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권에서는 ‘주역(周易)’을 ‘The book of changes’라 부른다. ‘변화의 책’이라는 뜻이다. ‘주역’의 ‘역(易)’자가 ‘바꿀 역’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변화를 말하는 책이기 때문이다.
 
‘주역’의 주제는 우리 속담인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 고사성어 ‘새옹지마(塞翁之馬)’ 등과 관통한다. 이 때문에 ‘주역’을 소극적으로 해석하면 ‘참고 기다리며, 늘 자숙하라’는 뜻이 된다. 하지만 이것은 형이상학(形而上學)의 논리다. 형이상학이란 자연의 원리와 법칙을 이해하지 못한 인간들이 그 질서를 자연 자체에 두지 않고 상위에 두는 것이다. 즉 ‘리(理)’를 상정하고, 그것을 성인(聖人)의 길이라고 설정하는 것이다.
 
그 결과 모든 것은 하늘 혹은 그 너머에 있는 가상의 존재에 규정돼 있으니, 현실세계에서 아무리 아등바등 애를 써도 고칠 도리가 없다는 패배주의로 연결된다. 여기에는 지배계층의 사특한 논리가 깊이 내포됐다. 이것이 유가(儒家)에서 ‘주역’을 경전으로 인정한 까닭이며, 공자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질 정도(韋編三絶)’로 읽은 이유이고, 이후 왕필을 비롯한 많은 학자가 주석을 달고 평생을 탐구한 진짜 이유다. ‘주역’이 지배계층과 그들을 수호하는 지식인들의 전유물로 전락한 것이다.
 
서구에서도 다르지 않다. 서구의 철학 역시 19세기까지 형이상학과 관념론에 머물렀다. 신(神)은 모든 질서를 지배하고, 세계는 신의 섭리에 따라 움직인다고 봤다. 따라서 지금 질서는 신의 것이며 그것을 바꾸려는 시도는 ‘섭리’를 거역하는 것이 됐다. 중세 교부철학이 성행한 이유다. 결국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철학은 지배층의 시스템을 강고히 구축하는 데 악용됐던 것이다.
 
하지만 과학의 발달로 자연의 원리가 속속 밝혀지고, 빅뱅에 의해 우주가 팽창 중이라는 사실이 허블 망원경의 관측으로 증명됐으며, 다윈의 진화론이 종교적 혹은 형이상학적 세계의 믿음을 흔들었다. 동서양의 기존 철학체계는 붕괴하고, 과학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됐다. 서양 문명의 도래와 함께 ‘주역’의 몰락이 이뤄진 것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주역’이 점서(占書)로서의 기능만 살아남은 이유도 그 때문이다. 시초(柴草)로 괘(卦)를 뽑고 괘상(卦象)을 해석해 미래를 점치는 복자(卜者)들의 도구가 된 것이다. 점집이 ‘철학관’이라 불리게 된 연유도 이에 기인한다. 하지만 ‘주역’으로 점을 친다는 것은 난센스다. 시초를 손가락에 끼웠다가 뽑아 해당하는 괘로 미래를 안다는 것은 화투장을 떼거나, 쌀알을 던져 그 모양으로 운명을 감정하는 것보다 더 조잡하다.
 
그럼 왜 ‘주역’일까. 그것은 형이상학으로서의 ‘주역’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주역’을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변화를 기다리는 ‘역(易)’이 아니라, 스스로 변화하는 ‘역(易)’으로서의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금 시대는 변화를 요구한다. 햇볕이 들지 않는 컴컴한 동굴에 앉아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며 기다리는 ‘역(易)’이 아니라, 동굴을 파고 쥐구멍을 부숴서 볕을 끌어들이는 적극적 의미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변화란 무궁무진하고 오묘한 이치다. 또 변화에는 질서와 적절한 때가 있다. 그 이치와 원리가 ‘주역’에 녹아 있다. ‘주역’은 주나라 주공(周公) 이래 수많은 사람이 수정, 가필 첨삭하면서 변화의 원리를 녹인 책이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원전을 읽고 해석하기 지난한 책이 돼버렸다. 그 결과 당대의 어용학자들이 ‘주역’을 독점적으로 해석하고 풀이해서 지배원리에 이용했고, 복자(卜者)들은 점술에 이용했다. ‘주역’은 다시 읽혀야 하지만, 읽기 어려운 책이 되고 말았다.
 
따라서 ‘주역’이 유가 원리 혹은 복술의 논리가 아닌 대중의 경전으로, 시대 변화를 요구하는 적극적인 각자(覺者)들의 레퍼런스로 사용되려면 쉽게 읽혀야 하고, 쉽게 풀려야 한다. 그런데 ‘주역’을 해설한 책들의 난해성은 원전보다 더 심하다. 온갖 현학과 비의(秘意)로 포장된 해설서들이 진짜 ‘주역’을 가까이할 수 없게 만든 탓이다. ‘주역’을 쉽게 그리고 편하게 풀이하되 원문의 뜻을 되도록 살린 책을 찾기가 쉽지 않다.
 

‘주역강의’(을유문화사 펴냄)는 이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저자의 이력이 학계의 한 자리를 차지하지는 않는다. 단지 한 개인의 노력과 열망으로 쓴 책이다. 하지만 저자의 지향성이 돋보인다. ‘지금 왜 주역인가?’에 대한 질문에 가장 적절히 화답하는 해설서로 보인다. 물론 ‘주역’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학자들은 못마땅해할 수 있고, ‘주역’을 비전(秘典)이나 비의의 자리에 두고 싶은 사람에겐 거슬릴 수 있다. 하지만 일반 독자가 ‘주역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에 접근하는 데 이만한 풀이를 만나기가 쉽지 않다. 그것이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다

[출처] 주역강의...|작성자 시골의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회찬 항소심서 무죄판결!!


알면서도 입을 닫고 있었다면 역사의 심판대에서 유죄를 선고받아야 한다. 같은 상황이 온다면 저는 마찬가지로 행동했을 것이다이번 재판의 판결은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국회의원이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판결이다. 부실한 검찰수사를 바로잡고 원심의 잘못된 판결을 바로잡길 기대한다. -노회찬 항소심 최후진술 중에서 -


항소심 재판부는 "공소사실 중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에 대해서는 녹취록이 허위이고 피고인이
녹취록이 허위라는 인식이 있었다는 점에 대해 검찰이 입증하지 못했다",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에
대해서는 "법제사법위원회가 열리기 직전 발언할 내용을 국회의원회관에서 기자들에게 배포한 부분은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공소권이 없어 공소기각돼야한다"며 "같은 내용을 인터넷에
게재한 것은 X파일에 담긴 내용에 대해 수사를 촉구하는 정당한 목적이 있고 공소시효 만료를 앞두고
여론조성을 위한 긴급성.보충성도 인정돼 정당행위로 위법성이 없다"고 판결을 내렸습니다.

노회찬 X파일 "나를 기소하라 동영상 보기"

노회찬 팬카페 <희망찬> 바로가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kimtae.egloos.com/2766623 

 

  


ㅋㅋ
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ㅋ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해한모리군 2009-11-30 1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능력자들의 모임이군요 ㅎㅎㅎ

머큐리 2009-11-30 2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암튼 하는 짓들은 변하지도 않고... 뻔뻔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는..
 
달콤한 자극

식탐(食貪), 언제나 이게 문제다. 식당에서 음식이 나오면 늘 음식량이 적다고 생각한다. 먹기 전엔 “비싼데 음식량이 적다”며 투덜대고, 먹고 나선 “보는 것과 달리 많네” 하며 남은 음식을 아까워한다. 여러 사람과 식사할 땐 전략적으로 밥을 먹는다. 내 몫은 온전히 내 것이니까 놔두고, 함께 먹는 음식부터 공략한다. 배가 불러도 남이 먹는 음식을 탐한다. <지붕 뚫고 하이킥>의 황정음처럼 “한 입만”이라고 외치며 끼어든다.

식탐은 끊임없는 허기에 닿아 있다. 끼니를 굶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제대로 된 밥 한 그릇은 아니어도 뭔가를 먹어 늘 배를 채운다. 공복 상태가 되면 불안함이 엄습한다. 조용한 실내에서 주책없이 꼬르륵 소리가 날 것만 같다. 또 바빠서 끼니를 건너야 할 땐 ‘먹고살자고 하는 일인데 왜 밥도 못 먹고 이러고 있나’ 싶어 화도 난다. 일에 집중도 어렵다. 마감 시간에 쫓겨 밥 먹을 시간도 아까울 땐 미칠 지경이다. 매끄러운 기사 마감을 위해 식사하러 나가는 동료의 등 뒤로 “김밥 한 줄만”을 안타깝게 외칠 뿐이다.

저녁 7시에 먹은 김밥 한 줄은 밤 10시면 뱃속에서 흔적도 없다. 기사 마감에 다시 제동이 걸린다. 배를 채워줘야 움직이는 내 뇌는 건전지 빠진 시계처럼 멈춘다. 기사 한 줄 쓰기도 어려워진다. 비상식량이 필요할 때다. 책상 서랍에서 초콜릿바를 꺼낸다. 한 입 베어 무니 부드러운 누가와 고소한 땅콩이 입안에서 오도독 씹힌다. 달달한 초콜릿이 혀를 감싸며 먹을 것을 달라고 아우성치던 위로 흘러 들어간다.

뱃속이 허전하면 얼마나 예민해지는지를 잘 아는 나는 초코파이, 초콜릿바, 치즈가 들어간 소시지, 양갱 따위를 서랍이나 가방 속에 간식거리로 챙겨두는 편이다. 초콜릿바 하나는 늦은 밤까지 기사를 쓸 수 있는 힘이 돼준다. 옆자리에 앉은 임지선 기자, 최성진 기자에게도 초콜릿을 나눠준다. 스트레스 해소에 단것이 좋다는데 기사 쓰느라 눈이 빨개진 이들에게도 나의 초콜릿은 쓸모가 있겠지.

생각해보니 초콜릿이 내 주된 야식이 된 건 <한겨레>에 입사한 2003년부터다. 회사 근처에 24시간 편의점이 없다 보니 밤에 일하다가 먹을 야식이 마땅치 않았다. 기껏해야 프라이드치킨과 맥주가 전부다. 기름진 포만감이 기사 쓰는 데 도움이 될 리 만무하다. 그때부터 늘 배고픈 나를 위해 초콜릿을 비상식량으로 챙기기 시작했던 것 같다. 초콜릿은 먹기 편하고 포만감도 적당하니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 잠을 못 자 피곤할 때, 입맛이 없을 때도 좋다. 초콜릿바 하나와 따뜻한 녹차 한 잔이면 늦은 밤까지 기사를 쓸 때도 든든하다.

하지만 내 야근 파트너인 초콜릿이 야식으로는 좋지 않은 모양이다. 각종 건강 기사를 보면 칼로리 높은 초콜릿 대신 요구르트 같은 저칼로리 간식을 먹는 게 좋다고 나온다. 그러고 보니 초콜릿이 내 뱃속만 든든하게 해준 건 아닌 것 같다. 벨트 위로 올라온 뱃살도 두둑하다. 초콜릿 대신 허기를 달래줄 다른 야식을 찾아봐야 할지 모르겠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 

 

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6189.html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9-11-27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와나무 생크림 요구르트 강추! (나만 중독될 수는 없지요.. ^^)


라주미힌 2009-11-27 12:57   좋아요 0 | URL
흠.. 얼마나 맛있길레;;;

하이드 2009-11-27 2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른 비슷한 요구르트들과 차원이 틀린 느끼함,달콤함,새콤함,부드러움의 밸런스가 잘 맞춰진 요구르트에요 ^^ 근데, 잘 안 판다는게 단점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해한모리군 2009-11-26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뱃살아 빠져라 하고 소원을 빌었어요. ㅋㄷㅋㄷ

라주미힌 2009-11-26 17:04   좋아요 0 | URL
저게 쥐박이 머리에 떨어졌으면;;; ㅋ

2009-11-26 22:41   URL
비밀 댓글입니다.