자리를 내주지 않는 절대반지 같은 책들이 있다. 고전 읽기의 재미를 알게 해준 신호탄 같은 책이 운좋게도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였다. 문학동네가 2009년 12월 흑백의 모던한 표지의 세계문학전집 1권으로 출간한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아이를 낳은 지 만 이 년째 되던 해였다. 나는 한동안 육아로 지쳐 책을 거의 읽지 않았다. 나는 이 책의 주인공이 안나 카레니나라고 생각했고 그녀의 자살이 결말일 거라 여기며 책을 펴들었다. 그러나 톨스토이가 가장 많이 투영된 화자이자 주인공 역할을 한 인물은 레빈이었다. <안나 카레니나>는 사랑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결국은 톨스토이가 가장 천착했던 주제인 생의 유한함과 시간의 무자비함이 끌고 가는 이야기다. 추상적이고 거대한 주제를 장대하고 아름답고 떡밥 많은 스토리로 끌고 가는 힘은 톨스토이 정도의 거장이 아니고는 불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름도 어려운 수많은 인물들은 제각각 성격도 가치관도 다르지만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공감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는 우리 안에 있는 그 수많은 모순적 충돌을 일으키는 탐욕, 무모함, 현명함, 쩨쩨함, 비겁함, 용기, 선의를 섬세하게 인생의 파도와 엮어 낸다. 그의 인물 중 이해하지 못할 사람은 없다. 안쓰럽지 않은 인물도 없다. <안나 카레니나>는 거리두기가 힘든 독서의 체험을 준다. 다 읽고 나면 진이 빠진다. 그러나 이 이전과 이후는 확연히 달라지는 체험을 선사한다. 이 세상에는 '절대'라는 절대적인 부사어를 붙일 일이 가히 많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만큼 시간 그 자체가 견인하는 이야기가 있을까? 프루스트는 이 이야기를 읽는 체험 그 자체가 독자의 인생 그 자체가 되기를 바랐다. 10년간 총 5704쪽의 이야기를 번역해 낸 역자의 시간은 원작자의 그것에 감히 비견될 만하다. 마르셀이 젊은 시절 그렇게 선망해마지 않았던 귀족들이 시간의 흐름 앞에서 속절없이 무너지고 자신이 그렇게나 간절하게 매달렸던 사랑도 스러지는 정경은 쓸쓸하지만 거기에서 건져낸 미학의 미덕은 울림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예술에 감동하고 아름다움에 압도당하고 이것은 무의미하지 않다는 이야기는 이렇게 길고 또 길어야 마땅하다.
하루키의 1Q84를 나는 작년에야 읽었다. 아오마메가 하늘에서 두 개의 달을 보며 자신이 제정신이 아니라고 생각할 때 나도 하늘에서 또 하나의 달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흔적을 찾아 헤맸다. 이 평행 우주적 세계 안의 환상적 이야기는 현실 세계의 암울한 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이 세계는 이대로 합당한가? 비단 이 세계가 전부인가? 접안과 피안 사이에서 작가는 치열하게 자신의 인물들 내면의 심연을 길어오르며 독자의 그것을 발굴한다. 하루키는 그런 작가다. 그가 파고드는 이야기는 으스스한 판타지인데 지극히 현실적이다. 우리는 현실을 잊기 위해 그의 이야기를 읽지만 일단 그의 월드에 입성하면 절대 현실을 외면할 수 없는 마력에 사로잡힌다. 그런 면에서 그의 리얼리티는 감히 최고다.
<면도날>은 삶의 그 허위가 숨기고 있는 삶의 그 연약한 속살에 가닿으려는 작가의 기민한 시선에 찔리는 이야기다. 모옴은 이런 일에 천부적이다. 누구나에게 숨겨진 그 욕망이 삶을 끌고 달릴 때 놓치는 것들. 우리는 단지 그것만 가지고는 살 수 없다. 현실도 이상도 전적으로 전부가 될 수는 없다. 다 늙어 파티에 초대받지 못함에도 끝까지 그 초대를 기다리는 엘리엇의 초라한 모습은 우리 모두의 미래이자 오늘일지도 모른다. 자존심을 내려놓지 못하며 나는 기다리는 게 아니라고 항변한다 해도 결국 인생 그 자체가 우리를 외면하는 순간이 오고야 만다. 사는 일은 죽는 그 순간까지도 그 면도날 위에서 위태롭게 균형을 잡으며 버티려고 안간힘을 쓰는 그 자체인지도 모른다.
아직 내 인생의 네 권은 완결된 게 아니다. 이 목록이 한번 뒤집혔으면 좋겠다. 그만큼 좋은 책은 끊임없이 태어난다는 또 다른 이야기를 기대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